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Condition Improvement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32초

광어껍질을 활용한 펩신가수분해물 제조공정 최적화와 피부건강 기능성 (Optimal Processing for Peptic Hydrolysate from Flounder Skin and Its Skincare Function)

  • 강유안;진상근;고종현;최영준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9-24
    • /
    • 2022
  • Low-molecular weight peptides derived from fish collagen exhibit several bio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nt, antiwrinkle, antimicrobial, antidiabetic, and antihypertension effects. These peptides are also involved in triglyceride suppression and memory improvemen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processing condition for preparing low-molecular weight peptides from flounder skin, and the properties of the hydrolysate. The optimal processing conditions for peptic hydrolysis were as follows: a ratio of pepsin to dried skin powder of 2% (w/w), pH of 2.0, and a temperature of 50℃. Peptic hydrolysate contains several low-molecular weight peptides below 300 Da. Gly-Pro-Hyp(GPHyp) peptide, a process control index, was detected only in peptic hydrolysate on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time-of-flight(MALDI-TOF) spectrum. 2,2'-azinobis-(3-3-ethylbenzothiazolline-6- sulfonic acid(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peptic hydrolysate was comparable to that of 1 mM ascorbic acid,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at pH 5.5, whereas collagenase inhibition was five times higher with the peptic hydrolysate than with 1 mM ascorbic acid at pH 7.5. However, the tyrosinase inhibition ability of the peptic hydrolysate was lower than that of arbutin, which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peptic hydrolysate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 was not obser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ptic hydrolysate derived from a flounder skin is a promising antiwrinkle agent that can be used in various food and cosmetic products to prevent wrinkles caused by ultraviolet radiations.

고주파요법과 갯장어 추출물 병행처리가 남성피부에 미치는 영향 (Combined Treatment Effect of High Frequency Therapy with Sharp-Toothed Eel Extract on Men's Skin)

  • 노현주;김윤수;남형근;신현재;류은미;나명순;안병권;최두복;차월석
    • KSBB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260-265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reatment effect of Muraenesox cinereus extract product combined with high frequency on men's damaged skin. The subjects were treated by a product containing M. cinereus extract combined with high frequency therapy for six weeks and tested in skin condition. First, for moisture level chan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ntrol group treated only by high frequency therapy and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by a M. cinereus extract product combined with high frequency therapy. But the subjects who increased consistently in moisture level in the cheek and chin were more comm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for an oil level, prominently high increase was found in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Finally, for a rough level, whil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between immediately after peeling and after six weeks, high improvement effect on a curve was found in the experimental group. Based on this result, cosmetics using M. cinereus extract may have a positive effect on men's skin which is exposed to several stress factors. Accordingly, this result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men's functional cosmetics.

중풍(中風) 환자(患者)의 피부(皮膚) 소양증(瘙痒症)에 소풍산(消風散) 투여(投與) 2례(例) (Two Cases of Stroke Patient's Pruritic Dermatoses Treated with Sopung-San(Xiaofeng-San))

  • 김태경;김정열;강경숙;류순현;배형섭;최요섭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80-285
    • /
    • 2002
  • Pruritus is [CHECK DEFN] itchy feeling of one's skin. We often face stroke patients who complain about Pruritus. They occasionally fail to fall asleep or have a secondary infection as a result of scratching. For these reasons, severe Pruritus brings down general condition and interferes with recovery. The causes of Pruritus are distributed to from skin diseases and from internal diseases. Especially among the skin diseases, Xerotic Eczema, which is called Senile Eczema causes the dry skin in the elderly, especially lower limb's extensor part. According to the epidemiology, 20% of the old have Xerotic Eczema. In oriental medicine, Pruritus is called Pungsoyang(風瘙痒), Pungyang(風痒), Yangpung(痒風), Sinyang(身痒). The cause of Pruritus is divided into two. One is endogenous factors and the other is exogenous factors. The former are deficiency of blood(血虛), blood fever(血熱), wind-heat due to internal damage(內傷風熱), damp-heat in the liver and gallbladder(肝膽濕熱), endogenous wind stirring in the liver(肝風內動), deticiency syndrome of the spleen(脾虛), deficiency of Yin of the liver and kidneys(肝腎陰虛) and deficiency of the Penetration and Conception Vessels(衝任不足). The latter are wind-cold due to exogenous affection(外感風寒) and wind-heat due to exogenous affection(外感風寒). We report two stroke patients who complained of severe Pruritus They were diagnosed as having Xerotic Eczema by a dermatologist. We regarded their Pruritus as blood fever(血熱) and wind-heat(風熱) and prescribed Sopung-San to these patients. These pati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 PDF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활성 및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nax Notoginseng Flos extract on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cne skin)

  • 김송이;리순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3-5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피부 세포 독성, 항염증을 확인하고, 삼칠화 함유 화장품을 여드름 피부에 적용하여 수분, 홍반, 모공, 블랙헤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ial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은 RAW 264.7 세포에 대한 독성이 적었고,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주간 삼칠화 에탄올 추출물이 3% 함유된 스킨 토너와 스팟 솔루션을 여드름 피부에 적용한 결과, 수분 증가와 홍반지수, 눈에 띄는 모공수, 블랙헤드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사용 후 만족도 조사에서 피지량 감소, 붉음증 완화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삼칠화는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가 있으며, 여드름 관리용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방(古方)으로 치료한 건선 환자 치험 2례 (Two different Cases of Psoriasis Patients Treated with 2 different Kobangs)

  • 문영호;오재선;김선종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50-65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2 Kobangs. Daecheongryong-tang and Samhwangsasim-tang on to two psoriasis patients each. The improvement of the skin condition was observed by Psoriasis Area and Severity Index (PASI) score. The patient treated with Daecheongryong-tan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patient's state of sweating improved and the PASI score of the patient reduced from 17.6 to 1.8 after five months of treatment. The patient treated with Samhwangsasim-tang showed gradual improvement after the patient's defecation was improved and the PASI score of the patient reduced from 27.3 to 3.6 after three months of treat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we obtained clinically positive effects from 2 Kobangs applied on 2 psoriasis cases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ere few reports on psoriasis treated with Kobang, we can suggest effective treatment on psoriasis.

이노시톨과 피틴산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ositol and Phytic Acid on Skin)

  • 조춘구;한창규;송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15-524
    • /
    • 2004
  • 쌀눈에서 추출한 inositol과 phytic acid를 화장품에 적용하기 위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20{\~}40$대의 아시안 여성 45명을 대상으로 7주간 inositol $0{\~}3.0\;wt\%$와 phytic acid $0{\~}1.50\;wt%$가 함유된 스킨로션을 제조, 사용 후 피부의 수분, 유분, 탄력, 주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Inositol $1.0\;wt\%가$ 함유된 스킨로션을 사용한 경우 피부의 수분 함유량은 $19\%$ 증가하였으며, 주름은 $12.4\%$ 개선되었고, 피부탄력은 $12.4\%$ 증가되었다. 또한 phytic acid $0.50\;wt\%$를 함유한 스킨 로션을 사용한 경우 피부의 수분은 $71.6\%$ 증가하였으며, 주름은 $16.9\%$ 감소하였고, 탄력은 $21.9\%$가 증가하였다. Inositol과 phytic acid를 지성과 건성피부에 적용한 결과 $2{\~}4$주 후면 정상피부의 유분량으로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Inositol과 phytic acid는 모두 피부개선에 효과적이나, phytic acid는 민감한 피부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1.0\;wt\%의$ inositol에 $0{\~}0.5\;wt\%$의 phytic acid를 첨가한 스킨로션을 제조하여 그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경우 $1.0\;wt\%$의 phytic acid에 $1.0\;wt\%$의 inositol을 사용한 경우 수분은 $63.8\%$, 탄력은$17.2\%$ 증가하였으며, 주름은 $17.4\%$ 개선되었고, 피부 유분량은 약 2주 후에 정상적인 상태로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inositol $1.0\;wt\%$$0.10\;wt\%$의 phytic acid를 첨가하여도 피부 개선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 내에서 $1.0\;wt\%$의 phytic acid와 $1.0\;wt\%$의 inositol을 사용한 경우 적은 양으로도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상승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구부러진 손가락 끝점 추적을 위한 컬러 영역 보정 알고리즘 (Color Area Correction Algorithm for Tracking Curved Fingertip)

  • 강성관;정경용;임기욱;이정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1-18
    • /
    • 2011
  • 기존 손가락 추적을 수행하는데 있어 손가락 끝점을 계산하는 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먼저 피부색정보를 추출한다. 블럽 함수의 블럽 컬러링(Blob Coloring) 알고리즘을 통하여 피부 윤곽선을 계산하고, 그 중 가장 최상위 점을 손가락 끝점으로 정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구부러진 손가락 상태에서 그것의 위치를 측정할 때 실제 손가락 끝이 아닌 잘못된 위치를 탐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부러진 손가락 끝점 추적을 위한 컬러 영역 보정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구부러진 손가락 상태에서의 손가락 끝점 추적시 잘못된 곳을 측정하는 문제점을 사용자들의 성향을 통해 미리 예상하고 보정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논리적 타당성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적인 적용을 시도하고자 한다. 따라서 영상인식에서 서비스의 만족도와 질을 향상시켰다.

회화나무 꽃, 열매, 가지 추출물의 피부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xtracts from Sophora Japonica L. Flowers, Fruits and Branches on Improvements in Skin Condition)

  • 송행선;장혜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51-35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Sophora japonica L. (S. japonica)학명의 콩과 식물 낙엽교목인 회화나무의 꽃, 열매, 가지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l,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력 측정 및 porcine pancreatic elastase (PPE) 저해력 측정을 통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평균 각각 261.37 mg/g, 187.49 mg/g, 81.26 mg/g이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조사한 결과 50~1,000 mg/L 농도에서 회화나무 꽃 추출물은$17.68{\pm}1.59{\sim}51.40{\pm}1.04%$, 열매 추출물은 $27.48{\pm}0.22{\sim}50.89{\pm}0.13%$, 가지 추출물은 $30.79{\pm}0.55{\sim}45.17{\pm}0.83%$ 범위의 소거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같은 농도에서 티로시나제 저해능과 PPE 저해능을 실험한 결과 회화나무 꽃 추출물은 $0.27{\pm}0.12{\sim}11.38{\pm}0.57%$, $3.70{\pm}1.23{\sim}7.28{\pm}1.01%$ 열매 추출물은 $0.27{\pm}0.02{\sim}0.82{\pm}0.27%$, $3.06{\pm}2.13{\sim}13.03{\pm}2.99%$, 가지 추출물은 $0.09{\pm}0.16{\sim}0.55{\pm}0.27%$, $6.00{\pm}0.96{\sim}9.71{\pm}0.44%$ 범위로 티로시나제 저해능은 꽃 추출물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회화나무의 피부개선에 미치는 효능, 효과를 살펴본 결과 꽃, 열매, 가지 추출물이 각 부위별로 효과가 상이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사질토층을 지나 풍화암에 소켓된 매입 PHC말뚝에서 지반의 허용압축지지력 산정도표 및 산정공식 개발에 관한 연구(II) - 설계 사례 분석을 통한 매입 PHC말뚝의 설계 개선 방향 - (Study(II) on Development of Charts and Formulae Predicting Allowable Axial Bearing Capacity for Prebored PHC Pile Socketed into Weathered Rock through Sandy Soil Layer - Improvement Measures of Current Design Method by Analyzing Current Design Data for Prebored PHC Piles -)

  • 여규권;윤대희;윤도균;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8호
    • /
    • pp.31-42
    • /
    • 2019
  • 최근에 시공된 건축현장의 73개 설계 자료를 분석하여 매입 PHC말뚝에 대한 설계 현황을 고찰하였다. 매입 PHC말뚝의 설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극한지지력 산정공식에 따라 산정한 전체지지력에 대한 주면마찰력의 분담율(SRF)는 20~53%로 나타났다. 극한주면마찰력이 과소평가되는 지지력 산정공식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PHC말뚝의 재료 성능에 대한 평균 설계 효율은 약 70%이었으며 지반 지지력에 대한 평균 설계 효율은 약 80%이었다. 즉, 지반의 설계 효율은 PHC말뚝의 설계 효율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지반 지지력을 설계하중보다 동등한 수준 또는 그것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계산하고 있는 설계 현황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반의 허용지지력을 PHC말뚝의 허용연직압축하중보다 높은 수준으로 산정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매입 PHC말뚝의 지지력 산정공식에서는 극한주면마찰력이 극한선단지지력보다 상대적으로 2.2배 정도 낮은 수준으로 계산되었다. 매입 PHC말뚝의 설계에서 적용하고 있는 극한지지력 산정공식들은 모두 국외 지반을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며 국내 지반에 대한 적용성 검증 없이 도입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었다. 매입 PHC말뚝의 설계에서 적용할 지지력 산정공식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함초 식이의 피부 개선 효과 (Improvement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Diet on the Acne Skin)

  • 임미라;강상모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50-76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여드름이 있는 20대 대학생을 대상으로 12주간의 함초 섭취 유무에 따른 혈청 지질, testosteron, DHT, 미네랄, WBC 및 SOD 등을 측정하고 피부 상태를 측정함으로써 함초에 포함된 생리 활성 물질들의 항산화, 항균, 항균 및 항염 작용, 체내 남성 호르몬 간섭에 의한 피지 분비 저하 작용 등을 확인하여 함초가 여드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혈액 지표 검사 결과, 혈청 total cholesterol 및 triglyceride 농도 측정 결과 대조군에서는 시험 전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시험 전후 total cholesterol 및 triglyceride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WBC가 유의하게 감소 하였으며, 항산화 지표인 SOD는 유의하게 증가하여 함초의 지질 감소에 의한 피지 감소 작용, 염증 반응 감소에 의한 항염 작용 및 항산화 작용을 확인하였다. 또한 혈중 미네랄 농도의 경우 함초환 복용군에서 함초 식이 후 Ca, K, Fe 및 Zn이 함초 식이 전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여 이들 미네랄의 증가로 인한 항산화 작용에 의해 여드름 피부가 개선될 수 있음 역시 확인하였다. 피부 상태 측정 결과의 경우, 블랙헤드 모공수의 경우 대조군에서는 시험 전후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시험 전에 비해 시험 후 얼굴 중앙 및 우측면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피부 유분량은 대조군에서의 변화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이마 및 볼, 코, 턱 및 눈 밑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피부 각질 상태 역시 대조군에서는 시험 전후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함초 식이 후 이마, 볼, 코 및 눈 밑에서의 시험 후 pH가 5.12~5.36으로 유의하게 낮아져 정상 피부 상태인 약산성 pH에 가까워진 반면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함초 식이 시 피부에서의 미생물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함초의 여드름 균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여드름 단계 역시 대조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가던 반면 함초환 복용군에서는 시험 후 여드름 등급이 유의하게 낮아져 여드름 피부의 개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함초는 함초 내에 포함된 미네랄을 포함한 여러 생리활성물질의 항염, 항균 및 항산화작용이 종합적으로 작용하여 피부 유분, 각질 및 블랙헤드를 감소시키고 피부의 pH를 저하시켜 여드름 등급이 낮아지는 종합적인 여드름 피부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