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w City Management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Necessity of the Slow City Management and Distributional Values by Generations

  • Yooncheong CHO
    • 유통과학연구
    • /
    • 제21권7호
    • /
    • pp.21-3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o perceive the role of the slow city and provide policy and managerial implications on the necessity of the slow city management and distributional values based on perspectives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This study examined i) how do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perceive economic, environment, cultural, community, and quality of life factors on attitude toward the slow city? ii) how does attitude affect overall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the slow city to other cities' residents? iii) how do millennials perspectives on proposed factors differ from generation Z?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and applied t-test, factor,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effects of economic and quality of life factors on attitude toward the slow city showed significance in cases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while effects of environment factor on overall attitude showed significance in the case of generation Z. Conclusions: Governments should foster how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 slow city to form a better attitude in a society and put efforts to build a better image and management of the slow city.

The Impact of Global Uncertainty Shocks on Macroeconomics: The Case of Vietnam

  • TRAN, Ha Hong;NGUYEN, Vinh Thi Hong;TRINH, Nam Hoa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9호
    • /
    • pp.263-269
    • /
    • 2022
  •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2009 and the COVID-19 pandemic that started in 2019 along with the slow and unstable recovery of the global economy have raised concerns about the impact of global uncertainty on the macroeconomics of the countries. The paper used the Structural Vector Autoregression (SVAR) model to examine the impact of global uncertainty shocks on Vietnam's economy from the period 2008-2022. We found that Vietnam's output dropped following the shock of global uncertainty, the peak was in the third month, and lasted for one year. Inflation in Vietnam had a rapid downturn in the first month, peaked in the seventh month, and took a long time to cease. When the economy experienced the shock of increased global uncertainty, Vietnam's policy interest rate was adjusted downward. Additionally, we included a long-term interest rate to consider the overall impact of monetary policy into account. A decreasing trend was also found with this rate. The global uncertainty shock effects acted as the aggregate demand shocks, reducing output and inflation as the uncertainty increases and vice versa, thus monetary policy can be used to regulate Vietnam's economy to deal with negative shocks without the trade-offs between output and inflation as aggregate supply shocks.

대구 팔공산의 가치와 활용방안 (The Value and Application of The Mt. Palgong in Daegu)

  • 전영권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1-68
    • /
    • 2012
  • 대구 팔공산의 문화 역사 생태적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문헌, 인터뷰, 현장답사를 진행하였고, 이를 토대로 팔공산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팔공산의 자연지리적 범위는 협의의 범위(화강암산지로 구성된 팔공산괴), 광의의 범위( 팔공산괴에 접하는 접촉변성암지대까지 포함)로 구분된다. 문화적 범위는 대구(달성군 제외)와 경북의 경산시 영천시 군위군 칠곡군(동명면과 기성면)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2) 남서사면이 북동사면에 비해 지질적 경계가 다소 분명하다. 팔공산에는 토르, 판상절리지형, 거터 등이 보편적으로 발달하며, 남서사면은 산지지형(암괴류, 다각형 균열바위 현상)이, 북동사면은 하천지형(하식애, 폭포, 포트홀, 소)이 상대적으로 우세하다. 3) 팔공산의 명품 관광단지 조성을 위해서는 팔공산에 산재하는 다양한 명품 이야기 거리를 발굴하는(스토리텔링) 것이 필요하다. 4) 팔공산의 체계적 관리를 위해 팔공산의 국립공원 지정이 요구되며, 나아가 팔공산 제천단의 복원과 갓바위의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통한 팔공산 정체성 확보와 대구의 브랜드 가치제고를 위한 마스터플랜이 마련되어야 한다. 5) 팔공산의 개발방식은'느림'에 토대를 둔'슬로우 라이프 타운'형태가 바람직하며, '팔공산 박물관'조성을 통해 탐방객들에게 팔공산에 관한 모든 정보를 한 자리에서 통합적으로 제공해 줄 수 있는 즉, one stop service가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도시이미지 인지와 선호등위선 개발 - 성남시를 대상으로 - (Developing Cognition and Preference Contours of a City Image - A Case Study of Seongnam City -)

  • 변재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14
    • /
    • 2010
  • 도시 내 일부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닌 지역은 도시 전체 이미지에 커다란 악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는 전체 도시이미지 향상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을 사전에 찾아내기 위하여 도시이미지를 도면화하는 것은 도시 정책 입안자들의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정책 및 대응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이미지에 대한 시민들의 인지도와 선호도를 기반으로 등위선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중첩하여 관리도면을 도출함으로써 도시이미지 전략을 결과 위주가 아닌, 프로세스 중심으로 변화시키는 초석을 마련하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로서, 첫째, 성남시의 주요 상징물들의 인지도와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인지도는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나, 선호도는 비교적 균등한 값의 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도시의 이미지 경향을 파악하고 진단하기 위한 인지와 선호등위선은 도시 전체 차원에서, 도시의 전반적인 이미지 경향을 한눈에 쉽게 판단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셋째, 인지와 선호등위선을 중첩한 도시이미지 관리도면에서는 4가지 유형으로 도시 권역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한 관리방안에 있어서 인지도가 높으나 선호도가 낮은 지역은 특별히 이미지 관리의 우선지역으로 선정하여 도시 전체의 이미지 역량을 집중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이상의 결과 이외에도 인지도가 높은 지역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거나 유동 인구가 많은 곳으로 판단할 수 있다. 특히, 해당 지역 중 선호도가 높은 지역들은 도시 관리를 위한 조망점 선정에 있어서 유력한 후보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인지와 선호등위선은 향후 도시 관리를 위한 조망점 선정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도시이미지 선호지역을 중심으로 외부 방문객들이 도시를 탐방하고 관광할 수 있는 도시탐방 네트워크 구성에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도시의 전반적인 이미지 향상에 새로운 활력을 제공해 주는 계기가 될 것이다.

냉각팬 전자제어를 통한 시내버스의 연비 개선 (The Effect of Cooling Fan Control on Fuel Economy of City Bus)

  • 김기복;박진일;이종화;박경석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7
    • /
    • 2013
  • This paper focuses on cooling fan control by using a magnetic clutch type for the improvement of fuel economy on a heavy city bus. In general, Heavy duty vehicles use viscous clutch type cooling fan which has some disadvantages, such as slow response, wide temperature variation of engine coolant water. But a magnetic clutch type cooling fan can be controlled electronically so the engine coolant temperature can be precisely controllable and this effects could be used to reduce fuel consumption. A control system for applying the magnetic clutch type cooling fan was developed in this study and applied to the real field test and chassis dynamometer test. The result showed well controlled coolant temperature and enhancement of fuel economy.

지방정부의 정책추진과 갈등관리 -남양주시 소각잔재매립장 입지선정 및 건설갈등 사례- (Policy Process and Conflict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A Case of Namyangju City's Landfill Site Construction for Incineration Remnants-)

  • 강문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56-172
    • /
    • 2011
  • 본 연구는 오랜 기간 동안 난항을 거듭해왔던 한 사례를 통해 지방정부의 정책추진과정에서 갈등관리능력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부각시켜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가 주목한 사례는 지난 1991년 입지선정에서 시작하여 무려 20년이란 긴 세월 동안 정책추진의 난항을 거듭해오다가 최근에 이르러서야 해결의 문턱을 넘어 비교적 안정적인 정책추진의 기미를 보이고 있는 경기도 남양주시의 쓰레기 소각잔재 매립장 건설사례다. 유사한 입지선정 및 건설과정의 갈등을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내에 성공적인 정책추진을 경험했던 기타의 많은 지방정부 사례와 달리 남양주시 사례의 경우 장기간 동안 대립적 상황을 거듭해 왔던 점은 갈등관리의 차원에서 주목해 볼만한 특이사례다. 과연 남양주시는 왜 정책추진에 그토록 오랜 세월을 허비하며 난항을 거듭해 온 것일까? 본 연구는 일정한 분석모형에 입각하여 정책 성패요인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연역적 접근과는 달리, 정책단계별 사례의 개요와 쟁점 및 구조를 기술하는데 치중함으로써 정책단계별 갈등관리의 중요 요소를 귀납적으로 추론해 나가는 방식을 취했다. 분석 결과, 지방정부의 정책추진과정에서 갈등관리는 정책수립 및 결정단계와 홍보단계 그리고 집행단계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민주적 절차와 토론 및 주민과의 협력을 도출하기 위한 노력을 요하는 연속적 과정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정책성공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울산 지역에서 2001년 이후 이산화황(SO2)의 고농도 사례 분석과 저감 정책 방안의 검토 (Case Analysis on High Concentration of SO2 and Review on Its Reduction Policy in the Ulsan Metropolitan Area since 2001)

  • 문윤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23-437
    • /
    • 2008
  • Until comparatively lately, the annual time series of the $SO_2$ concentration had been shown in a decreasing trend in Ulsan as well as other Korean cities. However, the high concentration of $SO_2$ was frequently found in the specific countermeasure region including the national industrial complex such as Mipo and Onsan in the Ulsan city for the period of $2001{\sim}2004$. There are many conditions that can influence the high concentration of $SO_2$ at monitoring sites in Ulsan, such as: First, annual usage of the fuel including sulfur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the year before in spite of the fuel conversion policy which wants to use low sulfur oil less than 3% and LNG. Second, point source, such as the power plants and the petroleum and chemistry stacks, was the biggest contributor in $SO_2$ emission, as a analyzed result of both the air quality modeling and the stack tole-monitoring system (TMS) data. And third, the air pollutants that occurred in processes of homing and manufacturing of the fuel including sulfur were transported slow into a special monitoring site by accumulating along the frontal area of see-breeze. It was concluded that Ulsan's current environmental policy together with control methods should be changed into the regulation on total amount of emission, including a market-based emission trading with calculating of atmospheric environmental critical loads, for the $SO_2$ reduction like the specific countermeasure for the $O_3$ and PM10 reduc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is change should be started in the big point sources of $1{\sim}3$ species because they are big contributors of Ulsan's $SO_2$ pollution.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of the self-regulation environmental management. Other control methods for sustaining the $SO_2$ reduction are as follows: maintenance of the fuel conversion policy, reinforcement of the regional stationary source emission standard, and enlargement of the stack T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