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774/JKIID.2016.25.1.142

A Study on the College Students' Awareness and Preference about House Sharing  

Han, Jeong-Won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및 노인생활환경연구소)
Jung, Su-Jin (부산대학교 주거환경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v.25, no.1, 2016 , pp. 142-15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al housing awareness and awareness on house sharing of college students who are present residents as well as potential residents of shared houses. To achieve this purpose,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survey tool to understand students' awareness on housing and opinions on house sharing including a range of space sharing, preferences on house mates, and demands on services and facilities. The survey was conducted of college students in Busan,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PASW Statistics 18.0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housing awareness was categorized into seven factors by factor analysis. The subjects valued 'personality factor' in the housing awareness. 2) Regarding preference of house mate type, participants preferred a person who has similar lifestyle and in the same gender. 3) As for the space sharing, the subjects didn't want to share a bathroom and shower. Also, they preferred medium or large scale dormitory layout type to small sized apartment type. 4) The most positive aspect of house sharing was 'Reduction of rental and maintenance cost'. On the other hand, 'Difference of daily life pattern' was the most negative aspect of house sharing. 5) In case of services and community spaces, they preferred 'delivery storage service' and 'coin-operated laundry facility'.
Keywords
Housing Awareness; House Sharing; College Stud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0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형석, 통계분석방법, 한경사, 2014
2 이훈영, SPSS를 이용한 데이터분석, 청람, 2013
3 강지혜.윤정숙,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의 주거의식의 유형화와 주거요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5권 12호, 2009.12
4 김도연, 공유주택 공급 및 계획기준 설정 방안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 26권 1호, 2015.2
5 김미희.노세희, 광주.전남지역 대학생의 주거가치와 주거 만족도,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19권 4호, 2008.8
6 강지혜.윤정숙,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의 주거의식의 유형화와 주거요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5권 12호, 2009.12
7 박성준, 대학생 1인 인가구의 소형주택 개발을 위한 대학생 요구도 조사에 관한 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 제13권 1호, 2014.2
8 박형수, 공유문화로서의 쉐어하우스, 대한건축학회지 建築, 제57권 11호, 2013.11
9 안옥희.조영미.학가, 한.중 대학생의 주거관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20권 4호, 2009.8
10 안옥희.강혜경.조영미, 대학생 주거관의 시계열적 비교,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20권 4호, 2009.8
11 염혜실.권오정, 노인 1인가구를 위한 시니어 쉐어하우스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25권 6호, 2014.12
12 오정, 국내 쉐어하우스 인식 및 수요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석사논문, 2014.2
13 오정.최정민, 국내 쉐어하우스 수요특성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25권 3호, 2014.6
14 우소연.남경숙, 일본 셰어하우스 사례조사를 통한 도시형 생활 주택의 공용공간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9권 2호, 2013.6
15 윤소연, 공유 주택의 커뮤니티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15.2
16 이희원.성민호.김도식, 국내.외 쉐어하우스 사례 비교를 통한 개발특성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5권 6호, 2014.6
17 임연주, 도심형 셰어하우스 內 커뮤니티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 석사논문, 2013.2
18 주서령.김도연, 한.중 대학생의 주의식과 공간사용방식 비교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제25권 4호, 2014.8
19 최지선, 공급자 관점에서 본 시니어계층을 위한 셰어하우스 도입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논문, 2015.2
20 통계청, 주거실태조사 연구보고서, 국토교통부, 2014.12
21 http://www.korean.go.kr/
22 http://3siot.org/roundab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