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ill competency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9초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의 역량평가사로서의 훈련요구분석 (Training Needs Analysis for Skill Assessor's Competency of Vocational Education Teachers in Korea)

  • 박용호;이진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47-15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의 역량평가사로서 필요한 역량에 대한 훈련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Russ-Eft의 평가자 역량모델을 기초로 역량평가사로서의 역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국의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 자격증을 가진 직업능력개발 훈련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결과 본 설문에 최종적으로 응답한 인원은 총 234명이었고, 158명(67.5%)은 남성, 73명(31.2%)은 여성이었다. 분석 결과는 전문가 신뢰도(요구도 2.51), 평가관리계획 수립(요구도 2.11), 관리계획(요구도 2.08), 그리고 효과적 협업(요구도 2.07) 등의 순으로 개발의 요구가 파악되었다. 반면, 다양한 의도인식(요구도 1.01), 윤리기준 준수(요구도 1.24), 대인관계(요구도 1.76) 등은 상대적으로 개발의 요구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정비직무를 위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Development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for Automotive Maintenance)

  • 지명석;노희규;한영민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2권2호
    • /
    • pp.81-87
    • /
    • 2014
  • 자동차정비직무의 "일과 학습의 연계"를 위해 현장에서 필요한 직무수행능력을 기준으로 자동 차정비 분야에 대한 교육훈련과 자격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자동차정비 현장전문가들이 국가직무 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자동차정비직무의 국가 직무능력표준 개발영역과 직무체계를 수립하였고 직무능력단위별 수행준거, 지식, 기술, 태도 및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동차정비직무의 능력단위별 직업기초능력의 영역별 수준을 제시하였으며 자격기준안을 제시하여 교육과 평가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도서관 사서의 역량가치 평가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Librarian's Competency Value)

  • 차성종;김진묵;박희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07-133
    • /
    • 2021
  • 본 연구는 정보전문직으로서 사서의 역량가치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사서의 역량 강화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는 첫째, 도서관 인적자본으로서 사서의 공통 역량가치를 기량, 지식 및 행동과 태도로 구분하여 각각의 영역에 대한 A도서관 사서의 역량가치를 평가한 결과, '사서의 행동 및 태도' 영역의 평균이 가장 높았으며, '사서의 기량' 영역, '사서의 지식' 영역 순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A도서관 사서의 '사서의 기량' 영역의 역량가치 평가에서는 '의사소통', '리더십', '기술' 평가요소 순으로, '사서의 지식' 영역의 평가에서는 '법률 및 정책', '마케팅', '학습 및 성장', '재무 및 회계' 평가요소 순으로, '사서의 행동 및 태도' 영역의 평가에서는 '윤리 및 가치', '대인관계', '고객 서비스' 평가요소 순으로 각각 평가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A도서관 사서의 역량가치 평가 결과에 대하여 평가 대상자 특성에 따른 평균 차이가 존재하는지 분석한 결과, 전체 역량가치에 대해서는 '근무기간' 요인 만이, '사서의 지식' 영역에서는 '연령'과 '근무기간' 2가지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사서의 역량가치는 평가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 '사서의 기량' 영역의 역량가치에 대해 '최종학력' 요인 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사서의 역량가치를 높이는 데 있어 문제점 및 바람직한 개선방안에 대한 조사에서는 '사서자격제도'나 '사서 양성체계' 등 시스템적 측면에서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비율이 높았다.

교사의 핵심역량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 조사 (Perception of Education Community about Teacher's Competency)

  • 성병창;부재율;한경임;이경화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78-95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areas and standards of kindergarten teacher's competency through survey research and interview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 kindergarten teachers, vice principals, principals, administrators, parents, and professo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Raw data from 62 interviewees were grouped into 25 codes including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young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labeled for representative themes. Based on the result of interview analysis, two areas of 'knowledge and skill' area (15 standards) and 'attitude and grounding' area (20 standards) were classified, survey researched for appropriateness and relative importance of each standard. 704 memb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mmunity were collected through stratified sampling.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observation and evaluation ability for young children' and 'affection for young children' showed high appropriateness in 'knowledge and skill area' and 'attitude and grounding area', respectively. In the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 'understanding of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and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and counseling' for knowledge and skill area, and 'respect for young children', 'affection for young children', responsibility', 'positive attitude' for attitude and grounding area showed high relative importance in order.

표준화 환자를 적용한 시뮬레이션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um using a Standardized Patient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Clinical Competency)

  • 정수경;김경아;정은영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6-19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problem-solving skill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clinical competency. Method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t sample of 47 junior nursing students at W University. Scenarios to train SP and checklists to evaluate the students''competence were developed by our research te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ronbach's ${\alpha}$ using SPSS WIN 21.0 Program. Results: The simulation practicum using a standardized patient was conducted based on four steps, namely, selections of scenario modules, standard patient training,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problem-solving skills(t=-2.94, p=.005) and clinical competency(t=-2.84, p=.007)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communication skill(t=-.32, p=.747) and critical thinking(t=-.68, p=.498) was not different in group. Conclusion: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may be useful the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skills and clinical competency.

간호역량 규명을 위한 문헌 분석 (An Identification Study on Core Nursing Competency)

  • 박영임;김정아;고자경;정명실;방경숙;최명애;유미수;장혜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63-674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to scrutinize not merely the nomenclature of clinical competency suggested in nursing literature but also what core clinical competency nursing students should be focused on for improv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Methods: A comprehensive review on 69 domestic and 89 foreign related literature was conducted. After reviewing the full text of a total of 158 articles, only 23 articles with measurement tools were selected for scrutinizing while 135 articles with obscure definitions of clinical competency were excluded. Results: Clinical competencies including 120 concepts were identified. Those concepts were categorized as 30 clinical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ir similarities. Seven core clinical competencies including 1)nursing knowledge, 2)nursing skill, 3)interpersonal skill/cooperation, 4)problem-solving, 5)professionalism, 6)nursing management/leadership and 7)research ability were derived from the 30 clinical competencies through the categorizing process. Conclusion: Teaching & learning strategies should focus on the integration of nursing theories and clinical practices based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considering the 7 core clinical competencies. Nonetheless, they include somewhat abstract concepts and some were not concrete enough to be applied to the nursing curriculum. Thus,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order to develop consensus-driven clinical competencies and competency modeling which can suggest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core competencies.

실습실 개방 자율 실습방법 적용이 기본간호학 실기 숙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교육평가적 연구 (Educational Evaluation of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through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 백훈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3-20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in improving nursing skill competency. Method: This study was a one group posttest only design that examined the competency in basic nursing skills after traditional education and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Students participated in traditional education and open laboratory practice through self-study. Whenever practice was done, the item of practice and time were measured and document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 1 The average number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pen lab self-directed practice was 53.9 (64.2%) and the total number of hours of participation was 1567.5 minutes per year. Each student participated for an average of 29.1 minutes per year. 2. Analysis showed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actical skill and open laboratory self-study (r=0.252, p=0.048).

  • PDF

반도체 산업의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훈련수요 분석 (Training Demand Analysis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f the Semiconductor Industry)

  • 이재원;윤석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178-5187
    • /
    • 2011
  • 반도체 산업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관련한 개발연구는 부분적으로 수행되었으나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산업현장의 훈련수요에 대한 조사와 분석은 이뤄지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직업훈련 수요연구는 과부족인원 중심으로 수행되어 직무능력요소에 대한 질적 불일치의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반도체 산업을 대상으로 훈련수요 조사를 실시하고 직종별 직무기술요소의 상대적 중요도와 격차를 이용한 시급성 분석을 통해서 해당직종이 갖는 직무능력요소에 대한 정성적 분석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수행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더불어 반도체 산업에 특화된 직무능력요소의 수요조사를 수행하고, 직종과 직무, 그리고 각 직무능력요소의 정성적 수요를 분석하여 6개의 직종과 28개 직무별 직무능력요소에 대해서 인력수준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기업의 직무기술의 확보 방법과 인력의 충원방법을 분석하고 지역의 대표적 교육과정과 연계를 예시함으로써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적정한 공급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근육주사법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on Knowledge, Self-confidence, and Skill Competency of Intramuscular Injection)

  • 윤소영;최순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12-420
    • /
    • 2016
  • 본 연구는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근육주사법에 대한 지식, 자신감 및 수행능력에 대해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구로 G광역시 소재 일 간호대학의 기본간호학실습 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군 32명, 대조군 30명으로 총 62명이었다. 지식과 자신감은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수행능력은 체크리스트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사전, 사후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험군은 전통적 학습과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을 하였고 대조군은 전통적 학습만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program 을 이용하여 paired t-test,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조군의 지식(F=3.59, p=.019)이 실험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실험군의 자신감(F=2.26, p=.016)과 수행능력(F=9.08, p<.001)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이 근육주사 간호술기에 대한 자신감 및 수행능력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앞으로 간호학생이 자율실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고 실습실 개방 자율실습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아파트 커뮤니티전문가의 직무와 역량 지표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Job Components and Competency Indicators for Apartment Community Specialist)

  • 채혜원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1-1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mponents of task and competency indicators for apartment community specialist who supports for community activations. The research process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ly, the direction of developing competency indicator set up by literature review related community, job components, and competency indicators. Second, analysing of job and competency indicators were developed and revis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questionnaire survey on 6 experts in community area. Third, questionnaire survey from 20 community specialists in seoul was performed in order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competency component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elected competency indicators were settled as followed : the competency indicators for apartment community specialist consisted of 3 competency clusters, 14 competency factors, 48 competency indicators. Community specialist recognized attitude and personal trait a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y clusters, and understanding of community, interpersonal relations and communication skill, and vocational ethics and social responsibility as important factors in the competency indica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used as tool for evaluating the job and competency of apartment community specialist, establishing professional identity of apartment community specialist, and providing an importance knowledge base for developing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