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contents

검색결과 637건 처리시간 0.026초

돈육의 조리조건에 따른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by Cooking Conditions)

  • 박추자;박찬성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90-496
    • /
    • 2001
  • 본 연구는 돼지고기 조리시에 향신료와 한약재를 부재료로 첨가하여 편육을 조리했을 때, 부재료가 편육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돼지고기에 대조구는 물만 첨가하였고, 편육 A는 물과 간장, 편육 B는 A에 양파, 생강을, 편육 C는 B에 감초, 계피를, D는 C에 정향, 율피를 첨가하여 편육의 부재료(향신료와 한약재) 종류를 다르게 첨가한 5종류의 편육을 제조하여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등심과 사태 편육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조단백질과 회분은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감초와 계피를 첨가한 편육 C와 정향, 율피를 첨가한 편육 D는 조지방의 함량이 타 시료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2. 편육의 색도에서 명도(L)는 대조구에 비하여 부재료의 종류가 많이 첨가될수록 낮은 값을 보인 반면에(p<0.05), 적색도 a값은 부재료가 많이 첨가될수록 증가 되었다. 3. 부재료를 첨가한 편육의 기계적 특성중 경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부재료를 첨가한 A, B, C, D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응집성과 점착성은 대조구와 A, B, C, D간에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4. 부재료의 첨가에 따른 편육의 관능검사 결과, 향, 맛, 경도, 응집성, 탄력성, 점착성은 대조구가 가장 낮았고, D가 가장 높았으며, 시료간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와 A, B, C보다 D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5. 기계적 경도는 관능적 향, 맛, 응집성, 점착성, 부서짐성 및 종합적 기호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능적 특성에 있어서 색은 기계적 탄력성, 점착성 및 부서짐성과 부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돼지고기 편육 조리시에 감초, 계피, 정향, 율피 등의 부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육류의 지방성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고기를 연화시키고 편육의 향과 맛을 좋게하여 품질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저장 온도와 저장 기간에 따른 꽁치과메기의 일반 성분, 물성 및 미생물학적 변화 (Studies on the General Composition, Rheometric and Microbiological Change of Pacific Saury, Coloabis saira Kwamaegi on the Storage Temperatures and Durations)

  • 이호진;오승희;최경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5-175
    • /
    • 2008
  • Pacific saury, Cololabis saira kwamaegi, is a traditional local food of the Eastern sea area centering around Pohang. It is well-recognized as being both tasty and nutritious. Nevertheless, bacterial contamination, excessive dryness, and compositional changes have made it edible only during the winter months. Therefore, to improve its storag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torage material, type, temperature, and duration on compositional changes in kwamaegi. The studied samples were kwamaegis that had been dried naturally for 15 days. The storage materials included an A-film, a self-developed multi-film made of polyethylene, polyamide, EVOH, and polyethylene; as well as a B-film made of polyethylene, nylon, polyethylene, nylon and polyethylene. The B films were used after pressing and laminating. The storage types included one whole fish(1G), or 2 divided fish(2G), to increase eating convenience. The 2G type was the muscle portion divided vertically after discarding the jowl, skin, and internal organs. The storage temperatures were $0^{\circ}C$, $-15^{\circ}C$, and $-30^{\circ}C$, and the storage durations were 2, 4, and 6 months. Pathogenic bacteria and rheology were measured to observe general compositional changes. The whole kwamaegi showed a total cell number of $1,565{\pm}112$ CFU/100 g flesh, while the divided Kwamaegi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bacterial numbers at $2,031{\pm}145$ CFU/100 g flesh. Psychrophils and halophils increased significantly while coliform were not found; the number of mesophils also increased, but not significantly. There were no significant cell number variations between the A-film and B-film. At $0^{\circ}C$, both the A-and B-films resulted in cell numbers of $115{\sim}212$ CFU/100 g flesh, revealing just $7.3{\sim}10.4%$ of the initial storage levels. Overal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orage materials. Generally, as the storage temperature and duration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 of the kwamaegi decreased. Also, as storage duration and temperature increased,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increased; in addition, they increased proportionally as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ish decrea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ude ash content with respect to the storage materials, storage temperatures, or storage durations. Fin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kwamaegi samples naturally dried for 15 days and those stored in the B-film vacuum storage for 6 months for strength,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gumminess, and water activity.

지방의 종류가 돈육 Patty 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Lipid Type Effect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 박경숙;윤동화;문윤희;이경수;박현숙;정인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64-370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pid typ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score of pork patties. The samples consisted of pork patties containing 20% pork fat (PP), 20% olive oil (OP), and 20% soybean oil (SP). The surface color, water holding capacity, increased rate in thickness, decreased rate in diameter, rheological properties, pH, VBN content and TBARS value were determined for the pork patties a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 sensory scores were also evaluated. The $L^*$ value for PP was the highest, and the lowest for OP among the samples (p<0.05). For the $a^*$ value OP was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and the $b^*$ value of OP was lower than that of the PP (p<0.05). The water holding capacity and increased rate of thickness were higher for PP than for OP and SP (p<0.05). The cooking loss and decreased rate of diameter of PP were lower than those of OP and SP (p<0.05). The hardness and springiness of OP and SP were higher than those of PP, and SP had the highest chewiness among the samples (p<0.05). However, cohesiveness and gummines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samples. The pH of SP was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and the TBARS value of OP was lowest (p<0.05). The VBN content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samples. The amounts of raw color for OP and SP were higher than that of PP (p<0.05). The raw aroma was not different among the samples. Also, roasted aroma and taste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samples, but the tenderness, juiciness, and palatability of SP were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p<0.05).

  • PDF

가열 돈육 Patty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적포도주의 첨가 효과 (Effect of Addition of Red Win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Score of Cooked Pork Patty)

  • 정인철;윤동화;박경숙;이경수;문윤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13-218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ddition of red win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a sensory score of cooked pork patties. The samples consisted of the pork patty without red wine(control), and 1, 3 and 5% red wine(RWP-1, 3 and 5,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moisture$(58.1\sim58.7%)$, crude protein$(15.9\sim16.3%)$ crude fat$(23.2\sim23.7%)$, and crude ash$(2.7\sim2.9%)$ contents, and the Hunter's $a^*-value(0.2\sim0.6)$, cooking loss$(16.5\sim19.2%)$, VBN$(11.9\sim15.6mg%)$, total bacterial count($(11.9\sim15.6mg%)$ Log cfu/mL), hardness$(3,193\sim3,336\;dyne/cm^2)$, springiness$(75.8\sim79.7%)$, cohesiveness$(47.8\sim52.1%)$, gumminess$(489\sim509kg)$, chewiness$(183\sim209g)$ and strength $(1,144\sim1,199g)$ between the pork patties. Of the pork patties the $L^*$ value of the control and the b value of RWP-5 were the lowest(p<0.05). The pH and TBARS value of RWP-5 were the lowest of all the pork patties. The flavor of RWP-5 was superior to that of the other pork patties, and the taste, texture, juiciness and palatability of RWP-3 and RWP-5 were superior to those of the control and RWP-1. In conclusion, the addition of 5% red wine was most suitable for enhancing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score of pork patties.

  • PDF

톳 분획물이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의 멜라닌합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Effects of Hizikia fusiforme Fractions on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 최은옥;김향숙;한민호;최영현;박철;김병우;황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1495-150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톳 분획물의 미백효과 및 그에 따른 생화학적 기전의 해석을 위하여 톳 분획물이 ${\alpha}$-MSH에 의해 인위적으로 유발된 melanogenesis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였고, 이때 MITF, TRP1, TRP2, tyrosinase 등과 같은 melanin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에 어떠한 변화가 유발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톳 분획물 처리가 B16F10 mouse melanoma cell의 멜라닌의 생성량과 tyrosin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butanol fraction (BFHF) 처리군과 water fraction (WFHF) 처리군을 제외한 ethyl extract (EEHF) 처리군, dichlorimethane fraction (CFHF ) 처리군, ethyl acetate fraction (EAFHF) 처리군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멜라닌 생성량과 tyrosinase 활성이 억제되었으며,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발현이 단백질 수준에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 중 특히 EEHF 처리군과 CFHF 처리군은 50 ${\mu}g/ml$의 농도에서 멜라닌 생성량을 40.5%, 33.2% 감소시켰으며, tyrosinase 활성도 50 ${\mu}g/ml$의 농도에서 각각 53.3%, 54.1% 감소시켰다. 또한 EEHF, CFHF, EAFHF 처리군에서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톳 분획물 중 특히 EEHF 처리군과 CFHF 처리군이 B16F10 mouse melanoma cell에서 melanin 생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 발현을 억제하므로 향후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의 관련성 (Relationships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 박승경;김종오;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887-3896
    • /
    • 2011
  • 본 연구는 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들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직업관련 특성 및 직무스트레스 내용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한 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450명으로 하였으며, 조사는 2010년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PWI) 수준은 건강군이 10.2%, 잠재적 스트레스군이 64.0%, 고위험 스트레스군이 25.8%를 차지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은 업무요구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업무의 자율성, 상사의 지지도 및 동료의 지지도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으로는 규칙적 운동여부, 주관적인 수면시간의 평가, 주관적인 건강상태, 교대근무여부, 업무에 대한 적성, 업무요구도, 업무의 자율성, 상사의 지지도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특히 직무스트레스 내용을 나타내는 요인이 추가됨으로 해서 18.1%의 설명력을 증가시켜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에 직무스트레스 내용이 높은 관련성이 있었다.

포도주에 함유된 항보체 활성 다당류 (Anti Complementary Polysaccharides in Grape Wines)

  • 박소연;이준수;유광원;한남수;이호;고종호;신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9호
    • /
    • pp.1232-1236
    • /
    • 2006
  • 포도주에 함유된 항보체 활성 다당류를 규명 및 분리하기 위하여 포도와 관련된 과실주로부터 조다당 획분을 시판되고 있는 적포도주, 백포도주 및 머루주로부터 농축과 에탄올 침전을 통하여 조제하였다. 항보체 활성의 검토 결과, 적포도주의 조다당 획분(RW-0)이 백포도주의 획분(WW-0)보다 더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항보체 활성을 갖는 포도주의 조다당 획분 중 Sephadex G-75의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통하여 고분자 획분으로 RW-1과 WW-1으로, 저분자 획분으로 RW-2와 WW-2로 분획되었으며 머루주의 경우에는 분획되지 않았다. 분획된 획분 중 RW-1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91.3%의 당이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적포도주의 항보체 활성이 백포도주의 획분보다 높은 활성을 갖는 것은 펙틴과 헤미셀룰로오즈 등이 함유된 포도껍질로부터 활성 다당이 기인하는 것으로 보이며, 높은 당 함량과 수율을 보이는 고분자 획분, RW-1과 WW-1이 저분자 획분보다 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Angelica tenuissima Root on Oxidative Stress and Melanogenesis

  • Koo, Hyun Jung;Lee, Sung Ryul;Park, Yuna;Lee, Jin Woo;So, Gyeongseop;Kim, Sung Hyeok;Ha, Chang Woo;Lee, Sang Eun;Bak, Jong Phil;Ham, Su Ryeon;Lim, Hyosun;Kim, Youn Kyu;Sohn, Eun-Hwa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12-321
    • /
    • 2018
  • Angelica tenuissima, also known as Ligusticum tenuissimum, is classified as a food-related plant and has been used as traditional medicines treating headache and anemia in Asia. However, its anti-melanogenic effect has not been reported in detail. When the extract of Angelica tenuissima (ATE) was prepared by the extraction with 70% EtOH at $80^{\circ}C$ (final yield = 22%), the contents of decursin and Z-ligustilide in ATE were determined 0.06% and 8.43%,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and phenolic content in mg ATE were $5.52{\pm}0.07{\mu}g$ quercetin equivalents and $237.27{\pm}13.24{\mu}g$ gallic acid equivalents, respectively. Antioxidant capacity of ATE determined by DPPH and ABTS assay was increased with a dose dependent manner up to $1000{\mu}g/m{\ell}$. The amount of melanin synthesis followed by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on B16F10 cel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resence of ATE (250 to $1000{\mu}g/m{\ell}$, p<0.05). ATE (125 to $1000{\mu}g/m{\ell}$, p<0.05) suppressed the tyrosinase activity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effect on ${\alpha}-glucosidase$ activity at the same condition. Taken together, ATE possesses tyrosinase inhibitory potential with significant antioxidant capacities. These effects of ATE might be involved in suppression of melanin synthesis, at least, in B16F10 cells. The anti-melanogenic potential of ATE will provide an insight into developing a new skin whitening product.

수박 탄저병 Race 3 저항성 중생종 수박 '한결' 육성 (Breeding of a Mid Maturing Watermelon Cultivar, 'Hangyeol' with Resistance to Anthracnose Race 3)

  • 허윤찬;홍규현;고호철;박경섭;박동금;이중섭;조명철;이석영;고관달;이우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95-698
    • /
    • 2010
  • 우리나라 수박 주산단지에 심한 피해를 주고 있는 수박 탄저병에 대한 저항성 계통 육성을 위하여 국내 외에서 수집한 수박 유전자원의 병 저항성 검정으로 탄저병 저항성이 강한 'AU-Producer'를 선발하여 저항성 친으로, 고품질 계통인 '920533'을 반복친으로 1993년 인공교배를 하였으며 1994년부터 1998년까지 BC4F1세대를 진전하였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원예적 특성 고정을 위해 6회 자가수분하여 세대를 진전하였으며 원예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최종 선발된 'WCR16-1C-5C'를 농촌진흥청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를 거쳐 '한결'으로 명명하였다. '한결'은 수박 탄저병 race1과 3에 저항성이며 식물체 생장형은 덩굴성이며 주지길이는 중간정도이다. 평균과중은 5.3~10.1 kg 범위로 중대과종이며, 평균 과피 두께는 1.2~1.6 cm로 시판품종 등과 유사하였다. 과피는 녹색이며 과피의 줄무늬는 중간정도이다. 과육색은 적색이며 당도는 9.8~$11.8^{\circ}Bx$. 범위이고 중생종으로 과실의 품질을 비롯한 원예적 특성은 대비 품종과 유사하였다. 수박 탄저병 저항성 계통 '한결'은 탄저병 race 1과 3에 강한 저항성이고, race 2에는 중간저항성으로 품종육성 재료로 이용하거나 노지 및 시설재배 품종으로 재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재배시 탄저병 방제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박 탄저병 Race 3 저항성 중만생종 수박 '한빛' 육성 (Breeding of a Mid-Late Maturing Watermelon Cultivar, 'Hanbit' with Resistant to Anthracnose Race 3)

  • 허윤찬;홍규현;고호철;박경섭;박동금;이중섭;조명철;이석영;고관달;이우문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699-702
    • /
    • 2010
  • 탄저병 저항성 수박 계통을 육성하기 위하여 저항성 계통인 'AU-Producer'를 선발하여 탄저병 저항성 친으로, 고품질 계통인 '920533'을 반복친으로 1993년 교배하여 $F_1$세대를 작성하였으며, 1994년부터 1996년까지 $BC_3F_1$세대를 진전하였고 중만생종인 '920532'를 반복친으로 추가하여 1997년$BC_4F_1$세대를 작성하였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 원예적 특성 고정을 위해 6회 자가수분하여 세대를 진전하였으며, 원예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최종 선발한 'WCR8-2C-3K'를 농촌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신품종선정위원회를 거쳐 '한빛'으로 명명하였다. '한빛'은 수박 탄저병 race 1과 3에 저항성인 중만생종으로 식물체 생장형은 덩굴성이며 덩굴길이는 중간정도이다. 평균과중은 5.4~9.1 kg 범위로 중대과종이며, 평균과피 두께는 1.2~1.5 cm로 시판품종 등과 유사하였다. 과피는 녹색이며 과피의 줄무늬는 중간정도이다. 과육색은 적색이며 당도는 10.4~$11.2^{\circ}Bx$ 범위로 과실의 품질을 비롯한 원예적 특성은 대비 품종과 유사하였다. 수박 탄저병 저항성 계통 '한빛'은 탄저병 저항성 및 품질개량을 위한 품종재료로 이용하거나, 노지 및 시설재배 품종으로 재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재배시 탄저병 방제 노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