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laughter

검색결과 723건 처리시간 0.029초

Evalu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uscle fat ratio of pork belly and pork shoulder butt using computed tomography scan

  • Sheena Kim;Jeongin Choi;Eun Sol Kim;Gi Beom Keum;Hyunok Doo;Jinok Kwak;Sumin Ryu;Yejin Choi;Sriniwas Pandey;Na Rae Lee;Juyoun Kang;Yujung Lee;Dongjun Kim;Kuk-Hwan Seol;Sun Moon Kang;In-Seon Bae;Soo-Hyun Cho;Hyo Jung Kwon;Samooel Jung;Youngwon Lee;Hyeun Bum Kim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4호
    • /
    • pp.809-815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meat quality and muscle fat ratio in pork part meat (pork belly and shoulder butt) using CT (computed tomography) imaging technique. After 24 hours from slaughter, pork loin and belly were individually prepared from the left semiconductors of 26 pigs for CT measurement. The image obtained from CT scans was checked through the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PACS). The volume of muscle and fat in the pork belly and shoulder butt of cross-sectional images taken by CT was estimated using Vitrea workstation version 7. This assemblage was further processed through Vitrea post-processing software to automatically calculate the volumes (Fig. 1). The volumes were measured in milliliters (mL). In addition to volume calculation, a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of the organ under consideration was generat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nalyz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y region (pork belly, pork shoulder butt), and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GraphPad Prism 8. The muscle-fat ratios of pork belly taken by CT was 1 : 0.86, while that of pork shoulder butt was 1 : 0.37. As a result of CT analysi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ork belly and shoulder butt compared to the muscle-fat ratio,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5679 (R2 = 0.3295, p < 0.01). CT imaging provided very good estimates of muscle contents in cuts and in the whole carcass.

Muscle Fiber, Connective Tissue and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from Low Birth Weight Pigs as Affected by Diet-Induced Increased Fat Absorption and Preferential Muscle Marbling

  • Bimol C. Roy;Patience Coleman;Meghan Markowsky;Kun Wang;Yongbo She;Caroline Richard;Spencer D. Proctor;Heather L. Bruc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1-73
    • /
    • 2024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birth weight differences in piglets affected carcass and muscle fiber properties as well as meat quality at slaughter. Within litters, piglet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birth weight as either normal (NBW; 1.62-1.73 kg) or low (LBW; 1.18-1.29 kg). At 5 weeks of age, NBW piglets were randomly transitioned to control (C) or isocaloric high fat diets derived from non-dairy (HF), while LBW piglets were randomly transitioned to high fat diets derived from non-dairy (HF) or dairy sources (HFHD). Piglets were reared in individual pens under standardized housing and feeding conditions. Live weight was recorded weekly, and pigs were slaughtered at 12 weeks of age. Hot carcass weights, dressing percentages, lean meat yield, and primal cut proportions were determined. The m. longissimus thoracis was collected from the right side of the carcass for measurement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meat and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Results indicated that LBW pigs compensated for their live weight compared to NBW pigs at 6 weeks of age. The mean muscle fiber diameter of LBW-HFHD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NBW-C and NBW-HF group, and the type I muscle fiber diameter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NBW-C group. Dairy fat inclusion in LBW pig diet reduced carcass back fat thickness. This increased the calculated lean meat yield to be comparable to that of NBW pigs fed a commercial diet. Incorporating dairy-sourced high-fat into LBW pigs' diets appears to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producing carcasses equivalent to NBW pigs.

Exploration of nutritional and bioactive peptide properties in goat meat from various primal cuts during in vitro gastrointestinal digestion and absorption

  • Pichitpon Luasiri;Papungkorn Sangsawad;Jaksuma Pongsetkul;Pramote Paengkoum;Chatsirin Nakharuthai;Saranya Suwanangul;Sasikan Katemala;Narathip Sujinda;Jukkrapong Pinyo;Jarunan Chainam;Chompoonuch Khongla;Supaluk Sorapukdee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6호
    • /
    • pp.1096-1109
    • /
    • 2024
  • Objectiv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nutritional and bioactive peptide properties of goat meat taken from various primal cuts, including the breast, shoulder, rib, loin, and leg, to produce these bioactive peptides during in vitro gastrointestinal (GI) digestion and absorption. Methods: The goat meat from various primal cuts was obtained from Boer goats with an average carcass weight of 30±2 kg. The meat was collected within 3 h after slaughter and was stored at -80℃ until analysis. A comprehensive assessment encompassed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 chemical composition, cooking properties, in vitro GI digestion, bioactive characteristics, and the bioavailability of the resulting peptides.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loin muscles contain the highest protein and essential amino acid composition. When the meats were cooked at 70℃ for 30 min, they exhibited distinct protein compositions and quantities in the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rofile, suggesting they served as different protein substrates during GI digestion. Subsequent in vitro simulated GI digestion revealed that the cooked shoulder and loin underwent the most significant hydrolysis during the intestinal phase, resulting in the strongest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CE) and dipeptidyl peptidase-IV (DPP-IV) inhibition. Following in vitro GI peptide absorption using a Caco-2 cell monolayer, the GI peptide derived from the cooked loin demonstrated greater bioavailability and a higher degree of ACE and DPP-IV inhibition than the shoulder peptide.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goat meat, particularly cooked loin, as a functional meat source for protein, essential amino acids, and bioactive peptides during GI digestion and absorption. These peptides promise to play a role in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due to their dual inhibitory effects on ACE and DPP-IV.

Rat에 sulfamethazine sodium 경구투여 후 혈청 및 실질장기내 sulfamethazine의 잔류량 추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nges of sulfamethnzine residues in serum and practical organs of rats orally administrated with sulfamethnzine sodium)

  • 도재철;이영미;조민희;신상희;박희주;송희종;정종식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1-333
    • /
    • 2000
  • In order to know the depletive changes of sulfamethazine residues in senlm and practical organs of rats orally administered with sulfamethazine sodium(SMS), the concentration of sulfamethazine was measured in serum and tissue(kidney, liver, spleen, testis, and skeletal muscle) of rats with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 SMS was orally administrated to sprague-dawley male rats(body weight, 200~300g) with using sonde at the rate of 20mg/100g body weight(recommended therapeutic dose) on once a day for 3 days. There were investigated the depletive changes of the sulfamethazine in serum, kidney, liver, spleen, testis and skeletal muscle of rat at the time 8 hours, 1st, 2nd, 3rd, 4th, 5th and 6th day after administration SMS,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the SMS, the mean concentrations of sulfamethazine in serum according to the time lapsed were showed 215.53$\pm$42.99ppm at the 8 hours after withdrawal of medicated sulfamethazine. And gradually according to the time lapsed, the concentrations of sulfamethazine residues in serum were significantly (p<.05) decreased 25.87$\pm$5.18ppm at 1st day, 2.30$\pm$0.61ppm at 3rd day and 0.11$\pm$0.02ppm at 6th day respectively. 2. The mean concentrations of sulfamethazine in kidney, liver, spleen, muscle and testis according to the time lapsed after administration SMS were showed 83.82$\pm$12.16, 81.77$\pm$12.88, 36.96$\pm$5.35, 35.96$\pm$TEX>$\pm$1.39 and 27.89$\pm$1.92 ppm at the 8 hours, respectively. And gradually according to the time lapsed, the concentrations of sulfamethazine residues in the each of samples were significantly(p<.05) decreased such as 7.15$\pm$0.26, 5.62$\pm$0.72, 2.43$\pm$0.29, 1.99$\pm$0.14 and 3.11$\pm$0.48 ppm at 1st day, 0.52$\pm$0.04, 1.32$\pm$0.22, 0.13$\pm$0.03, 0.15$\pm$0.06 and 0.26$\pm$0.11ppm at 3rd day, and 0.03$\pm$0.01, 0.11$\pm$0.03, 0.02$\pm$0.01, 0.009$\pm$0.001 and 0.02$\pm$0.01 ppm at 6th day, respectively. 3.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the SMS to rats, the residual concentrations of sulfamethazine in skeletal muscle were significantly (p<.05) decreased 35.96$\pm$1.39 to 0.009$\pm$$\pm$0.001 ppm between 8 hours and 6th day, respectively From the 4th day, the residual concentrations of sulfamethazine were showed 0.10$\pm$0.04 ppm below 0.1 ppm at the permitted limit concentration of muscle in Korea. In conclusion, this study could be sugg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ed period, doses of sulfonamides and residual aspects of serum and practical organs, and the importance of observing ceasing period of antibiotic drugs before forwarding livestocks to slaughter.

  • PDF

한우 암소에서 도체형질과 도체가격간의 상관관계 (The Influence of Carcass Traits on Carcass Price in Mature Hanwoo Cow)

  • 김대중;이창우;이채영;김종복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2호
    • /
    • pp.157-164
    • /
    • 2010
  • 본 연구는 성숙한 한우 암소 도체에서 몇 개의 도체형질들이 경락단가나 도체가격과 같은 가격변수의 변이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도체형질과 가격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추정, 다중회귀분석 및 경로분석 등을 실시했다. 자료는 강원도 홍천지역 한우 사육농가에서 번식우로 사용되다 2008년도에 도축된 96두의 도체 판정결과를 이용하였다. 도축된 암소들의 도축시 평균 나이는 약 51개월 령이었으며, 도살시 생체중, 냉도체중, 등지방두께, 등심면적, 9단계로 구분하여 평가한 근내지방도 및 도체율의 평균치는 각각 556.81 kg, 319.24 kg, 10.95 mm, $78.08\;cm^2$, 3.92 및 57.19%였다. 그리고 도체경락단가와 도체가격은 각각 12,681원 및 4,070천원이었다. 경락단가와 상관계수가 큰 형질은 MAR, DP 및 EMA 등이었고 육량지수는 상관계수가 제일 작았다. 도체 경락단가를 종속변수로 CWT, BFT, EMA MAR 및 DP등 5개의 도체 형질을 독립변수로 적합시켜 추정한 다중회귀 방정식에서 모형 방정식의 결정계수는 69.86%였고, 도체가격을 종속변수로 하여 추정한 모형 방정식의 결정계수는 85.43%였다. 다중회귀 분석에서 CWT, BFT, EMA, MAR 및 DP의 표준화 편회귀계수는 AP를 종속변량으로 한 방정식에서 각각 -0.028, -0.106, 0.107, 0.814, 0.075, 그리고 CP를 종속변량으로 하는 방정식에서는 각각 0.561, -0.060, 0.083, 0.590, 및 0.051으로 나타나 AP의 변이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형질은 MAR 이었고, CP의 변이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형질은 CWT와 MAR이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경로분석 결과에서도 AP의 변이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형질은 MAR로서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합친 MAR의 기여도는 0.668이었다. 그리고 CP의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MAR의 기여도는 0.408 그리고 CWT의 기여도는 0.397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육량지수는 AP나 CP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AP의 변이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은 MAR이고 CP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형질은 MAR과 CWT였다.

국내 노계 운반 전용 차량에서의 살모넬라 오염율 및 차량소독에 따른 오염도 감소 효과 (Prevalence of Salmonella Species Isolated from Old Hen Delivery Trucks in Korea and Application of Disinfectant for the Reduction of Salmonella Contamination)

  • 나덕환;홍영호;윤미영;박은진;임태현;장준혁;김병윤;이동훈;송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1-16
    • /
    • 2013
  • 살모넬라는 농장, 부화장, 도계장 그리고 가공장 등, 양계산업 전반에 걸쳐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축산물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현대인들의 건강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축산업 및 현대 식생활에 있어 살모넬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있는 상황에서 살모넬라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농가 및 도계장에 살모넬라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노계 운반 전용 차량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노계 운반을 위해 종계장에 출입하는 전용차량 200대를 선발하여 살모넬라 오염도를 파악하고, 분리된 살모넬라균을 그룹별, 혈청형별, 계절별로 분석하였으며, 노계 운반 차량에서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살모넬라를 저해하는 방법인 소독제 분무 방법과 이에 따른 살모넬라 저해율 그리고 소독제 희석 비율에 따른 저해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노계 운반 전용 차량의 50%가 살모넬라균에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룹별로 C1그룹이 65.8%로 가장 높은 분리율을 나타냈고, 총 25종의 살모넬라균속이 분리, 이 중 C1 그룹에 속하는 S. Infantis가 가장 높은 분리율을 나타냈다. 계절별로 여름철에 채취한 시료에서 73.1%로 가장 높은 분리율을 나타냈다. 포름알데히드(79.8 g/L), 글루탈알데히드(50 g/L), 4급암모늄(60 g/L) 합제 성분이 들어간 소독제를 사용하여 노계 운반 차량에 적용한 결과, 소독 전에 비해 소독 후에 유의적인 살모넬라의 저해 효능을 보였다. 특히, 일반적인 소독제 권고 희석비율인 200:1의 비율에서는 낮은 저해율을 보인 반면 50:1의 희석 비율로 희석한 소독제를 적용한 실험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은 살모넬라 저해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노계 운반 전용 차량이 농가 및 도계장의 살모넬라 오염원으로써 충분한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으므로 노계 도태 차량 또는 도계장으로 실용계를 운반하는 차량에 대하여, 적절하고 철저한 소독을 통해 농가 및 도계장 재오염에 대비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한우 초음파생체단층촬영 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과 씨수소 선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enetic Parameter Estimation and Sire Selection to Ultrasound Measurement Traits of Hanwoo)

  • 노승희;김창엽;원유석;박철진;이성수;이정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1호
    • /
    • pp.1-8
    • /
    • 2010
  • 본 연구는 한우초음파생체단층촬영 자료를 이용하여 한우개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실시하였다. 당대검정우 1,125두에 대하여 초음파생체단층 촬영한 자료와 검정성적자료 및 12개월령에 거세한 후 30개월령까지 비육 후 출하하여 도체성적을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후대검정우는 921두에 대한 검정성적자료와 도체 성적자료를 이용하였다. 12개월령에 측정한 초음파생체단층 촬영 배최장근단면적과 등지 방두께의 유전력은 각각 0.57, 0.41로 추정되었으며, 24개월에서는 각각 0.57, 0.60으로 고도의 유전력을 보였다. 그러나, 초음파 측정 %지방함량 유전력 추정치에서는 12개월령과 24개월령에서 각각 0.14, 0.22로 저 중도의 유전력을 보였다. 12개월령에 초음파생체 단층 촬영한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지방함량과 도체형질의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의 유전상관은 각각 0.616, 0.544, 0.501로 추정되었고, 24개월령에서는 각각 0.894, 0.937, 0.263으로 높은 유전상관을 보였다. 12개월령에 측정한 초음파 측정 %지방함량과 근내지방도에서 높은 유전상관으로 추정되었는데, 이는 24개월령에서는 환경적요인(사양기술 등)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사료되며, 선발에 활용할 경우 24개월령 측정치 보다는 12개월령 측정치를 이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12개월령 체중과 도체형질을 이용하여 씨수소를 선발하는 선발지수와 이와 유전상관이 높은 초음파생체단층촬영 자료를 바탕으로 선발하는 선발지수간의 순위상관을 분석한 결과 12개월령에 초음파생체단층 촬영한 자료에서 후보씨수소 선발지수는 0.140, 보증씨수소 선발지수는 0.843으로 높은 순위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실시간으로 배최장근단면적, 등지방두께, 근내지방도와 같은 도축하지 않아도 도체성적을 파악할 수 있는 초음파생체단층 촬영 기술의 장점을 이용하여 선발에 활용한다면 근내지방도는 24개월령에 측정하는 것보다 12개월령에 측정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사료되어지며, 향후 초음파생체단층기술에 관한 더 많은 연구를 통하여 종축선발에 활용한다면 씨수소의 조기선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육계 출하 시 수송 거리가 닭고기의 도체 등급 및 PSE육 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portation Distance of Broilers on Meat Grades and PSE Incidence)

  • 채현석;유영모;정석근;함준상;안종남;김동훈;장애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14
    • /
    • 2009
  • 본 연구는 농장에서 육계 출하 시 수송 거리에 따라 근거리(40 km 이내), 중거리(70~80 km), 원거리(140~150 km)로 구분하여 수송 거리가 최종 닭고기의 품질 등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수송 거리에 따른 도체의 품질에서 $1^+$ 등급 발생이 근거리 수송은 61.3%, 중거리 수송은 56.3%, 원거리 수송은 43.3%로 근거리 수송구가 원거리 수송에 비해 18% 정도 증가하였다. 멍 발생은 가슴 및 다리 부위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날개 부위에서 근거리 수송은 16.7%, 원거리 수송이 27.3%를 나타내 원거리 수송에서 멍 발생 비율이 10.6% 정도 증가하였다. 부분육 중 가슴육의 품질 등급에서도 원거리 수송에서 $1^+$ 등급은 67.7%를 차지하였으나, 근거리 수송에서는 81.7%로 수송 거리가 짧을수록 $1^+$ 등급 발생 비율이 증가하였다. 멍 발생율도 근거리 수송이 10%, 중거리 수송 4.7%, 원거리 수송이 12%로 근거리 및 중거리보다 원거리 수송에서 가슴 부위의 멍 발생 비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슴 부위에서만 나타나는 PSE 증상은 원거리 수송에서 18.3%를 나타내었고, 중거리 수송은 13.0%를 나타냈으나, 근거리 수송에서는 PSE 증상이 7.0%로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부분육에서 다리육의 품질등급은 원거리 수송에서 $1^+$ 등급은 88.3%를 차지하였으나, 근거리 수송에서는 91.2%로 가슴육과 비슷하게 수송 거리가 짧을수록 $1^+$ 등급 발생 비율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날개육에서 비슷하여 $1^+$ 등급 발생율이 근거리 수송구가 원거리 수송에 비해 11%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육계의 수송 거리는 닭고기의 품질에 많을 영향을 미치므로 짧은 수송 거리가 필수이나, 최대 80 km 이내에서 수송이 이루어져야 고품질 닭고기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우 황체세포의 Progesterone 및 IGF-I 분비에 대한 비장세포의 역할 (Roles of Spleen Cells in the Regulation of Progesterone and IGF -I Secretion in the Hanwoo Luteal Cells)

  • 성환후;민관식;박진기;박성재;양병철;이장형;장원경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5-111
    • /
    • 1999
  • 본 연구는 한우 난소의 황체세포를 분리ㆍ체외배양하여 progesterone 과 IGF-I 분비기능에 대한 비장세포의 첨가효과를 검토하여 난소기능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축장에서 도축되는 한우 난소로부터 황체를 분리ㆍ효소처리하여 LLC 와 SLC (1$\times$$10^{6}$ cells/$m\ell$)를 회수하였으며 10% FCS와 antibiotic가 첨가된 D-MEM 배양액에 24 시간 체외배양하였다. 비장세포는 성숙한 거세한우의 비장에서 회수하여 5%, 10% 및 20%를 황체세포에 각각 첨가하여 공배양하였다. 황체일령별 조직내 progesterone 농도는 발정주기 중 중기황체 (CL-3)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비장세포를 5%, 10% 및 20%를 각각 황체세포에 첨가하여 배양한 결과, 배양액 중의 progesterone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LH(100ng/$m\ell$) 첨가구와 비장세포 5%, 10%, 20% 첨가와 함께 LH 를 각각 공배양구에서 대조구(LH+BP)에 비해 유의적 (p<0.05)으로 높은 progesterone 분비를 나타내었다. 한편, 황체세포의 체외배양에 있어서 IGF-I은 일정하게 분비하였으나 비장세포와 LH+비장세포 5%, 10% 및 20%와의 공배양은 대조구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으나 LH 단독처리구만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p<0.05)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비장세포는 황체세포에 작용하여 LH 의 progesterone 분비기능을 촉진시킴으로서 황체세포의 progesterone 분비를 촉진하는 기능이 있으나 IGF-I의 분비기능은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가열방법 및 온도가 전자선 조사한 한우 steak의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oking Method and Temperature on the Lipid Oxidation of Electron-Beam Irradiated Hanwoo Steak.)

  • 박태선;신택순;이정일;박구부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40-846
    • /
    • 2005
  • 본 연구는 식품의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위생적인 식육생산을 위한 방법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재료는 한우암소 지육중 육질등급 1+판정(근내지방도 No.7. 육색 No.4, 성숙도 No.1, 조직감 No.1)을 받은 지육($280\∼300kg$) 6두를 구매하였다. 구매한 원료지육을 1차 수도물로 고압수세하고 2차 $ 50\% $에틸알콜로 소독한 후 발골 정형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가열온도가 높아갈수록 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아갔다. PBS는 가열온도에 따른 지방산패에서 전자선 비조사구와 조사구 모두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높은 지방산 패도를 나타내 었고(P<0.05), OBS 또한 malonsldehyde양이 증가하였다(p<0.05). 가열온도별로는 $ 60^{\circ}C $에 비하여 $ 80^{\circ}C $가 비조사구와 3, 6 kCy 조사구는 약 2배정도의 MA량이 생성되었다(p<0.05). OBS가 PBS보다 많은 양의 malonaldehyde가 생성되었으며, 전자선 조사 수준의 차이에는 수준에 따라 비조사구와 약간의 차이만 나타내었다. 전자선조사수준과 가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발생량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가열방법 중 PBS가 OBS에 비하여 산화의 정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