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n Barrier

검색결과 304건 처리시간 0.02초

개에서 피부세정제 적용빈도가 정상피부에 미치는 영향 (Functional Assessment of Frequency of a Commercial Shampoo for Normal Canine Skin)

  • 유종원;신희주;배슬기;최성원;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83-287
    • /
    • 2013
  • Canine skin is a highly dynamic organ that is constantly adapted to changes in its environment. It provides structural, sensory, immunologic, and physiologic functions and contributes an essential barrier function against potential environmental insults. We assessed the changes of canine skin hydration, pH, and protein contents by noninvasive metho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application with canine commercial shampoo. Canine commercial shampoo was applied topically every other day, 5 days, and 8 days on different sites, respectively in 8 dogs. Saline-applied site was as a control. Skin hydration was increased and skin surface pH w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canine commercial shampoo-applied site every other day (p < 0.05). Also, skin protein concentration measured by D-squame$^{(R)}$ tape stripping method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canine commercial shampoo-applied site every other day (p < 0.05). There were alterations on every 5 days and 8 days, but not significantly. These results may be recognized that the frequent use of canine commercial shampoo cause abnormalities of the skin barrier function and alteration of stratum corneum integrity/cohesion. Consequently it was suggested that bathing the dog with canine commercial shampoo was appropriate every 5 or 8 days.

이온화된 맥반석이 아토피 피부염 유발 Nc/Nga mice의 피부손상 및 염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onized Maifanite on Skin Damages of Nc/Nga Mice after Atopic Dermatitis Elicitation)

  • 김종채;홍승욱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9-42
    • /
    • 2017
  • Objectives : Atopic dermatitis accompanies with severe pruritus and collapse of skin barrier, inflammation. Maifanite could be used as an ointment for skin disease.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maifanite uses for atopic dermatitis. We report the anti-inflammatory and promoting skin recovery effects of ionized maifanite on damaged skin barrier with experimentally elicited atopic dermatitis. Methods : Nc/Nga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 group(CON), atopic dermatitis elicited group(AE group), ionized maifanite treated group after atopic dermatitis elicitation(MT group). After 5% SDS was applied D. pteronyssinus crude extract also applied for 3 weeks to elicit atopic dermatitis-like skin disease. MT group was treated for 3 weeks with ionized maifanite. Ionized maifanite was applied once a day and voluntarily administrated. AE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treated with normal saline in the same way. Results : In MT group, skin lesions like eczema were more improved than AE group. p-ERK1/2 positive reaction was reduced in MT group. MMP-9 and substance P positive reaction at dermal papillae was also reduced in MT group. With skin angiogram, capillary vessel decreased in MT group. Also, IL-4 positive reaction cell and STAT-6 positive reaction cell reduced more in MT group than in AE group. $NF-{\kappa}B$ p65 positive reaction cell and iNOS positive reaction cell also declined more in MT group than in AE group. Conclusions : It is supposed that ionized maifanite has anti-inflammatory effects on NC/Nga mice's atopic dermatitis with suppressing IL-4 production and Th2 cell differentiation, and controlling $NF-{\kappa}B$ activation.

Effects of Oral Intake of Kimchi-Derived Lactobacillus plantarum K8 Lysates on Skin Moisturizing

  • Kim, Hangeun;Kim, Hye Rim;Jeong, Bong jun;Lee, Seung Su;Kim, Tae-Rahk;Jeong, Ji Hye;Lee, Miyeong;Lee, Sinai;Lee, Jong Suk;Chung, Dae K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74-80
    • /
    • 2015
  • Skin is the soft outer covering of vertebrates that provides protection from pathogenic infection, physical damage, or UV irradiation, and controls body temperature and water conten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oral intake of kimchi-derived Lactobacillus plantarum K8 lysates on skin moisturizing. In an in vitro study, we observed that the hyaluronic acid content increased in HaCaT cells treated with L. plantarum K8 lysates. Oral administration of L. plantarum K8 lysates effectively attenuated the horny layer formation and decreased epidermal thickening in DNCB-treated SKH-1 hairless mice skin. The damage to barrier function was reduced after 8 weeks of oral administration of L. plantarum K8 lysates as compared with that in the atopic dermatitis mice. For the test with volunteers, we manufactured experimental candy containing 2.1% L. plantarum K8 lysates, while control candy did not contain bacterial lysate. A significant increase in hydration in the experimental candy-administered group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candy-administered group was observed on the face after 4 and 8 weeks, and on the forearm after 4 weeks. Decreases in horny layer thickness and TEWL value were observed on the face and forearm of the experimental group. Together, the in vitro cell line and in vivo mouse studies revealed that L. plantarum K8 lysates have a moisturizing effect. A clinical research study with healthy volunteers also showed an improvement in barrier repair and function when volunteers took L. plantarum K8 lysates-containing candy. Thus, our results suggest that L. plantarum K8 lysates may help to improve skin barrier function.

초임계 추출을 적용한 식물추출물의 항산화 및 피부장벽 효과 (Anti-oxidative and skin barrier effects of natural plants with a supercritical extract)

  • 김보라;이수민;황태영;김현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597-60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식물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미용관련 기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용매추출에 비해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초임계 추출방식을 적용하여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수세미(Lufa cylindrica), 작약(Paeonia lactiflora),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 및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의 천연식물 초임계 추출물을 확보하고, 이들의 항산화력 및 피부장벽 향상 효과를 조사하였다. 초임계 식물추출물의 피부장벽기능 향상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항산화 활성 외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PPAR)-${\alpha}$ 활성, cornified envelope(CE)에 관련된 단백질인 involucrin의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이들 추출물 중 황금추출물이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모든 추출물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의 PPAR-${\alpha}$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피부장벽 기능 지표 단백질인 involucrin 발현량도 모든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황금추출물이 가장 높은 단백질 발현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조사한 5개 식물의 초임계 추출물은 항산화 및 피부장벽 기능개선과 같은 기능성 생물활성 소재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무모쥐에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장벽 손상에 미치는 커큐민의 보호 효과 (Beneficial Effect of Curcumin on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in Hairless Rat)

  • 전희영;김정기;김완기;이상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86-690
    • /
    • 2008
  • In vivo에서 8주간의 UVB 처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장벽 기능 손상에 대한 커큐민의 보호 효능을 관찰한 결과, UVB에 의해 유도되는 경표피 수분손실량의 증가와 비정상적인 각질 세포의 증식이 커큐민의 섭취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하여 커큐민이 피부 장벽 손상을 방어하고 피부 장벽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큐민의 피부 장벽기능 보호 작용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각질형성세포주를 이용하여 피부 장벽 조절인자에 대한 커큐민의 작용을 평가한 결과 커큐민은 filaggrin과 SPT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커큐민이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를 촉진하고 세라마이드 합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효능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커큐민이 피부 장벽 보호 또는 개선 효능을 갖는 새로운 미용 식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식품 소재로써 커큐민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간 보고된 커큐민의 낮은 bioavailability에 대한 연구를 참고하여 임상에서 유효한 용량을 설정하기 위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난백(Egg White)에서 추출한 리소좀 추출물(LOE)의 미백 효능 및 피부장벽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Whitening Efficacy and Skin Barrier by Lysosome-related Organelle Extract (LOE) from Egg White)

  • 최다희;전경찬;윤지희;민지호;박시준;김정수;황이택;황형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89-397
    • /
    • 2019
  • 리소좀(lysosome)은 진핵세포에서 에너지 대사 및 세포 내 소화 작용에 관여하는 세포 소기관으로 protease, nuclease, glycosidase, lipase, phosphatase 들이 다수 존재한다. 우리는 선행 연구결과들을 통해 난백 리소좀의 멜라닌 색소 탈색능을 보고하였다[8]. 그러나 B16F10 melanocyte 세포주에서 난백 리소좀에 의한 멜라닌 함량 변화 및 피부장벽 조절 연구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는 계란 난백(egg white)으로부터 추출한 lysosome-related organelle extract (LOE)에 의한 세포 내 멜라닌 함량 변화 및 피부장벽 강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LOE의 미백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B16F10 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독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주에서 LOE에 의한 세포독성은 0에서 20 mg/mL 농도에서 관찰되지 않았으나, 40 mg/mL 부터 세포독성이 관찰되어 이후 모든 실험에서 최대 농도값을 20 mg/mL로 설정하였다. 먼저 LOE를 이용한 melanin contents assay 결과, 음성 대조군인 α-MSH 처리군 대비 LOE 처리군 5, 10, 20 mg/mL 농도에서 61.5 ± 4.0%, 61.4 ± 7.3%, 58.3 ± 8.3%로 세포 내 멜라닌 함량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20 mg/mL 농도 조건에서 MITF 발현 억제도 관찰하였다. LOE의 피부 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각질형성세포주(HaCaT)를 이용하여 TEER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 assay를 수행한 결과, LOE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TEER 저항값이 증가하여 LOE가 피부장벽 강화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피부 염증 유발을 위한 TNF-α 처리조건에서도 LOE는 TEER 저항값을 증가시켜 염증 유발 조건에서도 LOE에 의해 피부장벽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cell migration assay를 통해 LOE에 의한 세포이동 촉진 효과를 관찰한 결과, LOE는 세포분열 및 세포이동을 촉진시켰다. 위 결과들을 통해 LOE는 미백 기능 뿐 아니라 피부재생 및 피부장벽 강화에도 효과를 나타내는 소재이며, 효소안정화 및 제형화 기술이 접목된다면 향후 새로운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도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달맞이꽃오일에서 얻은 Ceramide를 함유한 보습크림의 피부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Effect of Moisturizing Cream containing Ceramide from Evening Primrose Oil on the Moisturization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in Human Skin)

  • 박상현;이건국;이광식;박현지;이병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243-1249
    • /
    • 2018
  • 세라마이드는 일반적으로 화장품 산업에서 피부의 보습 및 피부장벽강화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많은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합성 세라마이드가 아닌 달맞이꽃오일에서 얻은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크림이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크림이 세라마이드들 함유하지 않은 보습크림과 비교하여 피부보습력과 경피수분손실량에서 우수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선호하는 식물성 Base oil에 따른 클렌징 오일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eansing oil on Skin by preferred Vegetable Base oil)

  • 김정은;이재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64-274
    • /
    • 2019
  • 본 연구는 선호하는 식물성 Base oil에 따른 클렌징 오일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설문조사(100명)를 통해 세안 습관 실태 및 선호하는 식물성 Base oil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4종의 클렌징 오일을 제조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20~30대 성인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실험 전 후 수분보유량, 유분보유량, 경피수분손실량(TEWL)을 측정하였고, 실험 후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클렌징 오일의 식물성 Base oil 종류에 따른 선호도 설문조사에서는 로즈힙 오일, 올리브 오일, 살구씨 오일, 동백 오일 순으로 나타났다. 임상 실험결과, 선호하는 식물성 Base oil에 따른 클렌징 오일(4종)의 클렌징 전 후 수분보유량과 유분보유량의 변화폭은 Base oil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p<0.001). 또한 TEWL의 변화량도 Base oil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모두 감소하였다(p<0.01). 실험 후 주관적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로즈힙 오일이 함유된 클렌징 오일(RHC)이 세정력 및 주관적인 만족도면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선호하는 식물성 Base oil에 따른 클렌징 오일이 피부의 유 수분보유량과 TEWL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피부장벽을 보호함으로서 피부개선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개개인마다 피부타입과 선호하는 오일 및 사용감에 따른 만족도는 다르지만 본 연구의 식물성 Base oil에 따른 클렌징 오일은 단순히 세정의 차원을 넘어 피부건조와 피부장벽을 보호하는 피부보호 제품으로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 of two Terpenoids, Ursolic acid and Oleanolic acid on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and simultaneously on dermal functions

  • Lim Suk Won;Jung Sung Won;Ahn Sung Ku;Kim Bora;Ryoo Hee Chang;Lee Seung Hun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5-232
    • /
    • 2003
  • Ursolic acid (UA) and Oleanolic acid (ONA), known as urson, micromerol and malol, are pentacyclic triterpenoid compounds which naturally occur in a large number of vegetarian foods, medicinal herbs, and plants. They may occur in their free acid form or as aglycones for triterpenoid saponins, which are comprised of a triterpenoid aglycone, linked to one or more sugar moieties. Therefore UA and ONA are similar in pharmacological activity. Lately scientific research, which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UA and ONA, revealed that several pharmacological effects, such as antitumor, hepato-protective, anti-inflammatory, anticarcinogenic, antimicrobial, and anti-hyperlipidemic could be attributed to UA and ONA. Here, we introduced the effect of UA and ONA on acutely barrier disrupted and normal hairless mouse skin. To evaluate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recovery, both flanks of 8-12 week-old hairless mice were topically treated with either 0.01-0.1 mg/ml UA or 0.1-1 mg/ml ONA after tape stripping, and TEWL (Transepidermal water loss) was measured . The recovery rate increased in those UA or ONA treated groups (0.1 mg/ml UA and 0.5 mg/ml ONA) at 6 h more than $20\%$ compared to vehicle treated group (p<0.05). Here, we introduced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acute barrier disruption and normal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For verifying the effects of UA and ONA on normal epidermal barrier, hydration and TEWL were measured for 1 and 3 weeks after UA and ONA applications (2mg/ml per day). We also investigated the features of epidermis and dermis using electron microscopy (EM) and light microscopy (LM). Both samples increased hydration compared to vehicle group from f week without TEWL alteration (p<0.005). EM examination using RuO4 and OsO4 fixation revealed that secretion and numbers of lamellar bodies and complete formation of lipid bilayers were most prominent $(ONA{\geq}UA>Vehicle)$. LM finding showed that thickness of stratum corneum (SC) was slightly increased and especially epidermal thickening and flattening was observed (UA>ONA>Veh). We also observed that UA and ONA stimulate epidermal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via $PPAR\;\alpha$. Protein expression of involucrin, loricrin, and filaggrin increased at least 2 and 3 fold in HaCaT cells treated with either $ONA\;(10{\mu}M)$ or UA $(10{\mu}M)$ for 24h respectively.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UA and ONA can improve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and induce the epidermal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via $PPAR\;{\alpha}$. Using Masson-trichrome and elastic fiber staining, we observed collagen thickening and elastic fiber elongation by UA and ONA treatments. In vitro results of collagen and elastin synthesis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measurements were also confirmed in vivo findings. These data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UA and ONA related to not only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s but also dermal collagen and elastic fiber synthesis. Taken together, UA and ONA can be relevant candidates to improve epidermal and dermal functions and pertinent agents for cosmeseutical ap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