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Natural Scene Figuration Possibility - Centering around Gyeongnam Area(Namhae Gacheon Village, Sancheong Imchon Village, Hamyang Doma Village) Rice Terraces -

자연경관 조형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 경남지역(남해가천마을, 산청임촌마을, 함양도마마을) 다랑이논을 중심으로 -

  • Youn, Kyung-Sook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Resources, Sang Myung University) ;
  •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 Myung University)
  • 윤경숙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0.02.26
  • Accepted : 2010.03.30
  • Published : 2010.03.0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figurative characters of rice terraces, and is intended to seek figurative possibility of a natural scene by selecting Gyeongnam Area Namhae Gacheon rice terraces, Sancheong Imcheon rice terraces and Hamyang Macheon rice terraces through an analysis of the target lan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studies of a natural scene and figuration-related literature were looked into, and for figuring a natural scen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character of the topography of rice terraces was divided into 9 items as follows by generalizing the inspiration obtained from the natural scenic character and spatial character of rice terraces represented from the topography: (1) Inclination showing the degree of the slope of rice terraces, (2) The bending showed by unevenness of the edge line of rice terraces, (3) The degree of parallelism of the up-and-down edge line, (4) The size of the width of the section of each rice terrace, (5) The area of the total rice terraces, (6) Step gap that indicates the difference of high and low of the up-and-down small rice terraces, (7) Figuration as an image represented by the external form of the total rice terraces, (8) Naturalness and artificiality kept by the total scene, (9) Softness of cornerstones or soil that forms small rice terraces, an atmosphere produced by the total scenes, etc. The results of analysis made through GIS, with rice terraces of Gyeongnam Namhae, Sancheong and Hamyang Area as the target land, are as follows. First, the steeper the inclination is, the higher the step difference of cornerstones becomes, and the steeper the inclination, the narrower the area and width become, so that it could be known that, in rice terraces, inclination is proportional to step difference and the area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width. Second, it is considered that line showed in rice terraces, area elements and reiteration, repeated changes, and changes in the scene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cluding those according to season can be converted into a variety of images according to an individual disposition. Third, it was decided that it is possible to figure repetitive composition and directivity, motility, order and change, etc. into a common type drawn from each target land. This paper, as a study of basic materials for expressing figuration in an environment fiel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target land,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he possibility of being able to generalize the environmental beauty of the target land as one figurative element. More precise studies are expected to be made later.

본 연구는 다랑이논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로 경남지역 남해 가천다랑이논, 산청 임천다랑이논, 함양 마천다랑이논을 선정하여 자연경관의 조형 가능성을 모색하는 시도로 사례분석을 통하여 그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 자연경관의 연구 및 조형관련 연구를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연경관을 조형화 시키기 위하여, 지형에서 나타나는 다랑이논의 자연경관적 특성과 공간적 특성에서 얻어진 다랑이논 지형의 특성을 모두 9개 항목으로 나누었다. 그 내용으로 (1) 다랑이논의 경사 완급을 나타내는 경사도, (2) 다랑이논 가장자리 선의 요철이 보여주는 굴곡도, (3) 상하 가장자리 선의 평행성정도, (4) 각 다랑이논 단면의 폭의 크기, (5) 전체 다랑이논의 넓이, (6) 상하 다랑이논의 높낮이 차이를 나타내는 단차, (7) 전체적 다랑이논의 외형적 형태가 지닌 이미지로서의 형상성, (8) 전체적 경관이 지닌 자연스러움과 인위성, (9) 다랑이논을 형성하고 있는 축석이나 토양의 부드러움, 전체적인 경관에서 풍기는 분위기 등이다. 사례대상지를 문헌조사와 현지답사, GIS를 통해 분석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랑이논의 경사가 심할수록 축석의 단차가 높아지고 면적과 폭에서는 급경사일수록 좁아짐으로써, 경사와 단차이에서는 비례적 관계 경사를 나타내고, 다랑이논 부지의 면적과 폭에서는 반비례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다랑이논을 바라볼 때 보여지는 대상물이 갖는 선적, 면적 요소와 중첩, 반복되는 변화, 계절에 따른 변화, 산세, 계곡과 하천 등 주변환경과의 연계로 인한 경관의 변화는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미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각 대상지에서 도출되는 공통적인 형태로 반복구성과 방향성, 운동성, 질서와 변화 등을 조형요소화 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논문은 자연경관을 대상으로 조형성을 표현하기 위한 기초자료 연구로서 사례대상지의 주변 환경을 조사 분석하였으며, 대상지의 환경적 아름다움을 하나의 조형요소로 일반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도했다는데 의미가 있으며, 보다 정밀한 연구는 추후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장성(2008). 녹지자연도와 경사도를 이용한 택지개발지역내 보전지역설정에 관한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마조리 엘리오트베를린(2001). 디자인의 발견. 디자인하우스.
  3. 한석우(2001). 입체조형. 미진사
  4. 오해춘(1996). 제품의 형태 속성 선택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논문.
  5. H. Read(1969). 예술이란 무엇인가. 을유 문화사.
  6. 류광남(2002). 근대 도시화과정에서 나타난 군산 도시조직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임승빈(2009).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부.
  8. 강영조(2006). 2006. 풍경의 발견. 효형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