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mall Cities

검색결과 615건 처리시간 0.029초

Distributed Social Medical IoT for Monitoring Healthcare and Future Pandemics in Smart Cities

  • Mansoor Alghamdi;Sami Mnasri;Malek Alrashidi;Wajih Abdallah;Thierry Va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5호
    • /
    • pp.135-155
    • /
    • 2024
  • Urban public health monitoring in smart cities focuses on the control of conditions and health challenges in urban environments. Considering the rapid spread of diseases and pandemics, it is important for health authorities to trace people carrying the virus. In smart cities, this tracing must be interoperable and intelligent, especially in indoor surfaces characterized by small distances between people. Therefore, to fight pandemics, it is necessary to start with the already-existing digital equipment of the Internet of Things, such as connected objects and smartphones. In this study, the developed system is employed to provide a social IoT network and suggest a strategy which allows reliable traceability without threatening the privacy of users. This IoT-based system allows respecting the social distance between persons sharing public services in smart cities without applying smartphone applications or severe confinement. It also permits a return to normal life in case of viral pandemic and ensures the much-desired balance between economy and health. The present study analyses previous proposed social distance systems then, unlike these studies, suggests an intelligent and distributed IoT based strategy for positioning students. Two scenarios of static and dynamic optimization-based placement of Bluetooth Low Energy devices are proposed and an experimental study shows the contribution and complementarity of the introduced contact tracing strategy with the applications on smartphones.

근대(近代) 도시화(都市化)에 따른 전라도(全羅道) 전통(傳統) 소도읍(小都邑)의 공간구조변화과정(空間構造變化過程) 연구(硏究)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Traditional Small City Structure in Jeollabuk-Do)

  • 이경찬
    • 건축역사연구
    • /
    • 제11권3호
    • /
    • pp.21-34
    • /
    • 2002
  •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spatial structure of traditional small city structure in Jeollabuk-Do in the process of modern urbanization between 19th century and the year 2000. The small cities, IM-PI, YONG-AN, YEO-SAN, OK-GOO, GO-SAN, MU-JANG, GUM-MA, GO-BU, which have been local administrative center in CHO-SUN dynasty, have role of local administrative center of subdivision of country-myon, except OK-GOO.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spatial structural elements of with the actual field surveys, the analysis of Gunhyun map made in 1872, land registration maps in 1910s and 2000, and various topological maps. The elements of analysis are the topological site and geographical situation conditions, the urbanized areas, the street systems, the function of streets, the focal points of urban land use, the land use systems, and the location of major facilities such as administration facilities, markets, bus terminals. The analytical point of view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re is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 of internal matrix route system and the growth pattern of urbanized areas, Especially on the contrary to the matrix route with East-West direction which has the role of checking the growth of urbanized area, the South-North direction route acts as the leading line of the growth. The focal points structure of urban land use shows transformation process from the point of central space of administrative district in front of Nae-A, to the access point to administrative district or to the access point to housing and neighborhood commercial area. From the point of functional area structure and major facilities location, line-type commercial area is developed along the line of central axis route and access route to administrative district. Especially direction of the growth of commercial area is strongly connected with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tudy area and its neighboring cities. Pattern of commercial district development is varied with the direction of matrix route. That is, commercial district, which shows one side development pattern along the East-West direction route, is developed on both sides of street along the South-North direction route.

  • PDF

로컬콘텐츠로서의 소도시 만들기: 한국과 일본의 마을스테이 사례를 중심으로 (How to Create Small-sized Cities as Local Contents: Focusing on the Case of 'Town-stay' in Korea and Japan)

  • 정수희;허동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3-39
    • /
    • 2023
  • 최근 인구감소와 도시 쇠퇴로 인해 도시 자체의 질적 변화를 유도하고 차별화 된 발전모델을 만드는 방안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지역문화는 고유성과 다양성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활용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의 확장과 파급효과를 가져온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활기가 넘치고, 지속가능한 로컬 생태계를 조성하는 차원에서의 문화콘텐츠 개발과 장소만들기로서 '마을스테이(마을호텔)'라는 새로운 로컬콘텐츠의 접근 방식을 살펴 보고자 한다. 개별 콘텐츠의 독창성과 창의성이 지역의 매력을 돋보이게 할 수 있겠으나, 일부 소도시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결과, 콘텐츠적 요소(장소, 이야기, 사람)를 마을스테이라는 면(area) 단위 콘텐츠로 구체화함으로써 밀도 있게 제시하여 가시성을 높이고, 지역 연결성을 드러낸 다양한 콘텐츠로 확장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핵심 주체인 로컬크리에이터는 지역성을 이해하고 능동적 활동을 유도하며,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연대를 도모한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구한다.

도농복합형 중소도시의 중소기업육성정책 개선방안;경기도 화성시 중소기업인의 인식을 중심으로 (Policy Suggestions to the Urban-rural Form City Governments' Policy for Small and Medium-size Firms;Based on the Entrepreneurs' Perceptions in Hwaseong City, Kyonggi-do Province)

  • 윤의영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2권2호
    • /
    • pp.163-172
    • /
    • 2005
  • Since the financial turmoil in 1997, both the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initiated a variety of policy measures to support small and medium-size firms to strengthen the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es. It is no doubt that such policies contributed to establish better business environment for them. However, many analytical reports and academic studies in recent years diagnose that the economy conditions for the small and medium-size firms are in crisis because many policy measures are made based on the supply-side approach rather than demand-side consideration. In order for the governments' efforts to be more realistic and effective, it is necessary to see what the policy target groups(that is. the small and medium-size entrepreneurs) want. This study surveyed entrepreneurs in Hwaseung city, Kyonggi-do, which has more than three-thousands of small and medium-size firms. It finds that in spite of locational advantages and a variety of policy supports from the provincial and local governments, they need more financial supports, more effective mass transportation system for commuting workers. less bureaucratic barriers, and so on.

  • PDF

소규모 도시를 위한 전전기 자동차 세어링 서비스 시스템 모델링 및 분석 연구 (Modelling and Analysis for Sharing of Full Electric Vehicles in Small-sized Cities)

  • 진영근;조현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857-1862
    • /
    • 2012
  • 소규모 도시에서는 지하철과 같은 대규모의 구축비용과 운용비용이 필요한 저공해 대중교통 시스템을 구축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개선 및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세어링 서비스 프레임 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소규모도시를 위한 대중교통 시스템을 제시한다. 제시한 시스템의 대중교통 수단으로의 유효성을 시뮬레이션 하였으며, 세어링 시스템을 도입하는 경우 출퇴근 시간대의 혼잡도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성소비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관여도에 관한 연구 -대도시와 중소도시 거주자의 비교 분석 - (A Study on the Women Consumers'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Involvement - Comparative Analysis of Large and Small City -)

  • 임경복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8-7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omen consumers'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involvement according to size of the city. 538 females living in Seoul(large city) and Jecheon(small city)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were used. For clothing consumption value, five factors of value were founded and labeled as functional, emotional, epistemic, social and conditional value. Three factors of clothing involvement were also identified as clothing/fashion, symbolism and reasonability involvement. Size of the city influenced total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involvement. Also, size of the city influenced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involvement factors. When the cit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large and small city), they showed different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involvement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지방도시에 입점하고 있는 종합슈퍼와 백화점에 대한 점포이미지 비교 분석 (A Study of the Images of General Supers and a Department Store in a Local City)

  • 김창곤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6호
    • /
    • pp.17-26
    • /
    • 2012
  • 도농 복합형태인 인구 30만인 순천시에 종합슈퍼와 백화점 등 대규모점포 4개가 운영 중인 것은 대규모점포의 과잉공급이라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순천시는 전남 동부권의 교통요지로서 광양시, 여수시, 보성군 및 구례군 등 인근 지역에서 1 시간 이내에 점포방문이 가능하다. 4개 점포는 도시와 농촌 지역의 거주자도 고객층으로 간주하여 차별화된 점포이미지 구축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점포이미지 변수를 13개로 세분하여 각 점포의 이미지를 비교하였다. 점포이미지는 진열 상품의 다양성 및 품질, 점포 접근성, 매장 분위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미지는 고객들의 주관적 판단에 따라 각자에게 인지되고, 점포를 선택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점포이미지 변수를 대분류 5개 소분류 13개로 분류하였다. SPSS Ver. 19를 이용한 요인분석에서는 5개로 대분류된 점포이미지가 3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어 추출되었다. 5개 대분류에서 편의성, 분위기 및 서비스 이미지로 분류된 이미지들이 첫 번째 공통요인으로 추출되었고 이를 본 연구에서는 부대서비스 요인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5개 분류에서 편의성 이미지로 분류되었던 접근성과 상품관련 이미지로 분류되었던 상품다양성과 가격 이미지는 같은 공통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이는 점포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이 대도시인가 또는 지방 중소도시인가, 설문 조사에 응한 집단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13개 이미지 변수에 대해서 점포간 및 응답자간 점포이미지 비교에서는 접근성, 가격, 브랜드 이미지 및 조명/음향 이미지에서 점포별 및 응답자 집단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도농복합형태의 지방 중소도시 거주자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점포가 소재하고 있는 지역의 교통체증 정도, 응답자 집단의 생활수준 등에 따라 고객이 느끼는 점포이미지는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대규모점포를 이용하는 고객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지방 도시에는 비교적 규모가 큰 전통시장이 열리고 있으며, 대규모점포와 전통시장은 상품의 종류, 가격 등에서 경쟁을 하고 있다. 대규모점포를 이용하는 고객과 전통시장을 방문하는 고객이 느끼는 점포이미지는 다를 수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도시 소재 점포와 지방 중소도시 소재 점포와의 동시 조사로 점포이미지에 대한 상대적 비교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동일 지역에서 대규모점포 이용 고객과 준대규모점포 또는 전통시장 이용 고객층에 대한 상대적 비교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적정규모 학교 정책수립을 위한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수와 학급수에 관한 기초 연구 I - 경상남도 17개 시군을 중심으로 - (A Basic Study on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lassroom in Korea for Making Policy in Optimal School Scale I - Centered on 17 Cities and Counties in Gyeongsangnam-do -)

  • 윤용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3호
    • /
    • pp.54-64
    • /
    • 2018
  • 경상남도 8개시와 9개 군지역 총 17개시 482 개교 학생수와 학급수 조사 분석을 실시하여 적정규모 정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한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상남도 8개시 동지역의 전체 206개 초등학교중 대규모 학교가 65개교(31.6 %), 적정규모 학교는 107개교(51.9 %)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300명 미만의 소규모 학교는 35개교(17.0 %)로 나타났다. 시 읍면지역내 초등학교 138개교중 대규모 학교는 16개교(11.6 %), 적정규모학교는 25개교(18.1 %)로 적은데 비하여 소규모학교가 97개교(70.3 %)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이중 150명 미만의 소규모 학교는 14개교(10.1 %)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경상남도 9개 군 지역의 전체 137개 초등학교중 대규모 학교가 3개교(2.2 %), 적정규모 학교는 17개교(12.4 %)로 적은 편이며, 300명 미만의 소규모 학교는 117개교(85.4 %)로 이중 150명 미만의 소규모 학교가 111개교(81.0 %)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시 동지역, 시 읍면지역, 군지역으로 세분하여 분석한 결과 시 동지역과 달리 시 읍면지역과 군지역에서는 소규모 학교와 극소규모학교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시 읍면지역과 군지역 학교 교육환경을 고려한 시지역 학교와 차별화된 시 읍면지역과 군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적정규모 정책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보건교사의 비만관리실태 조사연구 (A study on practice of obesity control by school nurses)

  • 주현옥;송미경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49-261
    • /
    • 2002
  • This study was a research study to find out the real picture and practice of student obesity control by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chool nurses. The study sampled 196 school nurses working in the Busan City and Northern Gyungsang Province, who agreed on the purpose of the study. When it comes to the study process, at the meeting of the whole school nurses,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sked them to complete questionnaires and return on the spot. The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basic data for school nurses in field to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control student obesity by examining perception of school obesity control and the real picture or practice of obesity control as well as its problems. The study used SPSS 10.0 to analyz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Annual plans about obesity control appeared significant at the primary school, 89.3%, higher than 77.3%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p<0.05). Annual project evalu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regions, 56.0% of metro cities vs. small cities(p<0.01). The number of measuring weight of obese students was higher at the primary school than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p<0.05). Also small cities conducted the weight measurement more often than metro cities(p<0.001). Among the health education methods for obesity, counseling appeared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The health 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ore experienced school nurses. Among the educational media, environment postings were used at the primary school, 24.0%, higher than 5.3%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OHP or epidiascopes were used at the primary school, 36.4%,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iddle and high school(p<.001). In addition, computer was used at the primary school, 21.5%, higher than the middle and high school(p<.05). Problems of obesity education data included a lack of textbooks and programs and a short of educational media. However it didn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s or in regions. Counseling activities for obes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s(p<.01) and in regions(p<.001). When parents with obese students were in counseling, those in their 20s used home correspondence and those in their 30s and 40s used phone call(p<.01). The rate of equipment to measure obesity was higher at the middle and high school than the primary school,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p<.001). Therefore, regular health education curriculums for school nurses should be systematically created to promote student health. Furthermore, it needs to make standard textbooks for health education by grades as well as by levels and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nd educational media.

도시의 쇠퇴가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 도시 규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Urban Decline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Residents)

  • 권오규;강은택;마강래
    • 지역연구
    • /
    • 제35권2호
    • /
    • pp.33-47
    • /
    • 2019
  • 본 연구는 도시쇠퇴가 주민의 주관적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우리나라 도시들을 규모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도시규모별 쇠퇴정도에 따른 전반적 생활만족감, 가족의 수입만족감, 주거환경 만족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도시쇠퇴의 진행과 삶의 만족감 변화의 동태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사용하여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쇠퇴가 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은 거주하는 도시의 규모에 따라, 부문별 삶의 만족감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대도시 주민의 경우 도시쇠퇴가 진행됨에 따라 주거환경 만족감은 감소하나, 과밀 해소로 인한 사회적비용의 감소로 전반적 생활만족감은 증가하였다. 이와 달리 소도시 주민의 경우에는 도시의 쇠퇴가 전반적 삶의 만족감, 가족의 수입만족감, 주거환경만족감을 모두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