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hydration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35초

BDNF, ERK 및 CREB 경로를 통한 포공영 추출물의 항우울 효과 (Antidepressant effect of water extract of Taraxacum platycarpum through BDNF, ERK and CREB pathway)

  • 구필성;이지혜;최윤희;정지욱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3-17
    • /
    • 2015
  • Objectives :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edt has been reported to have several biological properties such as skin hydration and antiinflam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depressiv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T. platycarpum (WTP) on an animal model of depression. Methods : In the present study, normal ICR mice (4 weeks) were used, and orally administered with WTP (25, 50 and 100 mg/kg). Depression-like behavior was monitored the forced swimming test (FST) and tail suspension test (TST) in mice. The locomotor activity was evaluated to eliminate the false-positive activity in the open field test (OFT). Fluoxetine, th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as a positive control was intraperitoneally administered at a dose of 15 mg/kg at 30 min before starting the behavioral test. Moreover, we evaluated the effects of WTP on the expression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and the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cyclic AMP response-element binding protein (CREB) signaling pathway in the hippocampus using Western blot. Results : The administration of WTP (50 and 100 mg/kg) significantly (P < 0.05, respectively) reduced the immobility time during FST and TST without accompanying changes in locomotor activity by OFT. Furthermore, WTP at dose of 100 mg/kg increased the BDNF expression and the phosphorylation of ERK and CREB in the hippocampus region.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WTP has a useful anti-depressant effect through the regulation of BDNF/ERK/CREB signaling pathway.

최신(最新) 임상연구(臨床硏究)를 중심으로 한 아토피 피부염에 관한 방법론적(方法論的) 연구(硏究) (The Methodological Study on Atopic Dermatitis in the latest clinical study)

  • 민상연;김장현;김기봉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1-164
    • /
    • 2006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 increasing rate, difference of attack rate in age, relationship between atopic dermatitis and breast-fee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topic dermatitis and the Sasang constitution, and various treatments of atopic dermatitis. Methods : This clinical study was carried out with 22 theses which are related with diagnosis, treatments, prognosis and control of atopic dermatitis. The 22 theses are carried on J Korean Oriental Pediatrics, J Korean Oriental Ophthalmology, J Korean Oriental Med, J Korean Academy of Pediatric Allergy and Respiratory Disease, J Korean Acad Fam Med and Korean J Food & Nutr. Results : The prevalence rate, attack rate and diagnosis rate of atopic dermatitis are increased in the year of 2000, compared with those of 1995. Comparing age of patient between the year of 1992 and 2002, the attack rate of atopic dermatitis is increased quickly over 7 years old. Specific immunoglobulin E(IgE) antibodies detected in patients under 1 year old was exclusively caused by food. But for the age over 7 years old, food and inhalant allergen are detected in the year of 2002 in compare with that of 1992. Because of breast-feeding, intemperate diet adjustment during the period of maternity of family history of atopic dermatitis, the attack rate of atopic dermatitis is increased in infant. The types of patient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and Soeumin group was largest. The Oriental medicine treatments of atopic dermatitis are bath & skin hydration, avoidance from antigen, dietetic treatment, external treatment, medication and phototherapy. Conclusion : The atopic dermatitis is associated with breast-feeding, Sasang constitution types. More active approach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are needed.

  • PDF

2015 한국 성인의 수분 섭취기준 설정 (Establishment of reference intake of water for Korean adults in 2015)

  • 이재현;김선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2호
    • /
    • pp.121-132
    • /
    • 2017
  • Purpose: This review was performed to establish a reference intake of water for Korean (KDRI-water) adults in 2015 by examining current knowledg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ater intake and health and the general status of water intake and loss.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for further refinement of KDRI-water. Methods: Documents were searched using RISS, NDSL, DBPIA, CINAHL, and Pubmed with the keywords 'water intake, water supply, water ingestion, hydration, dehydration, water balance, and fluid balance'. Results: Water balance is essential for the maintenance of health. Based on this assumption, numerous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water intake with several diseases such as urolithasis, obesity, diabetes, and cancer as well as other health problems, including constipation, cognition, and fetal weight. Effects of water intake for prevention or relief of these health problems vary. Water is supplied to the body by eating foods and drinking liquids such as plain water and beverages. Metabolic water is another source of water input. Water is lost through urine, skin, respiration, and feces. KDRI-water 2015 was set by adequate intake (AI) based on water intake volume, which was the sum of water intakes from foods and fluids reported by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ith extra milk intake of 200 mL. AIs in some age groups were modified considering their estimated energy requirements. Conclusion: Accurate data of water intake is critically important for the establishment of KDRI-water. Therefore, improvement of systems investigating water intake is required, and more studies on the status of water intake and loss in Korean people are needed for definite KDRI-water establishment.

생태교란종 영국갯끈풀의 기능성화장품 원료로서 효능 연구 (A Study on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s of the invasive plant Spartina anglica)

  • 송솔이;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44-15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생태교란종으로 지정되어 대량으로 방제되는 영국갯끈풀의 에탄올 추출물을 활용하여 여러가지 생리활성을 평가하고 화장품 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라디컬 소거법인 DPPH와 ABTS assay 및 환원력을 통한 FRAP과 같은 화학적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영국갯끈풀 지상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각 추출물 농도 0.5 mg/mL 이하 조건에서 RAW264.7 cell과 NHDF cell에 대한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LPS로 활성화 된 RAW264.7 세포에서 증가된 염증매개물질 NO와 사이토카인 생성량은 지하부 에탄올 추출물에 의해 뚜렷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NHDF cell을 지상부와 지하부 두 추출물로 처리하여 collagen 합성과 피부 수분 유전자 발현을 조사한 결과 높은 항주름 및 보습 효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영국갯끈풀 에탄올추출물은 기능성화장품의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유용한 바이오 자원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한방소재 화장품의 아토피 피부염 개선 효과 (The Enhancing Effect of Atopic Dermatitis by cosmetics containing estern medical herbs)

  • 강신정;김애정;이연희;이명숙;정경희;조남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500-3505
    • /
    • 2009
  • 한방소재를 이용한 화장품이 아토피피부염을 개선하는지를 알아보고자, 중등증의 아토피 피부염환자 16명을 대상으로, 진경한방컴플렉스(감초, 백지, 작약, 지실, 천궁, 갈근, 현호색), 편백수, 녹차, 황기, 홍삼, 당밀발효액, 사과 발효여과물이 함유된 화장수와 크림을 하루에 3회 피부염병변에 6주간 도포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SCORAD 지수는 $26.9{\pm}11.8$에서 $14.9{\pm}9.7$로 감소(p<0.05), Total IgE(IU/mL)는 $641.9{\pm}1294.6$에서 $565.8{\pm}1076.8$로 감소, Eosinophil의 수(ug/dL)는 $246.7{\pm}203.5$에서 $203.3{\pm}130.7$로 감소하였다(p<0.05). 피부수분함유량은 $36.6{\pm}10.0$에서 $44.0{\pm}10.3$로 증가(p<0.01), 경피수분손실량(g/h/$m^2$)은 $16.7{\pm}5.1$에서 $15.4{\pm}8.7$로 감소(p<0.05)하였으며, 피부 pH는 약산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의사 및 환자의 총괄유효성 평가도 증가되었다.

한국인 여드름 환자에서 표피성장인자가 함유된 외용제의 피부 적용에 대한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 (Efficacy and Safety of Topical Applicat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for Korean Acne Patient)

  • 서준혁;현무열;장성은;최선영;김명남;김범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1-118
    • /
    • 2016
  • 여드름은 면포, 구진, 낭종, 결절, 색소 침착 등 다양한 피부병변으로 나타나는 모낭피지선의 만성 염증질환으로 사춘기부터 성인기까지 발생 연령대가 다양해지고 있다. 한편, 약물 부작용으로 여드름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표피성장인자(epidermal grouwth factor, EGF) 수용체 억제제 항암제를 사용할 경우 75 ~ 100%에서 여드름양 모낭염이 발생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여드름의 치료로 항생제, 레티노이드 경구 복용 및 외용 약제 도포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레티노이드 기형 유발 가능성 및 Propionibacterium acne의 항생제 내성률 증가는 기존 치료의 한계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여드름양 발진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EGF를 함유한 외용제가 여드름 치료에 미치는 효과와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한국 성인 10 ~ 29세 23명을 대상으로 EGF 함유 제품(트러블컨트롤 EGF)과 3종 제품(트러블컨트롤 클래리파잉 클렌징폼, 트러블컨트롤 올-클리어 필링토너, 레드롤 카밍 모이스처)을 하루 두 번 사용하도록 하였다. 사용 후 영상 피지량, 경표피수분손실량, 피부 홍조 측정, 전문가 육안 평가, 사용 후 만족도 설문조사를 평가하였다. 최종 측정 시, 피부 피지량, 경피수분손실량, 피부 홍조가 통계학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전문가 육안 평가에서 여드름 병변(면포, 구진)도 통계학적으로 감소하였다. 연구동안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표피성장인자 함유 외용제는 경도의 여드름에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프로리포솜을 이용한 클렌부테롤의 경피흡수 제제화 (Proliposomal Clenbuterol Patch for Transdermal Delivery)

  • 이영주;정석재;이민화;심창구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7권4호
    • /
    • pp.303-311
    • /
    • 1997
  • Proliposomal patch of clenbuterol, ${\beta}_2-agonist$ bronchodilator, was prepared and its feasibility as a novel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was examined. Proliposomal granules containing clenbuterol was prepared by a standard method using sorbitol and lecithin with (Rx 2) or without cholesterol (Rx 1). The porous structure of sorbitol in the proliposomes was maintained allowing tree flowability of the granules. Following contact with water, the granules were converted probably to liposomes almost completely within several minutes. It indicates that proliposomes may be hydrated, when they are applied on the skin under occlusive condition in vivo, by the sweat to form liposomes. Clenbuterol release from Rx 1 and Rx 2 proliposomes to pH 7.4 isotonic phospate buffer (PBS) across cellulose membrane (mol. wt. cut-off of 12000-14000) was retard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at from the mixture of clenbuterol powder and blank proliposomes. Interestingly, proliposomes prepared with lecithin and cholesterol (i.e., Rx 2 proliposomes) showed much more retarded release of clenbuterol than proliposomes prepared only with lecithin (i.e.. Rx 1 proliposomes), indicating that clenbuterol release from proliposomes can be controlled by the addition of cholesterol to the proliposomes. Proliposomal patches were prepared using PVC film as an occlusive backing sheet, two sides adhesive tape (urethane, 1.45 mm thickness) as a reservoir for proliposome granules and Millipore MF-membrane (0.45 mm pore size) as a drug release-controlling membrane. Rx 1 or Rx 2 proliposomes containing 4.6 mg of clenbuterol were loaded into the reservoir of the patch. Clenbuterol release from the patches to pH 7.4 PBS was determined using USP paddle (50 rpm)-over-disc release method. Clenbuterol release from the proliposomal patches was much more retarded even than from a matrix type clenbuterol patch (Boehringer Ingelheim ltd). Being consistent with clenbuterol release from the proliposomal granules, the release from the patches was highly dependent on the presence of cholesterol in the proliposomes : Patches containing Rx 2 proliposomes showed several fold slower drug release than patches containing Rx 1 proliposomes. When the patch containing Rx 1 proliposomes was applied on to the back of a hair-removed rat, clenbuterol concentration in the rat blood was maintained during 6-72 hrs. Transdermal absorption of clenbuterol from the patch was accelerated when the patch was prehydrated with 50 ml of pH 7.4 PBS before topical application. Above results indicate that sustained transdermal delivery of clenbuterol is feasible using proliposomal patches if the cholesterol content and pore size of the release rate-controlling membrane of patches, for example, are appropriately controlled.

  • PDF

황기추출물의 보습 및 항산화 효과 (Moisturizing and Anti-oxidation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Root Extract)

  • 정택규;김미진;임경란;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93-200
    • /
    • 2006
  • 화장품 원료로서 황기추출물을 산지 및 추출방법에 따라서 추출한 후, 보습효과 및 항산화효과를 시험하였다. 황기는 산지별로서 제천산, 정선산, 영주산, 태백산 및 중국산 1년 근을 사용하였다. 황기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한 지표성분으로서 선정한 formononetin을 HPLC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항산화능 평가로서 자유라디칼 및 활성산소 소거효과의 경우에 75% 에탄을 수용액을 이용한 황기추출물은 정제수를 이용한 황기추출물과 비교하여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75% 에탄을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는 50% 소거효율에 대한 농도($IC_{50}$)가 2.162 mg/mL이었으며, 활성산소 소거효과의 경우는 $IC_{50}$ 값이 2.981 mg/mL로 나타났다. 특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층에 포함되어 있는 이소플라보노이드는 항산화제로 알려진 제니스테인과 유사한 자유라디칼 소거효과를 나타냈다. 황기추출물의 보습효과는 제천산 황기추출물이 가장 양호하였으며, 초음파추출을 이용한 황기추출물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였다.

폐경기 노화 유도 전후의 로얄제리 식이공급이 백서 표피의 필라그린과 유리아미노산 함량 및 관련 대사 효소의 단백질 발현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Dietary Effect of Royal Jelly Supplementation on Epidermal Levels of Filaggrin and Free Amino Acids during Menopause in Rats)

  • 김예지;한상미;조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89-39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난소절제를 통하여 폐경기가 유도된 백서 모델에서 생산지가 다른 국내산 로얄제리 식이와 이소플라본을 식이로 공급한 후 표피의 필라그린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과 관련 대사 효소의 발현 변화를 정상대조군인 SHAM군 및 난소절제군인 OVX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Profilaggrin, filaggrin 및 total filaggrin의 발현은 SHAM군> RJ2군> OVX군=IF군> RJ1군 순으로 RJ1군의 profilaggrin, filaggrin의 발현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Profilaggrin에서 filaggrin으로, filaggrin에서 유리아미노산으로의 분해하는 과정에 관여하는 여러 효소 중에 PAD3의 발현은 RJ2군에서 가장 높았으나 SHAM군을 비롯하여 OVX군, RJ1군, IF군에서는 군간 유의성이 없었다.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SHAM군에 비해 OVX군에서 다소 감소하였으나 RJ1군 및 IF군에서 SHAM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RJ1군에서 aspartate와 proline의 함량이 SHAM군에 비해 현저히 높아졌다. 결론적으로 RJ1군에서는 filaggrin의 함량 감소가 있었지만 표피 보습 유지기능이 있는 aspartate 및 proline을 비롯한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아졌다. RJ1군의 로얄제리가 폐경으로 인해 감소되는 표피의 보습인자 중 궁극적으로 피부 보습에 관여하는 천연보습인자의 유리아미노산의 발현을 증가시켜 손상된 표피의 장벽기능 보완에 긍정적 영향을 보였다. RJ2군은 profilaggrin, filaggrin을 포함한 total filaggrin의 함량이 증가되었으나 그 분해산물인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SHAM군과 유사하였다. RJ2군의 로얄제리가 유리아미노산의 전구단백질의 발현 증가를 야기하나 유리아미노산으로의 분해는 촉진시키지 못하였음을 시사한다. 이는 산지별 로얄제리의 피부 보습 기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추후 각 산지별 유효성분의 분석과 함께 관련 효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 국내산 로얄제리의 식이 공급이 피부 보습 관련 건강기능식품 개발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