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libraries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9초

대출 및 상호대차 통계를 활용한 작은도서관 장서 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mall Library Collection Evaluation Utilizing Circulation Statistics and Interlibrary Loan Data)

  • 박영애;이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333-356
    • /
    • 2010
  • 작은도서관은 일반적인 공공도서관에 비해서 장서의 양과 다양성이 부족하므로 실증적인 분석에 기초하여 장서를 평가하고 개발해야할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으로 장서평가에 사용하는 소장 데이터와 대출 데이터 이외에 작은도서관에서 특히 활발한 상호대차 데이터를 함께 분석하여 작은도서관을 위한 장서평가방법을 사례와 함께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과 분석은 한 지역 내에서 상호대차가 운영되는 작은도서관 14개관을 대상으로 하였고 장서량과 이용량(대출 + 상호대차)을 비교하여 각 도서관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KDC의 강 단위로 구분한 주제별 장서 통계와 이용 통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작은도서관에서 활발히 이용되는 주제 분야와 정책적인 대처가 필요한 주제 분야를 파악할 수 있었다.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Cooperative Network for Public Libraries)

  • 조윤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77-197
    • /
    • 2010
  •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은 도서관법이 제정된 이후 50여년도 되지 않는 짧은 기간 동안 수적으로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국, 영국, 일본에 비해 1관당 봉사대상인원수는 여전히 많고, 공간, 예산, 인력 등 운영상 제약으로 지식정보서비스의 지속가능한 확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행정구역권을 중심으로 지식정보서비스 연계와 경영 효율성을 도모하고 있는 영국의 캄덴구, 일본의 대전구(大田區), 한국 부천시의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협력 네트워크 모형과 정책 제도적 지원 및 운영 효율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 및 운영 실태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Identity and Administration of Toy Library in South Korea)

  • 이종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75-98
    • /
    • 2013
  • 본 연구는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과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51개 장난감도서관 중 도서관법에 의해 설립된 곳은 9.8%(5개)에 불과하고 대부분 자치단체의 장난감도서관 조례(45%) 또는 법적 제도와 관계없이 설립, 운영되고 있다. 설립 목적의 경우에도 82.4%가 장난감 대여와 놀이 자료 제공 및 프로그램 보급, 문화 활동 서비스로 나타날 정도로 도서관법 제2조의 1, 2, 3항의 정의에 따른 동 법에서 말하는 도서관과는 그 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도서관법상의 법적 등록기준과 관련하여, 작은도서관 기준으로 건물면적은 96.1%가, 열람석은 92.3%가, 보유 자료는 45.1%가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서배치의 경우는 배치한 곳이 13.7%에 불과하였다. 셋째 예산의 경우 대부분이 소요 예산의 70%밖에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자치단체들이 제정하는 장난감도서관 관련 조례 근거에 도서관법을 포함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장남감도 서관들이 도서관법상의 법적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도서관법에 의해 등록할 것을 제언하였다. 셋째 장난감도서관 운영을 현실화할 수 있도록 자치단체가 예산을 현실화하여 지원할 것을 제언하였다.

전문도서관의 마케팅전략 (On the marketing strategies of special libraries)

  • 최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23권
    • /
    • pp.147-182
    • /
    • 1995
  • Marketing technique is used as effective management tool in library. The small size of the user group in special libraries provides good condition for marketing. Special libraries can accomplish the goals and objectives with using marketing techniq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ey concepts and activity procedures of marketing, and marketing mix 4'P, and to suggest the information services which can be used in developing marketing strategies of special libraries.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key concepts and activity procedure of marketing for libraries consist of market segmentation, positioning, consumer analysis, marketing program and marketing audit. 2. The marketing mix 4P's that can be used in special libraries are examined. 3. The information services which can be used in marketing strategies are suggested.

  • PDF

작은도서관 운영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Analytical Study o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f Administrators in Small Libraries)

  • 김홍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1-67
    • /
    • 2011
  •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운영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특성과 직무만족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또한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의 개인적인 차이를 파악하고 특정 직무를 지각하는 개인적인 특성과 직무만족도를 고려한 작은도서관 운영자의 선발과 충원, 직무배치로 조직의 운영과 정보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자고 하였다. 본 연구결과 결혼관계, 성별, 연령 등의 개인적 특성은 직무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자격증과 고용형태는 직무특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결혼관계, 성별, 연령, 고용형태 등의 개인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규모 지역 공공도서관의 공간 구성과 이용 특성 연구 - 미국 앤아버 공공도서관 브랜치의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pace Design and Space Uses of Community Based Small Public Libraries - Focused on the Cases of Ann Arbor District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

  • 문은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217-225
    • /
    • 2010
  • Today's public libraries in communities are on the processes of changes to integra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to traditional library system in order to support current users' demands for the new digital er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ing characters on space design and space uses of community based public libraries by conducting case studies of three branch libraries which were built after 2004 in Ann Arbor, Michigan in the United States. A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he findings of the case studies are utilized as basic data for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for public libraries as community resources. The study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design and space uses in public libraries as follow; first, the floor plans of small-scale public libraries are open visually as well as spatially. The space organization of the libraries is arranged by potential noise levels, as placing noisy spaces near the entrance halls and quiet spaces at the back. Main book shelves ar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library buildings, while seats are arranged along the window sides. By placing various kinds of furniture in open reading areas, library users can select different types of seats and tables for their comforts. Second. the survey of observation also finds that a large number of users often use library computers and personal computers to connect the internet at the libraries. These personal computer users who are new user group in community based libraries preferred to sit in casual study areas and individual tables with one or two seats only. Third, the libraries, in addition, develop and provide various programs and events for people in communities. Especially, the programs for children, the elderly and new comers from the abroad are well prepared, thus provide opportunities for them to visit the libraries in regular bases. The survey finds that family entertainment and leisure activities are the important parts of the program as well as renting music CD and movie DVD are also important reasons for people to come. Thus, the libraries prepare high quality children's space and CD shelves near the entrance hall.

영국 공공도서관 건축의 발전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rchitecture of the Public Libraries in the U.K.)

  • 김영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15-128
    • /
    • 2009
  • 영국은 다른 나라들 보다 일찍 시작한 산업 혁명의 영향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도 다른 나라들 보다 일찍 시작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지난 150여 년 동안 공공도서관 인프라구축을 꾸준히 추진하여 현재까지도 세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영국의 각 지자체는 1850년에 제정된 공공도서관법을 근거로 하여 시민들의 편리한 도서관 이용을 돕고, 건립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많은 도서관을 건립하기 위하여 다른 용도의 건물을 리모델링하는 등 20세기 전까지는 단순한 형태의 소규모 도서관 건립을 시도하였다. 우리 나라도 더 많은 공공도서관을 건립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는데, 건립비용을 최소화 하면서 더 많은 도서관을 건립하기 위해서는 소규모 이면서 단순한 형태의 도서관을 많이 건립할 필요가 있겠다.

영국의 공공도서관법연구

  • 최달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7권
    • /
    • pp.177-206
    • /
    • 1980
  • Public library legislation is the essential means of providing for all the citizen in modern society with a standard public library service. We can trace the origin of that back to the Public Libraries Act 1850 in England. This paper is reviewing all the measures concerning public libraries of England since then in order to find out some guidelines for revision of the Korean Library Law enacted in 1963. Although Public Libraries Act 1850 was an output of a series of social reform movement in the 19th century, it established first the provision of public library service su n.0, pported by public funds. However the Act had several restrictions hindering public library service from making progress. These are: 1. Adoptive legislation in nature 2. Limitation of the size of population and rate income 3. Small library authorities 4. Procedure for adoption by public meeting 5. Restrictions on the ways in which rate income might be spent 6. No governmental organization to direct or control for a standardized public library service 7. No cooperative schemes among libraries. Subsequent development was directed largely to removal of those limitations. The present Public Libraries Act 1964 as a model of public library legislation was enacted on the basis of such reports as Kenyon, McColvin, Roberts, and Bourdillon. All but the problem of small library authorities were removed with this new Act. The final object could be achieved by the Local Government Act 1974 which reorganized existing 383 small authorities into new 115 ones the average population of which was 280, 000. Now, McColvin's dream of 30 years could be fulfilled in the late 70's. He argued that the minimum size of population of a viable authority should be 300, 000. Although the effect of the 1964 Act on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England was great, there must be some considerations as to the provisions of public library objective, government funding for library services, free use of library materials to all regardless of residence, and placement of library committee within the authority.

  • PDF

Clustering DEA/AHP 모형을 이용한 전국 공공도서관 효율성 평가 (A Study on Efficiency Analysis about the Public Libraries Using Clustering DEA/AHP Model)

  • 장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491-514
    • /
    • 2009
  • 최근 문화서비스에 대한 수요 확대와 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해 공공도서관을 확충할 계획이다. 하지만 대규모 투자비의 비가역성과 한정된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활용을 위해 현재 운영 중인 도서관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효율성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Clustering DEA/AHP모형을 활용하여 전국 공공도서관 565곳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국 공공도서관은 세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대형 도서관이 속한 Group 1의 평균 효율성은 0.89, 중형도서관이 속한 Group 2의 평균 효율성은 0.72, 소형도서관이 속한 Group 3의 평균 효율성은 0.60으로 평가되었다.

  • PDF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상호협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Public Library Cooperation in Incheon)

  • 강숙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69-98
    • /
    • 2010
  • 본 논문은 국립중앙도서관의 협력망 사업과 전국 공공도서관의 상호협력 현황을 살펴보고,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일반 현황과 협력사업의 실태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의 확충과 범위의 확대라는 환경변화를 고려하여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상호협력업무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상호협력업무의 개선 방안으로는 (1) 상호협력의 기반으로서 단위공공도서관의 인프라 강화, (2) 지역대표도서관의 위상강화 및 도서관정책수립 기구의 실효성 있는 운영, (3) 운영주체의 다원화 극복 및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4) 거점도서관의 지정 운영, (5)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지역별 공공도서관 특성화의 추진, (6) 기존의 공공도서관 협력사업의 개선 및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