• 제목/요약/키워드: Smart Convergent Society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4초

최적 경로 계획을 위한 RRT*-Smart 알고리즘의 개선과 2, 3차원 환경에서의 적용 (Improvement of RRT*-Smart Algorithm for Optimal Path Planning and Application of the Algorithm in 2 & 3-Dimension Environment)

  • 탁형태;박천건;이상철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
    • /
    • 2019
  • Optimal path planning refers to find the safe route to the destination at a low cost, is a major problem with regard to autonomous navigation. Sampling Based Planning(SBP) approaches, such as Rapidly-exploring Random Tree Star($RRT^*$), are the most influential algorithm in path planning due to their relatively small calculations and scalability to high-dimensional problems. $RRT^*$-Smart introduced path optimization and biased sampling techniques into $RRT^*$ to increase convergent rate. This paper presents an improvement plan that has changed the biased sampling method to increase the initial convergent rate of the $RRT^*$-Smart, which is specified as m$RRT^*$-Smart. With comparison among $RRT^*$, $RRT^*$-Smart and m$RRT^*$-Smart in 2 & 3-D environments, m$RRT^*$-Smart showed similar or increased initial convergent rate than $RRT^*$ and $RRT^*$-Smart.

창의 융합 역량 개발을 위한 스마트 건축물 개발 (The Development of Smart Building for Developing Creative Convergent Competency)

  • 이광석;이종석;전명기;이준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255-256
    • /
    • 2017
  • 공학교육에 있어 창의성과 독창성 그리고 타 분야와의 융합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새로운 교육이 제안되고 현장에 적극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기술이 하나로 결합된 스마트 건축물을 제작한다. 목재를 활용하여 제작되는 건축물에는 거리센서(distance sensor), 소리센서(sound sensor), LED 센서(LED sensor) 및 DC 모터(DC motor) 그리고 이를 동작시키는 그래픽 기반의 스크래치 프로그램이 하나로 통합되며 최종적인 융합 결과를 도출한다.

  • PDF

ICBM 기술 특성 기반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의 사례 분석 (Cases Analysis in Smart, Connected Toy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CBM Technologies)

  • 전병일;박재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27-35
    • /
    • 2016
  • 오늘날 정보통신 기술의 진보에 따라 전통적인 완구에 사물인터넷 관련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가 출현하고 있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ICBM (Internet of Things, Cloud, Big-data, and Mobile) 기술 특성을 바탕으로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의 대표적인 사례 분석을 통해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의 경향과 한계점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의 개념 및 현황과 ICBM 기술에 대한 문헌 연구를 수행한 후, ICBM 기술이 적용된 사례를 분석하여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환경을 연결하기 위한 기술 특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기술 특성을 기반으로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의 사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에 적용된 ICBM 기술의 특성 정도와 한계점을 파악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최신 기술의 특성을 기반으로 스마트, 커넥티드 완구 개발을 위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mart Tourism: A Study of Mobile Application Use by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 Brennan, Bradley S.;Koo, Chulmo;Bae, Kyung Mi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1-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study is to identify the mobile phone applications (apps) used by foreign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through a pilot study using focus groups and individual interviews. Concentrating on tourist mobile app use in a smart tourism environment and categorized through a taxonomy of mobile applications lays the framework and determines the factors boosting tourism smartphone app trends by foreign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Researchers collected data through ethnographic methods and analyzed it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to uncover major themes within the smart tourism app use phenomenon. The researchers coded, counted, analyzed, and then divided the findings gleaned from a pilot study and interviews into a taxonomy of seven logical smartphone app categories. The labeling and coding of all the data accounting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can be recognized and are logically discussed in the implications of the apps used by tourists to assist tourist destinations. More specifically these findings will assist smart tourism destinations by better understanding foreign tourist smartphone app use behavior. Tourists visiting South Korea interviewed in this study exhibited significant mastery of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ies, craved free WiFi access, and utilized smartphone apps for all facets of their travel. Findings show major concentrations of app use in bookings of accommodations, tourist attractions, online shopping, navigation, wayfinding,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searching, language translation, gaming, and online dating while traveling in South Korea.

스마트 단말에서의 통역용 단기기억력 향상 훈련 시스템 (Smart device based short-term memory training system for interpretation)

  • 표지혜;안동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747-756
    • /
    • 2019
  • 통역을 학습하는 학생들은 수업 외에도 추가적인 학습 및 훈련을 수행한다. 동시통역 및 순차통역에서 두 언어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통역가는 발표 내용을 빠르게 기억해야 한다. 단기 기억 향상을 위해서 통역을 학습하는 학생들은 메모리 훈련을 수행한다. 메모리 훈련은 파트너가 필요하기 때문에 학습 효율성이 저하되고 자가 학습이 불가능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컴퓨터 기반의 단기 기억 훈련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지문 내 단어를 특수문자로 변경함으로써 학생들이 파트너 없이도 자가 학습이 가능하다. 하지만 컴퓨터는 휴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학습 능률이 저하된다. 제거되는 단어보다 키워드로 제공하는 단어의 수가 더 많아서 학습 난이도가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단말 기반의 문장구역 훈련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스마트 단말은 휴대성이 높아 학습의 제한이 없어 효율이 증가한다. 제안하는 훈련 시스템에서는 삭제되는 단어수가 키워드보다 더 많도록 하여 학습 난이도가 증가한다. 제안한 훈련 시스템을 구현하고 기능을 검증하였다.

DGPS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토지조사의 활용성 평가 (Availability Evaluation of DGPS and Smart Device for Field Survey)

  • 박준규;정갑용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2호
    • /
    • pp.631-638
    • /
    • 2016
  • GPS, GLONASS 등의 위성을 활용하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는 공간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높은 정확도를 위한 VRS나 RTK 방법은 여러 대의 장비를 운용하거나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정밀한 위치결정 보다는 이동성이 중요시 되는 토지조사 업무에 활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동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휴대용 DGPS 장비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토지조사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한 토지조사 업무는 정확도의 한계로 아직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며, DGPS는 1m 이내의 정확도로 위치결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DGPS가 관련 업무에 활용된다면 현재 많은 부분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토지조사 업무의 효율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체계적인 GIS 자료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

동시통역 학습을 위한 스마트 단말 기반의 문장구역 훈련 시스템 (Smart device based sight translation training system for simultaneous interpreting practice)

  • 표지혜;안동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759-768
    • /
    • 2018
  • 국가 간 다양한 분야에서의 교류가 증가함에 따라서 개최되는 국제회의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동시통역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학습자들이 동시통역을 학습하고 있다. 동시통역은 많은 학습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통역을 학습하는 학생들은 개별 학습을 수행한다. 자율적인 학습법 중 대표적으로 문장구역 훈련법이 있으나, 백트래킹으로 인한 학습 효과 저하 및 원활한 학습을 위한 파트너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컴퓨터 기반 문장구역 훈련 시스템이 제안되어 학습자들의 학습 능률을 향상시켰다. 하지만, 컴퓨터의 경우 이동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정해진 공간에서만 학습을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성으로 인한 활용도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 단말 기반의 문장구역 훈련 시스템을 제안한다. 스마트 단말은 컴퓨터에 비해 낮은 처리 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크기가 큰 파일을 처리할 때 성능이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알고리즘들을 제안한다. 제안한 스마트 단말 기반 문장구역 훈련 시스템을 구현하고 기능을 검증하였다.

4차 산업혁명시대 공학계열 학습자 맞춤형 의사소통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Necessity and the direction of customized Communication Education for Engineering student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신희선;윤희정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3호
    • /
    • pp.3-12
    • /
    • 2017
  • This research points out the necessity of customized communication education for engineering students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paper also points out such problems of current communication education as presentation and discussion-focused 'Public Speech' exercises, absence of interests about social issues, and lack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learning. In genera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major education, engineering students are not aggressive in self-questioning and active communication rather than their sensitive reaction to the changes of the new era.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of engineering students, this research emphasizes that future communication education should be deployed from the major-focused thinking to the development of convergent thinking, from the problem-solving to the problem-finding, and from the contentious thinking to the cooperative thinking. In addition, as a class design reflecting future trends, this research emphasizes, firstly the development of cooperative communication education model, secondly active utilization of SMART technology, and lastly the importance of customized-coaching for each student consider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s.

방전가공면을 복제한 실리콘수지 표면의 발수특성연구 (Hydrophobic Characteristics of a Silicone Resin Surface Produced by Replicating an Electric Discharge Machined Surface)

  • 김영훈;홍석관;이상용;이성희;김권희;강정진
    • 소성∙가공
    • /
    • 제22권1호
    • /
    • pp.23-29
    • /
    • 2013
  • In this study, a micro/nano-random-pattern-structure surface was machined by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EDM) followed by replicating the EDM surface with a silicone elastomer having low energy and greater hydrophobicity. The variation of hydrophobicity was of prime interest and was examined as a function of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replicated silicone elastomer. The hydrophobicity was evaluated by the water contact angle (WCA) measured on the relevant surface. For the experiments, the original surfaces were machined by die sinking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DS-EDM) and wire cutting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WC-EDM). The ranges of surface roughness were Ra $0.8{\sim}19{\mu}m$ for the DS-EDM and Ra $0.5{\sim}4.7{\mu}m$ for the WC-EDM. In order to fabricate a hydrophobic surface, the EDM surfaces were directly replicated using a liquid-state silicone elastomer, which was thermally cured. The measured WCA on the replicated surfaces for DS-EDM was in the range of $115{\sim}130^{\circ}$ and for WC-EDM the WCA was in the range of $123{\sim}150^{\circ}$. Additionally, the dynamic hydrophobic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an advancing and a receding WCA on the replicated silicone elastomer surfaces.

IoT Sensing을 이용한 농작물 수확 시기 예측 시스템 아키텍처 개발 (Development of crop harvest prediction system architecture using IoT Sensing)

  • 오정원;김행곤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719-729
    • /
    • 2017
  • 최근 농업 분야는 농업 분야에 ICT 기술이 접목 되면서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 특히 농업에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팜 [smart farm] 영역이 각광받고 있다. 스마트 팜 [smart farm] 기술은 농작물이 재배 되는 환경의 온도, 습도 등의 정보를 센서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하여 제어장치에서 농작물 수확에 필요한 장치들을 자동으로 구동하여 농작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스마트 팜 [smart farm] 기술이 마치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을 것처럼 주목을 받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농작물의 생산량 증대에만 치중되어 있다. 본 논문 에서는 농작물의 생산량 증대 보다는 우수한 품질의 농작물을 최적기에 수확할 수 있는 시스템의 아키텍처 개발에 중점을 두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사과나무를 표본으로 아키텍처를 개발 하였으며 사과나무의 수확시기를 예측하는 데이터로는 색상정보와 중량정보를 사용하였다. 색상정보와 중량정보를 수집하여 서버 단으로 전송하는 간이형 보드는 아두이노를 사용하였으며. 개발 방법론으로는 모델 주도 개발(model-driven development :MDD)를 적용하였다. PC 사용자들에게는 웹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Smart Phone 사용자들에게는 하이브리드앱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아키텍처를 개발했다. 또한 비콘 기술을 사용해서 과수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도록 아키텍처를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