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satellite

검색결과 764건 처리시간 0.027초

Region Defense Technique Using Multiple Satellite Navigation Spoofing Signals

  • Lee, Chi-Hun;Choi, Seungho;Lee, Young-Joong;Lee, Sang Jeong
    • Journal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 /
    • 제11권3호
    • /
    • pp.173-179
    • /
    • 2022
  • The satellite navigation deception technology disturbs the navigation solution of the receiver by generating a deceptive signal simulating the actual satellite for the satellite navigation receiver mount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ich is the target of deception. A single spoofing technique that creates a single deceptive position and velocity can be divided into a synchronized spoofing signal that matches the code delay, Doppler frequency, and navigation message with the real satellite and an unsynchronized spoofing signal that does not match. In order to generate a signal synchronized with a satellite signal, a very sophisticated and high precision signal generation technology is required. In addition, the current position and speed of the UAV equipped with the receiver must be accurately detected in real time. Considering the detection accuracy of the current radar technology that detects small UAVs, it is difficult to detect UAVs with an accuracy of less than one chip. In this paper, we assume the asynchrony of a single spoofing signal and propose a region defense technique using multiple spoofing signals.

Initial Operation and Preliminary Results of the Instrument for the Study of Stable/Storm-Time Space (ISSS) on Board the Next Generation Small Satellite-1 (NEXTSat-1)

  • Kim, Eojin;Yoo, Ji-Hyeon;Kim, Hee-Eun;Seo, Hoonkyu;Ryu, Kwangsun;Sohn, Jongdae;Lee, Junchan;Seon, Jongho;Lee, Ensang;Lee, Dae-Young;Min, Kyoungwook;Kang, Kyung-In;Lee, Sang-Yun;Kang, Juneseok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7권3호
    • /
    • pp.209-218
    • /
    • 2020
  • This paper describes the initial operations and preliminary results of the Instrument for the study of Stable/Storm-time Space (ISSS) onboard the microsatellite Next Generation Small Satellite-1 (NEXTSat-1), which was launched on December 4, 2018 into a sun-synchronous orbit at an altitude of 575 km with an orbital inclination angle of 97.7°. The spacecraft and the instruments have been working normally, and the results from the observations are in agreement with those from other satellites. Nevertheless, improvement in both the spacecraft/instrument operation and the analysis is suggested to produce more fruitful scientific results from the satellite operations. It is expected that the ISSS observations will become the main mission of the NEXTSat-1 at the end of 2020, when the technological experiments and astronomical observations terminate after two years of operation.

임계변형률 이론에 기반한 초소형 위성용 SAR 제어부 전장품 구조설계 (Structural Design of SAR Control Units for Small Satellites Based on Critical Strain Theory)

  • 김정기;채봉건;이승훈;오현웅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2-20
    • /
    • 2024
  • 초소형 위성체의 태생적 공간 제약으로 탑재 전장품은 발사진동환경 하 구조건전성 확보를 위한 보강설계 적용에 한계가 존재하며, 피로파괴에 취약한 고집적 소자의 실장으로 고신뢰도의 평가기법이 요구된다. 종래 전장품 구조건전성 평가를 위해 Steinberg 피로파괴 이론이 적용되고 있으나 최근 연구들에서 이론적 한계점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이론의 한계점을 극복한 임계변형률 이론기반 방법론을 적용하여 초소형 SAR 군집위성 S-STEP(Small SAR Technology Experimental Project)의 X대역 SAR 탑재체 구성품 중 DCU(Digital Control Unit)를 설계하였다. 설계 유효성 검증을 위해 단순화된 모델링 기법을 기반으로 모드 해석, 랜덤 해석을 수행하였다. 적용한 방법론을 기반으로 해석 결과분석 및 안전여유 도출과 발사진동환경시험 전후 기능시험을 통해 최종적으로 전장품의 구조건전성이 확보됨을 입증하였다.

Magnetic Field Correction Method of Magnetometers in Small Satellites

  • Lee, Seon-Ho;Rhee, Seung-Wu;Ahn, Hyo-Su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36-40
    • /
    • 2003
  • The considered satellite is supposed to operate in the earth-point mode and sun-point mode in accordance with the mission requirements. The magnetic field correction is based on the orbit geometry using a set of measured magnetic field data from the three-axis-magnetometer and its algorithm excludes the earth’s magnetic field model. Moreover,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is investigated throughout the simulation of KOMPSAT-1.

  • PDF

저궤도 위성통신망 기반 글로벌 무선통신 기술 동향 (Research Trends in Global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Based on the LEO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 김판수;유준규;변우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5권5호
    • /
    • pp.83-91
    • /
    • 2020
  • In this paper, the contemporary deployment of broadband and Internet-of-Things (IoT) services based on the Low Earth Orbit (LEO)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s presented. First, the global service and key technologies of small and nanosatellites are briefly addressed, and then, the progress of relevant standard technologies is explained. Finally, the overall potential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LEO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is highlighted.

우리별 1, 2호 위성 시스템 개요 (OVERVIEW OF KITSAT-1/2 MICROSATELLITE SYSTEMS)

  • 박성동;성단근;최순달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3권2호
    • /
    • pp.1-19
    • /
    • 1996
  • Satellite Technology Research Center(SaTReC) of Kore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KAIST) has started a collaborative research, development, and training program in the field of space technology. As the result of that, SaTReC has successfully developed and operated the KISTAT-1, which is the first Korean satellite system. From the experience gained. SaTReC has developed the KITSAT-2 with its own technology and man-power and acquired the capability to design and to manufacture small satellite systems. In this paper, an overview of KITSAT-1/2 microsatellite systems and operational results are introduced.

  • PDF

소형위성지구국(VSAT)허가 제도에 관한 정책 연구 (A study on policy of VSAT (Very Small Aperture Terminal) license system)

  • 오갑근;이상윤;홍완표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72-177
    • /
    • 2009
  • 무궁화위성1호가 발사되어 운용 된지 13년이 되었다. 통신위성은 국가기간망의 구축은 물론 인터넷 서비스, 위성방송서비스 등 일반 이용자들에게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큰 역할과 기여를 하여 오고 있다. 유선초고속인터넷 가입자망의 보급확대와 함께 위성인터넷 가입자의 급속한 감소 등으로 어려운 극면에 처하기도 하였으나 위성통신은 여전히 국가 중요 통신망 구성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최초의 통신위성이 발사된 후 수개의 상업용통신위성이 발사되어 운용되고 있으나 위성통신서비스의 제도는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성통신서비스 중 소형위성통신기지국에 대한 서비스 제공현황과 제도운용현황을 토대로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대안을 제시한다.

  • PDF

저가 소형 CMG 성능시험 및 분석 (Low Cost Small CMG Performance Test and Analysis)

  • 이승우;권혁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43-552
    • /
    • 2011
  • 가장 효과적인 모멘텀 교환장치인 CMG(Control Moment Gyro)는 고기동성이 요구되는 위성에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기동성이 요구되는 소형 인공위성을 위한 Single-Gimbal CMG(SGCMG)에 대한 하드웨어 개발에 필요한 동역학식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사용하여 CMG 설계에 필요한 요구사항이 도출되었다. 또한 도출된 요구사항에 따라 출력토크가 1.2Nm인 소형 CMG 성능검증 모델이 제작되었으며, 에러분석 및 성능시험이 수행되었다. 최대 출력토크, 김벌 과도응답특성, 최소 출력토크, 출력토크오차, 김벌 각속도 오차 등을 성능시험 항목으로 선정하어 실험 측정하였고, 시험 결과를 통해 설계 결과를 검증하였다.

소형인공위성용 리튬이온 배터리시스템의 신뢰성 확보을 위한 우주인증시험 (Space Qualification of Small Satellite Li-ion Battery System for the Secured Reliability)

  • 박경화;이강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1-35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저궤도 소형인공위성에서 위성의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리튬이온 배터리 시스템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수행한 우주인증시험들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리튬이온 배터리 시스템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해적, 성능시험, 우주 및 발사환경에서의 환경시험 등을 수행하였다. 모든 해석 및 시험 결과가 요구조건에 만족함을 보임으로써 리튬이온 배터리를 적용한 소형인공위성의 신뢰성을 검증하고 제고할 수 있었다.

우주기술 저변확대를 위한 초소형위성 프로그램: 캔위성 경연대회 (Very Small Satellite Program for Expending the Space Technology Base: CanSat Competition)

  • 원수희;전형열;김성훈;이상률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636-645
    • /
    • 2012
  • 본 논문은 우주기술 저변확대를 위한 초소형위성 프로그램 중 하나로 캔위성 경연대회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캔위성과 인공위성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해외 캔위성 경연대회 사례 및 국내 캔위성 개발 동향을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캔위성 경연대회의 운영조직 및 역할을 제시하였으며, 캔위성, 발사체, 지상국 등과 같은 경연대회 소요기술의 요구조건 및 개발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경연대회 수행임무, 사전교육, 진행일정 등 경연대회 추진방안을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