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conductance level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1초

정맥 천자 시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아동의 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opical Anesthetic Cream on Pain at Venipuncture in Children)

  • 김윤수;박호란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42-148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아동의 정맥 천자 시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경피적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아동의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유사 실험 설계로 반복 측정연구이다. 경피적 국소마취크림의 적용시간을 기존 1시간 적용보다 30분 단축한 30분으로 하였고, 대상자를 입원 시의 학령기 아동으로 하여 국소마취크림이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대한 반응을 피부 전기반응, 아동의 자가 보고와 심박동수 측정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정맥 천자 시 통증에 대한 피부 전기반응의 최대값과 평균값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아 경피적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정맥 천자 시 아동의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경피적 국소마취크림 도포가 아동의 정맥 천자 시 통증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기존에 사용되던 통증의 생리적 변수 이외에 피부 전도도(SCL)라는 변수를 통증반응의 지표로 측정하였고, 이는 통증의 새로운 지표를 아동의 통증 연구에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울러 아동의 경피적 국소마취크림의 적용 시간을 단축하여 향후 간호 실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sponses to the Rustling Sounds of Korean Traditional Silk Fabrics

  • Cho, Soo-Min;Yi, Eun-Jou;Cho, Gil-Soo
    • Fibers and Polymers
    • /
    • 제7권4호
    • /
    • pp.450-456
    • /
    • 200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o the rustling sound of Korean traditional silk fabrics and to figure out objective measurements such as sound parameters and mechanical properties determining the human responses. Five different traditional silk fabrics were selected by cluster analysis and their sound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in terms of FFT spectra and some calculated sound parameters including level pressure of total sound (LPT), Zwicker's psychoacoustic parameters - loudness(Z), sharpness(Z), roughness(Z), and fluctuation strength(Z), and sound color factors such as ${\Delta}L\;and\;{\Delta}f$. As physiological signals, the ratio of low frequency to high frequency (LF/HF) from the power spectrum of heart rate variability, pulse volume (PV), heart rate (HR), and skin conductance level (SCL) evoked by the fabric sounds were measured from thirty participants. Also, seven aspects of psychological state including softness, loudness, sharpness, roughness, clearness, highness, and pleasantness were evaluated when each sound was presented. The traditional silk fabric sounds were likely to be felt as soft and pleasant rather than clear and high, which seemed to evoke less change of both LF/HF and SCL indicating a negative sensation than other fabrics previously reported. As fluctuation strength(Z) were higher and bending rigidity (B) values lower, the fabrics tended to be perceived as sounding softer, which resulted in increase of PV changes. The higher LPT was concerned with higher rating for subjective loudness so that HR was more increased. Also, compression linearity (LC) affected subjective pleasantness positively, which caused less changes of HR. Therefore, we concluded that such objective measurements as LPT, fluctuation strength(Z), bending rigidity (B), and compression linearity (LC)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to the sounds of Korean traditional silk fabrics.

열차 운행 중인 기관사의 각성상태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Concerning Analysis of Arousal State of locomotive Engineering During Operating Train)

  • 양희경;이정환;이영재;이재호;임민규;백종현;송용수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1권6호
    • /
    • pp.891-898
    • /
    • 2012
  • The study for the passenger's comfortableness of vehicles and the arousal of car drivers has been done widel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few studies for the locomotive engineers. Human error means that the mistakes made by human, recently it receives attention in the field of safety engineering and human engineering. Compa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rain with car, because of the simplification of the visual stimulus, the arousal level on the train goes down easily. The arousal level down makes judgement down, the accident risk from human error is getting bigger. In this study, we measured bio-signals(ECG, EDA, PPG, respiration and EEG) from 6 locomotive engineers to evaluate their arousal state while they operated the train. Also we recorded the 3 axes acceleration signal showing the vibration state of train. Also, the existence of tunnels were simultaneously measured. At the station section where the train speed goes down, the size of vector's sum decreases because of reduced vibration. Beta component in EEG tends to increase at the entering point of each station and tunnel. It is due to the arousal reaction and tension growth. The mean SCR(skin conductance response) was more increased in neutral section. As the button control movement (body movement) increases in the neutral section, it is appeared that SCR increase. RR interval tends to gradually increase during train operation for 1 hour 40 minutes. However, It tends to sharply decrease at the stop station because strong concentration needed to stop train on the exact point. The engineer's arousal reaction can be checked through analysing the bio-signal change during train operation. Therefore, if this analysing result is adopted to the sleepiness prevention caution system, it will be useful for the safety train operation.

3D 영상의 입체성이 콘텐츠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심리적 반응에 미치는 효과 - 콘텐츠의 유인가와 각성도를 중심으로 - (Viewers' Psychophysiological and Self-report Responses to 3D Stereoscopic Display)

  • 임소혜;정지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11-222
    • /
    • 2012
  • 영상 콘텐츠가 2D와 3D의 다른 차원에서 재현되었을 때 수용자의 심리적 반응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보다 종합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유인가와 각성과 같은 콘텐츠의 내용적 특성이 영상의 입체성과 연계되어 수용자의 자기보고식(self-report) 설문과 수용자의 생리심리학적(psychophysiology) 반응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동일한 영상이라도 3D로 시청하였을 때 수용자의 피부전도계수(SCL)는 유의미하게 높았던 반면, 심장박동(HR)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3D 영상에서 수용자의 실재감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인지적 정보처리를 표식하는 회상기억에서 입체성에 따른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흥미롭게도 수용자의 실재감과 이용의사에서 콘텐츠의 내용적 특성 중 유인가가 입체성과 상호작용효과를 보였다. 부정적인 콘텐츠는 3D 영상에서 긍정적인 콘텐츠는 2D 영상에서 보다 높은 실재감과 이용의사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3D 영상 산업의 발전을 위해 영상의 입체성과 콘텐츠의 속성이 가지는 상호관계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분노유발에 따른 특성불안자의 자율신경계 반응 특성 (Characteristic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s Induced by Anger in Individuals with High Trait Anxiety)

  • 음영지;장은혜;손진훈
    • 감성과학
    • /
    • 제20권3호
    • /
    • pp.169-180
    • /
    • 2017
  • 특성불안이 높은 자들은 분노 표현을 억제하려하기 때문에 주관적인 행동평가로는 특성불안자의 분노 경험을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보다 객관적으로 특성불안자의 분노 경험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분노에 의해 유발된 자율신경계 반응이 특성불안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참가자들을 불안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분노자극을 제시하기 전과 후에 심전도(ECG), 호흡(RESP), 피부전기활동(EDA), 그리고 피부온도(SKT)를 측정하였다. ECG에서 심박률(HR), NN 간격의 표준편차(SDNN), 심박주기 제곱의 평균제곱근(RMSSD), 심박변이도의 저주파성분(LF), 심박변이도의 고주파성분(HF), 저주파성분과 고주파성분의 비율(LF/HF ratio), RESP에서 호흡주기(RR)를, EDA에서 피부전도수준(SCL)을, SKT에서 최대피부온도(maxSKT)를 산출하였다. 두 집단 간 분노자극에서 유발된 분노정서 강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였다. 자율신경계 반응 차이를 확인한 결과, 불안집단에서 유의미한 SDNN와 LF의 증가, HF, LF/HF ratio, 그리고 RR의 감소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특성불안이 높은 이들의 분노 경험을 측정하는데 자율신경계 반응이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운전 생체신호 및 운전 수행도 분석 System 개발 (Development of an Analysis System for Biosignal and Driving Performance Measurements)

  • 이원섭;박장운;김수진;윤성혜;;이용태;손준우;김만호;유희천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7-53
    • /
    • 2010
  • An analysis of biosignal and performance data collected during driving has increasingly employed in research to explore a human-vehicle interface design for better safety and comfort.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protocol and a system to effectively analyze biosignal and driving performance measurements in various driving conditions. Electrocardiogram (ECG), respiration rate (RR), and skin conductance level (SCL) were selected for biosignal analysis in the study. A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protocol was established based on a comprehensiv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n, the established analysis protocol was implemented to a computerized system so that immense data of biosignal and driving performance can be analyzed with ease,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for an individual and/or a group of individuals of interest. The developed analysis system would be of use to examine the effects of driving conditions to cognitive workload and driving performance.

직물 마찰음에 대한 심리생리적 반응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to the Sound of fabric Friction)

  • 조자영;이은주;손진훈;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4권2호
    • /
    • pp.79-88
    • /
    • 2001
  • 본 연구는 청각적 감성을 만족시키는 의류소재의 개발을 위해 직물 마찰음에 따른 생리반응 측정 및 심리적·주관적 평가를 통해 감성을 측정하여 이들이 음향특성과 갖는 관련성을 밝히고, 또한 심리생리적 반응 간의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직물 마찰음의 음향특성으로서 LPT, ΔL, Δf, loudness[Z], sharpness[Z]를 계산하였고, 직물 마찰음에 대한 감각·감성 표현어(부드러움, 시끄러움, 유쾌함, 날카로움, 맑음, 거침, 높음)를 이용하여 주관적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생리적 반응으로서 뇌파, 혈류량, 심박변화율, 피부전도수준 등을 측정하였다. 주관적 감각·감성은 대부분 직물소리의 크기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나, loudness(Z)와 총음압 LPT가 증가할수록 시끄럽고 거칠며 딱딱하고 불쾌하며 탁하다고 지각하였다. 또한 LPT는 혈류량의 감소에, loudness(Z)는 피부전도수준의 증가에 각각 영향을 미치며, sharpness(Z)가 높고 ΔL이 작을수록 LF/HF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생리적 반응간의 관련성은 부드럽고 조용하며 맑다고 지각할수록 slow alpha파가 증가하였고, 유쾌하고 매끄럽다고 평가할수록 혈류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높다고 지각하는 소리에 대해 LF/HF는 증가하였다. 따라서, 직물 마찰음의 특성에 따라 심리생리적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뉴로피드백 훈련이 후기청소년의 신체적, 정서심리적 스트레스 반응과 자기조절에 미치는 효과: 비무작위 연구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Physical, Psychoemotional Stress Response and Self-Regulation for Late Adolescence: A Non-Randomized Trial)

  • 최문지;박완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08-220
    • /
    • 201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for reducing stress and enhancing self-regulation in late adolescence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use for nursing intervention.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78 late adolescent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39) that received the neurofeedback training and the control group (n=39). Data were collected on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skin conductance level (SCL) to assess stress-biomarker response. The questionnaire contained 164 items from: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Symptom Checklist-90-Revised (SCL-90-R) and Self-regulatory Ability scale. The neurofeedback training was based on the general adaptation syndrome and body-mind medicine.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0 sessions for 30 minutes per session with high-beta, theta and sensory motor rhythm training on scalp at central zero.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ndard deviation of normal to normal interval (p=.036) in HRV and SCL (p=.029) of stress-biomarker response between the two groups. Negative affect (p=.036) in PANAS and obsessive compulsive (p=.023) and depression (p<.001) in SCL-90-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lf-regulation mode (p=.004) in self-regulation ability scal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neurofeedback training is effective in stress-biomarkers, psychoemotional stress response and self-regulation. Therefore, neurofeedback training using neuroscientific approach based on brain-mind-body model can be used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late adolescents in clinics and communities for effective stress respon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