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Women Consumers'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Involvement - Comparative Analysis of Large and Small City -  

Lim Kyung Bock (Dept. of Clothing & Textile Design, Semyu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29, no.1, 2005 , pp. 68-7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omen consumers'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involvement according to size of the city. 538 females living in Seoul(large city) and Jecheon(small city)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were used. For clothing consumption value, five factors of value were founded and labeled as functional, emotional, epistemic, social and conditional value. Three factors of clothing involvement were also identified as clothing/fashion, symbolism and reasonability involvement. Size of the city influenced total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involvement. Also, size of the city influenced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involvement factors. When the cit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large and small city), they showed different clothing consumption values and involvement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variables.
Keywords
Size of city; Clothing consumption value; Clothing involvement; Demographic variabl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미영, (2004). 도시와 농촌의 피복비 지출 행태비교. 한국의류학회지. 28(7), 939-949
2 전양진. (2001). 한국여성의 가치관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4), 773-782
3 한희정, 김미숙. (2002). 소비가치와 의복구매전 의사결정과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26(6), 853-864
4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 160
5 Vison, D. E., Scott, J. E. & Lamont, L. M. (1977) The role of personal value in marketing and consumer. Journal of Marketing, 41(Apr.), 44-50
6 김지연, 이은영. (2004). 의류제품의 서비스 품질, 제품품질과 가격이 점포애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8(1), 12-21
7 임경복. (2001). 소비자의 가치체계가 의복관여도와 쇼핑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7), 1321-1331
8 Kaier, S. B. (1985). The social psychology of detdornment. NY: Macmilan Publishing Co
9 이영선. (2000). 의복중요성 지각과 의복관여 가치, 유행의사 선도력 및 쇼핑행동과 관련지원, 한국의류학회지, 24(4), 549-559
10 이은영. (1999). 패션마케팅. 서울: 교문사
11 김혜정, 박혜정. (2004). 패션산업의 문화가치와 소비가치. 한국의류학회지, 28(1), 1-11
12 김선희. (1998). 의복 소비가치의 구조와 의복관여 및 유행 선도력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13 은소영, 주소현, 이경희. (2002). 의복배색의 시각적 감성연구 (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26(6), 833-842
14 Mittal, B. (1989). A theoretical analysis of two measures of involvemen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6, 697-702
15 강경자. (1994). 의복의 정숙성, 심미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2), 180-188
16 이정주, 진병호. (1995). 국내 중저가 캐쥬얼 의류의 상표 이미지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19(6), 1040-1050
17 Zaichkowsky, J. L. (1985). Measuring the involverment constr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2(3), 341-352   DOI   ScienceOn
18 고애란, 진병호, 심정은. (2000). 청소년기 여학생의 의복행동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4), 475-486
19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2001). 소비자행동-마케팅 전략적 접근. 서울 :법문사
20 전호경, 황선진. (1998). 직장상황 임산부의 의복스타일과 직업유형이 호의도와 업무수행 능력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2(6), 706-715
21 Higie, R. A. & Flick, L. F. (1989). Enduring involvement: conceptual and measuring issues. Advances in Research, 16, 690-696
22 안광호, 황선진, 정찬진. (1999). 패션마케팅. 서울: 수학사
23 이옥희, 홍병숙. (1998). 청소년들의 상징적 의류제품 소비성 향과 관련변수와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22(6), 781-792
24 김유경. (1999). 광고표현에 나타난 소비자 가치유형의 비교 연구: 한국, 러시아, 프랑스, 미국 TV커머셜의 내용분석, 광고연구, 44, 129-134
25 김은영, 이영선. (2002). 의류제품에 대한 주관적 지식이 정보 탐색과 평가규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6(9), 1378-1389
26 이수인, 박혜정, 정혜영. (2004). 홈쇼핑 이용자의 패션 라이프스타일이 패션제품 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8(1), 54-65
27 이승희, 임숙자. (1998). 유행선도력에 따른 소비자 추구혜택 및 의복 스타일 선호도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4), 942-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