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scale Apartment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2초

중·소블록 기반 집합주택 보급을 통한 도시성과 근린성 제고(提高) 방안의 고찰 (An Examination on the Improvement of Urbanity and Neighborship through the Provision of Collective Housing based on Small and Medium-sized Blocks)

  • 임재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495-502
    • /
    • 2023
  • 우리나라의 전통적 주거지들이 자연과 공존하며 공동체를 형성한 바탕 위에 마을의 풍경이 만들어져 왔다면 유럽의 도시들은 성채를 토대로 길과 블록이 형성되는 가운데 공동의 주거를 위한 거주지를 만들어 온 경우도 상당하다는 서로 다른 역사적 전개과정이 존재한다. 대규모의 주택공급이라는 근현대화의 과정과 함께 우리의 보편적 도시구조는 아파트 단지가 연속된 도시적 풍경이 일반화되었고 이러한 주거유형과 거주방식의 획일화라는 현상을 주거유형의 다변화라는 관점에서 유럽 등의 도시구조에 더 보편화 되어있는 중·소블록 기반 집합주택이 도시성과 근린환경의 향상에 연관되어질 수 있다는 관점을 고찰해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대가구에 기반한 단지형 아파트 이외에 대체적인 방안으로서 중·소블록에 기반한 집합주거의 보급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과 우리 삶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공동주택의 유형적 변화가 생활양식과의 근원적인 상호간의 관계지음을 어떠한 방식으로 변천시켜 나갈 수 있을지에 대해 의미를 부여해 보고자 한다.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소규모 공동주택 시스템비계 안전시설물 개선 특허기술 개발 및 활용 (Developement and Application of Patent Technology for the Improvement of Scaffolding Safety Facilities in Small-scale Muliti-Family Housing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Severe Disasters)

  • 김성수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57-66
    • /
    • 2022
  • 고용노동부 공문(최근 건설업 사망사고 발생 현황 안내 및 안전관리 철저 당부, 2022.4.4.)에 따르면, 중대재해처벌법 시행(2022.1.27.) 이후 2022.3.31.까지 공사금액 50억원 이상 건설공사에서 17건의 사망사고가 발생하여 18명이 사망했다. 공사규모로 보면 50억~120억원 7건, 120억~800억원 5건, 800억원이상 5건이 발생했다. 사망사고 발생원인은 떨어짐 9건(50%), 맞음 5건(28%), 무너짐 2건(11%), 끼임 1건(5%), 익사 1건(5%)으로 조사됐다. 사망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떨어짐과 맞음으로 인한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안전시설물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추락방지망·개구부·안전난간이 완벽하게 설치되면 대부분의 떨어짐과 맞음 사고는 예방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소규모 공동주택인 도시형생활주택신축현장의 떨어짐과 맞음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안전시설물 개선을 통한 특허기술 개발과 활용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학생의 하우스셰어링 의식과 선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ege Students' Awareness and Preference about House Sharing)

  • 한정원;정수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42-150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housing awareness and awareness on house sharing of college students who are present residents as well as potential residents of shared houses. To achieve this purpos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survey tool to understand students' awareness on housing and opinions on house sharing including a range of space sharing, preferences on house mates, and demands on services and facilities. The survey was conducted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PASW Statistics 18.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housing awareness was categorized into seven factors by factor analysis. The subjects valued 'personality factor' in the housing awareness. 2) Regarding preference of house mate type, participants preferred a person who has similar lifestyle and in the same gender. 3) As for the space sharing, the subjects didn't want to share a bathroom and shower. Also, they preferred medium or large scale dormitory layout type to small sized apartment type. 4) The most positive aspect of house sharing was 'Reduction of rental and maintenance cost'. On the other hand, 'Difference of daily life pattern' was the most negative aspect of house sharing. 5) In case of services and community spaces, they preferred 'delivery storage service' and 'coin-operated laundry facility'.

건설 공사의 안전성 향상을 위한 충돌방지형 시스템 플라잉넷의 개발 (Development of a Systemized Flying Net for Safety Improvement in Architectural Building Construction)

  • 이정호;박선주;김영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71-80
    • /
    • 2011
  • 건축공사에서는 고층 건축물 신축시 노무자의 추락 예방 및 낙하물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건축물의 수직면에 매 10m 이내로 낙하물 방지망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첫 단 이후 설치되는 낙하물 방지망인 플라잉넷은 지상 8m 이상에서 설치 및 해제 작업이 진행되므로 노무자의 작은 실수가 사망 사고와 직결되는 매우 위험한 작업이다. 최근 건설 업체에서는 플라잉넷 설치 빚 해제작업의 위험성을 인식하여 다양한 형태의 플라잉넷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플라잉넷은 옥외작업 및 구조상의 문제로 인해 노무자의 추락 낙하 등 안전상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연구에 있어 최적 대안으로 선정된 충돌방지형 시스템 플라잉 넷의 프로토타입을 실물(Full-scale)제작하고, 현장실험을 통해 기존 재래식 방식 대비 제안된 충돌방지형 시스템 플라잉넷의 안전성, 생산성, 작업 편의성, 경제성 측면에서의 성능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현장실험을 통해 도출된 충돌방지형 시스템 플라잉넷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부재 경량화, 지지대 및 브라켓의 안정성 확보, 작업 간섭 방지)을 제시하고자 한다.

면진층을 가지는 1/10 축소된 15층 무량판 아파트건물의 진동대 실험 (Shaking Table Test of a 1/10 Scale Isolated Fifteen-story Flat Plate Apartment Building)

  • 천영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3호
    • /
    • pp.287-297
    • /
    • 2011
  • 본 논문은 적층고무형베어링을 갖는 15층 면진 무량판 아파트건물의 내진거동을 진동대실험을 통하여 검증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진동대실험은 중국의 CABR에서 1/10규모의 모형실험체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의 진행은 4개의 지진파를 이용하여 X, Y, X+Y방향으로 다양한 크기의 지진동이 입력되었다. 실험결과, 비 면진건물은 중진레벨에서 진동주기가 현저히 감소하고, 비선형적인 거동을 보였으며, 가속도가 건물의 높이에 따라 현저하게 증가하고, 층간변위도 허용한계를 넘는 거동을 보였다. 반면, 면진건물은 중진레벨에서 거의 일정한 진동주기의 탄성적인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지진하중과 층 가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응답을 나타내었다. 또한 면진층의 변위는 허용범위 내에서 거동하고, 층간변위는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은 강체거동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면진은 건물에 대한 지진의 영향을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층 가속도의 감소를 통하여 사용성을 증가시키고, 건물 내 설비 등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서울시 아파트시장의 군집행동 분석 (Herding Behavior of the Seoul Apartment Market)

  • 김정선;유정석
    • 부동산연구
    • /
    • 제28권1호
    • /
    • pp.91-104
    • /
    • 2018
  • 본 연구는 시장참여자의 행태 중 하나인 군집행동의 발생 여부와 정도를 주택시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최근 군집행동 분석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CSAD모형에 실거래가격을 적용하였다. 분석내용은 권역별, 경과년수별, 규모별, 시장조건별로 세분하여 지역성, 내부요인, 외부 요인에 대한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서울시 전체에서는 군집행동이 발생하지 않았다. 권역별로는 도심권, 동남권, 서북권에서 군집행동이 발생하여 선행연구(Ngene et al., 2017)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경과년수별 분석에서는 노후주택에서 군집행동이 포착되었으며, 규모별로는 $60m^2$이하의 소규모와 $85m^2$이상 $102m^2$미만의 국민주택규모에서 군집행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글로벌 금융위기하에서는 모든 권역에서 군집행동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시장 상황이 호황기일 경우 서북권에서 군집행동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손실공포 확대에 따라 불황기에서 군집행동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주식시장과 차이를 보이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시장참여자의 행태를 행동경제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주택시장 이상현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시장분석에 시장참여자의 행동이라는 심리요인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손자녀를 돌보는 조부모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and the social support of grandmothers caring their grandchildren)

  • 권인수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212-223
    • /
    • 2000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add to the developing knowledge base about the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grandmothers involved with caring grandchildren, and to examine whether a significan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ir burden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grandmothers. A convenience sample of 102 grandmothers was recruited from five collective apartment areas at a small city in Korea. The criteria of selection of sample were that the grandmothers were raising their grandchildren under the age of 36 months for 3 months or longer at own or gandchildren's home. The instruments used were a 15-item multidemensional burden scale and a 8-item social support scale. Both scales were self report, five point Likert type scales. The higher the score, the higher the degree of burden and social support. Data was collected by two prepared research assistants visiting subjects' home from December 10, 1998 to March 20, 199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mean,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computed by SPSS softwa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age distribution of grandmothers, the over half of subjects(58.8%) were under 60 years old. The majority(69.6%) of subjects were married at time of data collection. 79(77.5%) of the sample reported that their perceived health status was good or over. 2. The burden of the grandmothers was not scored high, and the item means on burden scale were ranged from 2.26 to 4.19 out of 5. 'Short of private time'(4.19) had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fatigue'(3.92), 'short of rest'(3.75), and 'short of contact with friends and neighbors'(3.62). The lowest item was 'family doesn't help me'(2.26), and followed by 'family doesn't understand me'(2.33), 'angry with family' (2.43), and 'angry while caring for grandchild'(2.60). 3.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he burden and present health status(p<.01), childcaring confidence(p<.01), and motive of caring(p<.01). 4. The score of social support, was ranging from 3.61 to 4.01 out of 5. 5. The relationship between burden a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correl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γ= - .2833, p<.001).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burden was not high and burden of grandmothers caring grandchildren was correlated negatively to social support. Therefore, these results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a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the burden of grandmothers.

  • PDF

이탈리아 피렌체의 서민주거지역의 형성과 주거형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on of Working-Class Residential Areas md the Transformation of Housing Types of Firenze, Italy)

  • 손세관
    • 건축역사연구
    • /
    • 제13권2호
    • /
    • pp.21-38
    • /
    • 2004
  • This study provides a descriptive and analytical account of major aspects of urban development and transformation of housing types of Italian Firenze from the 13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It is a typo-morphological depiction of urban spatial structure of the extraordinary city, Firenze, the center of Italian Renaissance. And this study has proceed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evolving form of the urban structure and housing types cannot be understood without reference to the larger context of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life. Based on these backgrou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to provide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tructure of Firenze, and to explain the process of formation of working-class neighborhoods by constructing new city wall in later 13th century, and to discuss transformation of housing types of the working-class neighborhood with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existence of housing in the newly formed residential neighborhoods. The development of residential neighborhoods was pursued by 'planned' manner through forming square-shaped blocks, and characterized by the subdivision of larger properties into standardized building lots for the construction of houses. On the bases of documentary evidences, several ecclesiastical institutions are identified as the agents of a distinctive type of development. While the institutions did the major role for developing lands, the construction of houses was done by small scale construction agents with moderate amount of properties. The major housing type of working-class neighborhoods of Firenze has been the 'casa a schiera' characterized by the form of narrow front and long depth. The type was generalized by the newly formed middle and working-class of Firenze which grew their body very rapidly, Even though the type assumed very uniform in its fen there were many variations. And through passing time, the casa a schiera developed to be multi-family housing, and the level of variation became deepen. Eventually, transformation of housing type of Firenze was ended by appearance of the 'casa in linea', which was very similar to modern apartment in its spatial organization.

  • PDF

EPR대상품목 확대에 따른 B시 생활계폐기물 중심의 회수율과 재활용 확대를 위한 현안조사 연구 (A Study on Research of Pending Issues for Recovery and Recycling Expansion of Domestic Waste in B City According to EPR Target Extension)

  • 하상안;김동균;남길우;왕제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5권1호
    • /
    • pp.68-75
    • /
    • 2016
  • 본 연구에 있어서 현 EPR제도의 확대 품목의 부족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B시의 소, 중, 대규모 별 아파트의 현장조사를 통하여 실질적인 발생량과 원단위를 파악하고 통계자료에 나타나지 않는 품목들을 예측하여 그에 따른 결과값으로 현재 이루어지는 재활용 분리수거의 문제점을 비교하고 분석하였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B시에 거주하는 전문가 및 전문분야 학생 137명을 대상으로 EPR제도 품목 및 인식여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일반적으로 사람들 인식에 부족한 EPR제도 품목의 필요성 및 현 재활용 분리배출의 시스템의 오류를 지적하였고 향후 원활하고 지향적인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다.

미진동 발파용 New KINECKER-II 실용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acticalization of Low Vibration New KINRECKER-II)

  • 장승호;박희원;임정혁;이창엽;안봉도;강대우;이하영
    • 화약ㆍ발파
    • /
    • 제35권1호
    • /
    • pp.43-52
    • /
    • 2017
  • 우리나라는 산지와 구릉지가 전 국토 면적의 70% 이상을 정하고 있어 국토 확장, 고속도로 건설, 지하철공사 등의 대형 토목사업과 도심지 아파트 신축과 재개발, 고층건물 신축 등 부지공사 과정에서 암반굴착이 불가피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대 소형 공사 시 ~ 차질을 받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소음과 지반진동을 감소시키는 발파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에 적합한 발파방법으로 지금까지 미진동발파, 기계식 굴착공법(할암, Breaker 등), 유사 발파 공법(플라즈마, 겔파쇄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미진동 발파에서 사용되고 있는 New KINECKER-I의 순폭성과 배합비 등을 개선하여 경제성 및 시공성을 높인 New KINECKER-II의 특징과 성능을 알아보고 발파진동 추정식을 산출하여 표준 발파패턴 및 시공 방법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제품 사용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연결캡을 사용하여 하나의 뇌관으로 공내 모든 폭약이 순폭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