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ope Scene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19초

고속도로변 사면경관의 인지적 관계분석 (Analysis on Perceptual Relationship in the Slope Scene of Highway)

  • 정성관;박정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43
    • /
    • 1992
  • The perceptual characteristic on the slope scenery around highway is very similar as the general perceptual characteristic in the landscape. This process determines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enery observ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place. It is very important to have a analysis on highway slope scenery in our particular culture in Korea since our country's highways are done by cutting mountains : therefore, we have a lot of slopes around highway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n the highway scenery determines how we should build scenery around highway to a satisfactory level. The results drawn from this research work are as follow: 1) The satisfaction for slope scene had been affected by sex, native and experience of travel. I thought that the slope scene having peculiar form will offer the highest satisfaction. 2) Psychological factor, reflected satisfaction of slope scene, 몽 a grip of three factors as the factor of evaluation, texture, formation, and presumption formula is : Satisfaction=1.04(Evauluation factor)+0.83(Texture factor)+0.15(Formation factor)+4.28)R2=0.69). 3) Vine among the vegetation componeents of slope scene highly correlated with the evaluation factor and grass, shrub correlated with the texture factor. 4) Rock among the structual components of slope scene highly correlated with the formation factor, and stockade, lattice correlated with the evalution factor. 5) Gradient among the properties which determined slope form, highly correlated with the formation factor.

  • PDF

고속도로 비탈면 경관의 법면공법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와 조화성 분석 - 대전${\~}$진주간 고속도로를 대상으로 - (An Analysis on the Visual Image and Harmony of the Construction Method in the Slope Scene -A Case on the Daejeon${\~}$Jinju Highway-)

  • 이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3-4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the landscape visual image of the slope scene and their harmony with surrounding sceneries. This research utilized the basic study tool of psycho-physics and processed the case study of ten types of slope construction scene along the highway.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data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s and the photos for the slope construction scene. The questionnaires for analysis the image of the slope construction scene and their harmony with surrounding sceneries were designed using semantic differential scale and 5 point Likert-scal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At the part of the visual preferences analysis, the slope revegetation methods showed high level of preferences generally than on the slope structure methods. While the slope revegetation methods were estimated friendly, continuity, harmonious, soft, light and wide, the slope revegetation methods were estimated unstable, female, static, simple, omnipresent, appeared as policeman of weak inclination. Also the slope structure methods were estimated stable, manly, complicated, steep and healthy but rough, unharmonious, unfamiliar and heavy. 2.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for the slope revegetation methods were composed of three factors, aesthetic, individuality and physical character. And the slope structure methods were composed of five factors, aesthetic, individuality, stability, physical character, and complexity. 3. At the part of harmony with surrounding landscapes, the slope revegetation methods were evaluated highly but the slope structure methods received the lowest evaluation. Also the harmony analysis with surrounding view on the slope revegetation methods showed degree of high more than average in all texture, form, color and scale but the slope structure methods showed degree of fewer than average degree in form, scale, color and texture.

3D SCENE EDITING BY RAY-SPACE PROCESSING

  • Lv, Lei;Yendo, Tomohiro;Tanimoto, Masayuki;Fujii, Toshiaki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IWAIT
    • /
    • pp.732-736
    • /
    • 2009
  • In this paper we focus on EPI (Epipolar-Plane Image),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Ray-Space, and we propose a novel method that chooses objects we want and edits scenes by using multi-view images. On the EPI acquired by camera arrays uniformly distributed along a line, all the objects are represented as straight lines, and the slope of straight lines are decided by the distance between objects and camera plane. Detecting a straight line of a specific slope and removing it mean that an object in a specific depth has been detected and removed. So we propose a scheme to make a layer of a specific slope compete with other layers instead of extracting layers sequentially from front to back. This enables an effective removal of obstacles, object manipulation and a clearer 3D scene with what we want to see will be made.

  • PDF

실세계 영상에서 경계선과 영상 분할을 이용한 기울기 검출 및 보정 (Extracting the Slope and Compensating the Image Using Edges and Image Segmentation in Real World Image)

  • 백재경;서영건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41-44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문자열과 배경이 혼합된 장면에서 영상을 분할하여 기울기를 추출하고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모폴로지를 이용하여 전처리를 하고 캐니 연산자를 이용하여 경계선을 검출한다. 그리고 경계선이 검출된 영상을 분할하여 경계선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영역은 배제하고 경계선이 포함되어 있는 영역만을 이용하여 여러 방향의 기울기에 따른 투영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이를 이용하여 각 영역의 최대 경계선 집중도를 갖는 기울기를 구하고 장면의 기울기를 보정한다. 문자열과 배경이 혼합된 장면의 기울기 검출에서 제안된 방법은 경계선이 없는 무의미한 부분을 배제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법보다 0.7%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장면 텍스트 영역 추출을 위한 적응적 에지 강화 기반의 기울기 검출 및 보정 (The Slope Extraction and Compensation Based on Adaptive Edge Enhancement to Extract Scene Text Region)

  • 백재경;장재혁;서영건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77-785
    • /
    • 2017
  • 실세계에서 텍스트가 포함 된 장면은 텍스트를 추출하고 인식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장면의 텍스트 영역을 추출하고 인식하는 기술들은 꾸준히 발전하고 있다. 장면에서 텍스트 영역을 추출하는 기술은 크게 텍스쳐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과 연결요소방법, 그리고 이 둘을 적절히 혼합하는 방법들로 구분 할 수 있다. 텍스처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은 영상의 색상, 명도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텍스트가 다른 요소와는 다른 값을 갖는다는 것을 기반으로 한다. 연결 요소 방법은 장면의 각 화소마다 인접해 있는 유사 화소를 연결 요소로 만들어 기하학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판별한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영역 추출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영상의 기울기를 검출하고 보정한 후 에지를 적응적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영상의 기울기를 보정한 후 텍스트가 포함 된 정확한 영역만 추출하기 때문에 MSER보다 15%, EEMSER보다 10% 더 정확하게 영역을 얻었다.

스토리텔링 콘텐츠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영화 스토리 발단부의 자동 경계 추출 (Extracting Beginning Boundarie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Movie Storytelling Contents)

  • 박승보;유은순;정재은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4호
    • /
    • pp.279-292
    • /
    • 2011
  • 영화는 스토리를 전달하는 대표적인 매체 중의 하나이며 영화 속 스토리는 인물, 사건, 배경의 유기적인 연결을 통해 진행된다. 소설과 같이 스토리를 지닌 다른 매체와 마찬가지로 영화 역시 서사 구조를 갖고 있다. 즉 등장인물 간의 갈등과 해결이 인과 관계에 따라 전개된다. 영화의 서사구조는 아리스토텔레스의 3막 구조를 가지며 6단계로 세분화 될 수 있다. 전통적인 3막 구조는 발단부, 중반부, 결말부로 구성된다. 발단부는 영화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배경을 소개하고 사건의 실마리와 갈등을 암시하는 장치들을 제시한다. 중반부는 내외적인 요인들에 의해 사건이 발전하고 갈등과 긴장을 고조시키는 부분이다. 결말부에서는 사건이 해결되면서 스토리의 주제 및 작가의 메시지가 전달된다. 특히 발단부는 스토리 진행을 위해 등장인물의 성격을 설정하고 배경을 지시하는 등의 다양한 정보가 노출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영화의 축약이나 등장인물들의 중요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영화의 스토리를 추출할 경우 서사구조에 따라 가중치를 다르게 부여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등장인물 수를 누적한 그래프를 이용하여 발단부와 중반부의 경계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발단부에서는 주요 등장인물이 소개되고 이들 간의 갈등이 암시되거나 사건의 실마리가 제시된다. 따라서 주요 등장인물의 등장이 마무리되는 장면에서 일정 장면이 진행된 이후의 장면이 발단부와 중반부의 경계가 된다. 주요 등장인물은 주인공과 적대자, 그리고 주인공과 적대자를 보조해 주는 각각의 보조자(조연)로 구성되기 때문에 등장인물 수 누적 그래프에서 주요 등장인물의 등장이 마무리되는 장면을 찾기 위해서는 단역을 제거하여야 한다. 또한 주요 등장인물이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 변곡점을 찾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단역이 제거된 등장인물 수 누적 그래프를 그린 후 변곡점을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발단부와 중반부의 경계는 주요 등장인물의 출현이 마무리 된 후 갈등과 사건의 실마리가 암시되는 추가적인 장면이 진행된 후에 나타난다. 따라서 다수의 영화를 통해 추가적인 장면의 개수를 설정하는 실험을 진행할 것이다.

Research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 People and Park Design

  • Zhang, Yun-Ji;Piao, Yong-Ji;Cho, Tae-Dong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61-666
    • /
    • 2012
  • This article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characteristics of the elder people and the size of park facilities during utilization of parks by scientific investigation. The experiment involves 540 elder people, and offer concrete evidence for park design in ageing society. These evidences mainly consists of the following aspects: First,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situation of elder people and their using parks. Secondly, the relation between the hearing status and exchange circle diameter in elders. The las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distance visual acuity and designing the scene. Finally we get the most suitable step length range, stairs height, road slope, communication space diameter and general formulas about the best vision distance for elder people.

Landsat 영상과 DTM 자료의 하천유역 해석에의 응용기법 개발 (Applications of Landsat Imagery and Digital Terrain Model Data to River Basin Analyses)

  • 조성익;박경윤;최규홍;최원식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7-131
    • /
    • 198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chniques acquiring hydrologic parameters that affect runoff conditions from Landsat imagery. Runoff conditions in a study area were analyzed by employing the U.S. Soil Conservation Service(SCS) Method. SCS runoff curve numbers(CN) were estimated by the computer analysis of Landsat imagery and digiral terrain model(DTM) data. The SCS Method requires land use/cover and soil conditions of the area as input parameters. A land use/cover map of 5 hydrological classes was produced from the Landsat multi-spectral scannerr imagery. Slope-gradient and contour and contour maps were also made using the DTM topographic data. Inundation areas depending on reservoir levels were able to be mapped on the Landsat scene by combining the contour data.

자연경관 조형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경남지역(남해가천마을, 산청임촌마을, 함양도마마을) 다랑이논을 중심으로 - (A Study on Natural Scene Figuration Possibility - Centering around Gyeongnam Area(Namhae Gacheon Village, Sancheong Imchon Village, Hamyang Doma Village) Rice Terraces -)

  • 윤경숙;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3-119
    • /
    • 2010
  • 본 연구는 다랑이논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로 경남지역 남해 가천다랑이논, 산청 임천다랑이논, 함양 마천다랑이논을 선정하여 자연경관의 조형 가능성을 모색하는 시도로 사례분석을 통하여 그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자연경관의 연구 및 조형관련 연구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연경관을 조형화 시키기 위하여, 지형에서 나타나는 다랑이논의 자연경관적 특성과 공간적 특성에서 얻어진 다랑이논 지형의 특성을 모두 9개 항목으로 나누었다. 그 내용으로 (1) 다랑이논의 경사 완급을 나타내는 경사도, (2) 다랑이논 가장자리 선의 요철이 보여주는 굴곡도, (3) 상하 가장자리 선의 평행성정도, (4) 각 다랑이논 단면의 폭의 크기, (5) 전체 다랑이논의 넓이, (6) 상하 다랑이논의 높낮이 차이를 나타내는 단차, (7) 전체적 다랑이논의 외형적 형태가 지닌 이미지로서의 형상성, (8) 전체적 경관이 지닌 자연스러움과 인위성, (9) 다랑이논을 형성하고 있는 축석이나 토양의 부드러움, 전체적인 경관에서 풍기는 분위기 등이다. 사례대상지를 문헌조사와 현지답사, GIS를 통해 분석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랑이논의 경사가 심할수록 축석의 단차가 높아지고 면적과 폭에서는 급경사일수록 좁아짐으로써, 경사와 단차이에서는 비례적 관계 경사를 나타내고, 다랑이논 부지의 면적과 폭에서는 반비례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랑이논을 바라볼 때 보여지는 대상물이 갖는 선적, 면적 요소와 중첩, 반복되는 변화, 계절에 따른 변화, 산세, 계곡과 하천 등 주변환경과의 연계로 인한 경관의 변화는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미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각 대상지에서 도출되는 공통적인 형태로 반복구성과 방향성, 운동성, 질서와 변화 등을 조형요소화 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논문은 자연경관을 대상으로 조형성을 표현하기 위한 기초자료 연구로서 사례대상지의 주변 환경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대상지의 환경적 아름다움을 하나의 조형요소로 일반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도했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보다 정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북천지역 자연학습 체험단지 조성을 위한 기본 계획(II) -홍수위 및 식수결정, 북천 경관분석- (Preliminary Design for Preparing a Natural Learning and Experimental Area in Bukchun and Boundary(II) -Determination of Flood Level/Tree Planting, Analysis of Bukchun Scene-)

  • 정종현;최석규;조세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3-21
    • /
    • 2002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basic river structure, a flood level, the tree planting recommendation and syn thetic design, in order to establish a basic plan for preparing a natural practical area of environmental ecosystem at Bukchun and its surroundings. It was also investigated based on the opinion of citizens, geographical condition and the equipment/utilization examination of Bukchun which were included ecological circumstances, and thus provided a composite item for managing the natural river. This study also considered the development of the river in terms of culture, environment and ecology concept.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ed. Bukchun showed that the speed of a funning fluid is very fast on a period of flood. but very slow in a period of water shortage about 0.02 m/s. To prevent the speed change of a running fluid by a steep slope in a riverbed, there established Dongchun sluice gates under a bridge, including three sluice gates under a bridge, but there occurred extremely a riverbed erosion and corrosion section.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real flood degree and prediction flood data, there should perform a countermeasure the riverbed structure regulation of this area. Also, it was needed an exhaustive flood management in summer. According to the Bukchun and Hyungsangang riverbed investigation, there were needed preparation for natural/practical area and ecology Park development in the future.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ree Planting/flower/blossom around the Bukchun and its surroundings. It was recommended willow, Italian poplar, bamboos and cherry blossoms in the Hyungsangang and Bukchun. There exist together historical space, environment space iud have enough possibility both natural learning space and civil rest space. And, it is possible to compose ecology natural learning and experimental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