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rt Classroom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4초

교실은 어떻게 '스마트'해지는가?

  • 정한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201-246
    • /
    • 2019
  • 정보통신기술은 교육을 큰 위기에 빠트리는 위험물질 취급을 받기도 하고, 위기에서 구원하는 구원자로 비추어지기도 한다. 한국 정부는 2011년 스마트교육 정책을 통해 정보통신기술을 적극 공교육의 학교들로 끌어들여 교육을 혁신하고 인재대국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스마트교육은 타블렛 PC나 노트북과 같은 기기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표준 교실 모델을 정립해 각 학교에 확산, 정착시키고자 했다. 이 논문은 스마트교육 정책이 꿈꾸었던 스마트교실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어떤 마찰을 일으켰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교육 정책의 방향과 이상을 분석하고, 실제로 스마트한 교실 환경을 구축하고 있는 학교 세 곳에 방문해 시설 견학 및 심층 인터뷰를 수행했다. 스마트교육 정책이 제안한 이상적 교실은 모델하우스처럼 깔끔한 공간에 스마트폰처럼 다양한 기능을 한 번에 갖춘 패키지였지만 일상적으로 보통 교실처럼 활용되기 어려웠다. 각 학교는 모델을 수용하는 대신 규모, 지역 특성, 학생들과 교사의 사회경제적 상황, 교사의 경험, 기존 인프라의 유무 등의 요인들이 조합되는 방식에 따라 각자의 방식으로 "스마트"해졌다. A 초등학교에서는 기계가 학교의 공간을 길들여 자신만의 공간을 만들어내는 한편 이동을 위해서는 학교의 규칙에 따르게 되었다. B 초등학교에서는 학교 전반을 아우르는 인프라가 만들어지지는 못했지만 선생님의 경험에 힘입어 조직화했으며, C 초등학교에서는 특정 교실에 밀집되어 선생님의 전문성을 증진시켰다. 스마트교실의 구성하고 있던 기기들은 분해되고, 맥락에 맞게 재조합되어 각 학교의 교실들을 "스마트"하게 만들었다.

초등학교에서 스마트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활용 인식 조사 (A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Current State of Using Smart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s)

  • 설문규;손창익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09-318
    • /
    • 2012
  • E-러닝, U-러닝, M-러닝에 이어 요즘의 대세는 스마트 러닝이다. 정부는 지난 2011년 6월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을 발표하여 우리나라 스마트 교육의 비전과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현재 정부에서 주도하는 스마트 교육 정책의 추진에 있어 무엇보다도 현장의 현실과 환경적 고려, 교육의 주체자들의 능력 등 다양한 요인의 고려가 없이 무조건적인 적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현장의 현실과 스마트 환경을 파악하고 이를 교육할 초등학교 교사들의 스마트 기기 활용현황과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교육의 여러 요소에 대한 활용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여 보다 체계적인 스마트 교육의 기반을 마련함에 있다.

  • PDF

스마트 배움터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Eliciting and Analyzing Requirements for Smart Environment for Future-Oriented Learning and Coaching)

  • 이정우;이혜정;김민선
    • 지식경영연구
    • /
    • 제14권1호
    • /
    • pp.121-132
    • /
    • 2013
  • In education, innovative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are always under development and keep being proposed with advanced concepts since the ancient times. Student-centered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and cooperative learning have been three major trends under development in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more than a decade or so. Combined with advanc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se trends will greatly transform the way we teach and learn in classroom environment and may change the classroom environment itself, into a more interactive and self-centered coaching type environment. In this study, a smart environment that utilizes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devices and network is conceptualized, accommodating requirements contained and proposed in the recent trendy pedagogies. Pedagogical cases discussed in these trends are analyzed in detail, producing requirements for such a learning and coaching environment. These requirements are modeled using unified modeling language, leading to a proposal of a basic architecture for an information system supporting this environment.

  • PDF

아프리카 지역의 교육 여건에 따른 블록형 스마트 교실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lock Type Smart Classroom under the Educational Conditions in Africa)

  • 최종천;노인호;유갑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227-234
    • /
    • 2019
  • 본 연구는 교육인프라가 취약한 아프리카 국가들의 교육 콘텐츠, 교실환경, 그리고 ICT기술에 대한 종합적인 보급을 위한 블록형 스마트교실 모델 제시를 목표로 한다. 수업관리시스템, 전력관리시스템 및 교실환경 관리시스템을 통합하는 상황별 솔루션을 제시하고, 아프리카 지역의 국가별 경제적, 비경제적 여건에 최적화가 가능한 융합 모델이 될 것이다. 이는 기존의 서비스, 콘텐츠, 솔루션에 대한 독립적 연구개발이나 단일 컨테이너로 보급된 기존교실과는 차별화되는 효율적인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통합 연구 과정을 통해 기존 컨테이너교실에서 나타나는 공간과 기능적 한계를 극복하고 이러닝 기술 고도화에 대비한 융통성 있는 공간을 구축한다. 향후 보다 다양한 지역의 교육 및 인프라 여건에 부합하는 성능과 모델에 대한 탐구로 후속 연구의 깊이와 범위의 확장이 가능할 것이다.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교육 전자보드 프로토타입 설계 (Design of Smart Education e-Board Prototyp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전민영;차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5-17
    • /
    • 2019
  • 학교 행사나 취업정보, 진학정보, 주요학사일정 등 중요한 정보를 현재는 가정통신문만을 통하여 정보를 전달 받기 때문에 일부 정보의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교육에 대한 자료조사를 바탕으로 유무선 네트워크에서 P2P방식의 사물인터넷 기술을 접목 전자보드 프로토타입을 설계하였다. 각 교실에서 학교 행사 등 필요한 정보를 교무실에서 실시간으로 자료를 받아 교실에서 공유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전자보드 사용 방법을 잘 알지 못해도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교육용 전자보드 프로토타입을 설계 하고자 한다.

  • PDF

대학 수업에서 스마트 LMS의 상호작용 효과 (A Study on the Interactivity of Smart LMS in a University Class)

  • 최미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95-404
    • /
    • 2019
  • 본 연구는 스마트 LMS의 상호작용 효과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전공영어 과목에서 한 학기 동안 강의실 안과 밖에서 스마트 LMS를 활용한 후 이 과목을 수강하는 3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과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 LMS는 교수 학생 간, 학생과 학생 간, 학생과 학습내용 간 모두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수업 중에 활용한 수업활동게시판은 교수자의 즉각적인 피드백을 가능하게 하였고 위키는 강의실 밖에 조별 발표를 위해 학생들이 협업하는 것을 편리하게 하였다. 또한 수업활동 게시판에 정리된 조별활동 산출물과 스마트 LMS에 탑재된 강의자료들 역시 상호작용 효과를 높이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향후 상호작용성을 더 높이기 위하여 고려할 점은 학생들에게 스마트 LMS를 활용하는 수업방식에 잘 적응할 수 있게 하는 방안 마련과, 스마트 LMS 기능에 대한 사전 실험, 스마트폰의 데이터와 배터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절한 대응을 꼽을 수 있다.

스마트 교실을 활용한 '뒤집힌 교수학습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he Flipped Classroom Teaching and Learning Model for the Smart Classroom)

  • 정영식;서진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75-18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뒤집힌 교수학습모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마트 교실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것을 체계화하여 PATROL 모형을 개발하였다. 첫째, 계획단계(Planning)는 교사가 앞으로 진행할 수업을 설계한다. 둘째, 실행단계(Action)는 학생들이 가정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여 자율적인 온라인학습과 과제를 수행한다. 셋째, 추적단계(Tracking)는 디지털교과서가 실행단계의 활동 상황이나 결과물을 분석한다. 넷째, 추천단계(Recommending)는 디지털교과서가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사에게 교실 수업활동을 제안한다. 다섯째, 요구단계(Ordering)는 학생들이 교실 수업 중에 필요한 자료를 요청한다. 여섯째, 안내단계(Leading)는 교사가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관찰하여 수준별 자료를 제공한다. PATROL 모형을 2개 학교에 시범 운영한 결과, 학생의 주도적 발언이 많아졌고, 전체 활동보다는 모둠활동이나 개별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교사의 궤간 순시하는 시간이 증가하여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A Study on the Changing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ing on Using the Mobile device-

  • Hwang, Shung-E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7호
    • /
    • pp.91-97
    • /
    • 2018
  • This study has an ultimate purpose to find some chang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that is, in and out of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keeping up with social changes. Especially, this study will investigate progressive educational ways in terms of not only developing software, but also grafting hardware relating to mobile technologies. For this, this study will classify the cases of teaching and learning happened in and out of Korean language classrooms and to introduce practical ways of education to apply mobile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each case. As a concrete method, this paper proposed a change plan of classroom change that incorporates 'Miracast' and 'smart phone' and a change plan out of the classroom using mesh.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are linked more organically through the smart phone and the education is called 'IoT world' so that both teachers and learners can easily access education.

임시교실용 모듈러 건축물의 품질기준 마련을 위한 특성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for Establishing Quality Standards of Modular Buildings for Temporary Classrooms)

  • 이종성;박재웅;임군수;김종;한민철;한천구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83-84
    • /
    • 2023
  • Wall structure smart modular is a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where modules are manufactured in a factory and assembled on-site. This method is gaining populari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it reduces construction time and mitigates risks such as material supply and labor costs. Wall structure smart modular is necessary as it provides comfortable temporary classroom space during renovation and remodeling of aging school buildings.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temporary classroom modular were compared, and wall structure modular showed superior performance in terms of height and weight competitiveness compared to mixed structures. With these advantages, wall structure modular can ensure economic efficiency and recyclability as a temporary classroom. In the future, we aim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andards such as inter-floor noise and heat transfer coefficient for wall structure and mixed structures.

  • PDF

Integration of computer-based technology in smart environment in an EFL structures

  • Cao, Yan;AlKubaisy, Zenah M.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9권2호
    • /
    • pp.375-387
    • /
    • 2022
  • One of the latest teaching strategies is smart classroom teaching. Teaching is carried out with the assistance of smart teaching technologies to improve teacher-student contact, increase students' learning autonomy, and give fresh ideas for the fulfillment of students' deep learning. Computer-based technology has improved students' language learning and significantly motivating them to continue learning while also stimulating their creativity and enthusiasm. However, the difficulties and barriers that many EFL instructors are faced on seeking to integra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into their instruction have raised discussions and concerns regarding ICT's real worth in the language classroom. This is a case study that includes observations in the classroom, field notes, interviews, and written materials. In EFL classrooms, both computer-based and non-computer-based activities were recorded and analyzed. The main instrument in this study was a survey questionnaire comprising 43 items, which was used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ICT integr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in public schools in Kuala Lumpur. A total of 101 questionnaires were delivered, while each responder being requested to read the statements provided. The total number of respondents for this study was 101 teachers from Kuala Lumpur's public secondary schools. The questionnaire was randomly distributed to respondents with a teaching background. This study indicated the accuracy of utilizing Teaching-Learning-Based Optimization (TLBO) in analyzing the survey results and potential for students to lear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using computers. Also, the usage of foreign language may be improved if real computer-based activities are introduced into the les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