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w Bridg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5초

토압분리형 교량의 구조해석을 통한 허용 변위량 검토 (Examination of Allowable Displacement by Structural Analysis of IPM Bridge)

  • 김홍배;한희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534-544
    • /
    • 2019
  • IPM Bridge는 파일벤트가 지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교대의 과도한 변위가 유발될 수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교량의 형상은 IPM Bridge의 설계지침에 제시된 최대 적용 조건인 경간 120.0m, 사각 30도, 파일벤트의 돌출높이 최대 10.0m를 적용하였다. 이 교량모델을 이용하여, IPM Bridge의 최대 경간 적용조건에 따른 최대 변위를 산정하였으며, Bozozuk가 제시한 허용 변위에 근거하여 IPM Bridge의 수평변위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IPM Bridge의 최대 수평변위는 여름철의 팽창 조건보다는 겨울철의 수축 조건에서 더 크게 산정되었으며, 수평변위는 사각보다는 교량의 길이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직 변위는 사각과 연장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간의 증가에 따라 수평변위가 크게 증가되었으며, 연장 120.0m에서의 수평변위는 Bozozuk가 제시한 허용 변위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파일벤트에 발생되는 모멘트가 소성모멘트를 초과하지는 않았다. IPM Bridge는 설계지침에 제시된 최대 적용조건인 파일벤트의 돌출높이 10.0m, 연장 120.0m에서는 수평변위가 과도하게 발생될 수 있으므로, 설계단계에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전달행렬법에 의한 경사 격자교의 해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Analysis of Skew Grillage Girder Bridges by Transfer Matrix Method)

  • 김용희;이윤영;김광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159-170
    • /
    • 2005
  • 격자구조는 병렬하는 주거더에 횡거더로 접합된 구조를 말하며 집중하중이 재하될 때 하중이 주거더만 부담하지 않고 횡거더를 통하여 다른 주거더로 하중이 일부를 부담하게 된다. 격자형의 교량은 과다한 집중하중을 분산시켜 내하력이 높은 특성을 갖고 있으며 사용재료를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절차가 간단하고 이해가 쉬운 전달행렬법을 이용하여 격자교의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Leonhardt, Szabo, FEM, 양창현 및 정진환의 해석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경사각을 갖는 직선격자교와 곡선격자교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경사각과 휨강도/비틀림강도의 비에 따른 직선격자교와 곡선격자교의 단면력을 분석하였다.

일체교대식 판형교의 사각변화에 따른 파일기초 거동분석 (Behavior of Pile Foundation of Skewed Plate Girder Bridge with Integral Abutment)

  • 서혜선;이성우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89-396
    • /
    • 1998
  • One solution to prevent deterioration due to expansion joint and to extend lifetime of short span bridges, is jointless integral abutment bridge. To understand behavior of pile foundation of skewed plate girder bridge with integral abutment,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model of different skew angle from 90。 to 50。. Comparison of stresses at pile and abutment was made for each case. It is found that effect of temperature change is major factor to influence the behavior of skewed integral abutment bridge.

  • PDF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and seismic fragility assessment of skewed multi-span continuous concrete girder bridges

  • Khorraminejad, Amir;Sedaghati, Parshan;Foliente, Greg
    • Earthquakes and Structures
    • /
    • 제20권4호
    • /
    • pp.389-403
    • /
    • 2021
  • Skewed bridges, being irregular structures with complicated dynamic behavior, are more susceptible to earthquake damage. Reliable seismic-resistant design of skewed bridges can be achieved by accurate determination of nonlinear seismic demands. However, the effect of geometric characteristics on the response modification factor (R-factor) is not accounted for in bridge design practices.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anges in the number of spans, skew angle and bearing stiffness on R-factor values and to assess the seismic fragility of skewed bridges. Results indicated that changes in the skew angl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R-factor values which were in consonance with code-prescribed R values. Also, unlike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pans that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R-factor, the increase in bearing stiffness led to higher R-factor values. Findings of the fragility analysis implied that althoug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spans, as well as the increase in the skew angle, led to a higher failure probability, greater values of bearing stiffness reduced the collapse probability. For practicing design engineers, it is recommended that maximum demands on substructure elements to be calculated when the excitation angle is applied along the principal axes of skewed bridges.

주형과 상판과의 상호작용이 단순 사교의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the Concrete Deck and Steel Girders on the Dynamic Behavior of Simply Supported Skew Bridges)

  • 문성권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593-604
    • /
    • 2007
  • 합성형 사교는 비합성형 사교에 비해 역학적 측면에서 큰 장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사각이 심한 사교들의 경우 합성형 사교에 매우 큰 상판응력이 유발될 가능성이 있어 종종 이들 사교들에 대한 비합성형 설계가 검토되어지곤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해석이 가능한 비합성형 사교의 해석모델을 제안하고 이 해석모델들을 이용하여 사교들에 대한 비합성형의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주형과 상판과의 세 가지 상호작용(합성작용, 부분합성작용, 비합성작용)이 단순 판형사교들의 동적특성과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주형간격, 사각, 상판 종횡비를 매개변수로 총 27개의 판형 사교들에 대한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판과 주형 경계면에서의 미끄러짐은 고유진동주기가 길어지는 현상을 유발하여 사교의 교축직각방향에 작용하는 전체밑면전단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도 있지만 모드형장과 강성분포에 큰 영향을 미쳐 바람직하지 않은 사교 거동을 유발할 수도 있다. 부분합성작용의 최소 규정에 따라 설치된 전단연결재는 주형응력과 상판응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즉, 몇몇 사교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반적으로 부분합성형으로부터 구한 주형응력과 상판응력의 크기는 합성형 사교로부터 구한 관련 응력들의 크기와 유사하거나 약간 크게 나타난다.

강상자형 사교의 윤하중분배계수 (A Study on Wheel Load Distribution Factors of Skew Steel Box Girder Bridges)

  • 서창범;송재호;김일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통권56호
    • /
    • pp.148-15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강상자형 사교의 윤하중분배계수에 관련된 외국 설계규준들(AASHTO, AASHTO LRFD)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윤하중분배계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또한 다양한 강상자형 사교의 모델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강상자형사교의 윤하중분배계수를 산정하는 식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제안식의 적용 시 기존 설계 규준식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고, 강상자형사교의 설계시 구조해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그 타당성 및 실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순 사교의 거동에 미치는 콘크리트 상판과 주형간의 상호작용 효과 (Effects of Interactions between the Concrete Deck and Steel Girders on the Behavior of Simply Supported Skew Bridges)

  • 문성권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03-212
    • /
    • 2006
  • 합성형은 비합성형에 비해 역학적 측면에서 큰 장점을 지닌 것이 사실이지만 사각이 심한 사교들의 경우 합성형은 매우 큰 상판응력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종종 이들 사교들에 대한 비합성형 설계가 검토되어지곤 한다. 하지만 이러한 비합성형은 상판과 주형 경계면에서의 미끄러짐(slip)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교들의 전반적인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상판과 주형간의 두 가지 상호작용(합성작용과 비합성작용) 효과를 분석하여 사각이 심한 사교들에 대한 합성형의 적용 타당성을 조사하였다. 주형간격, 사각, 상판 종횡비를 매개변수로 총 27개의 단순지지된 사교들에 대한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제안된 바 있는 받침들간의 강성조정 개념을 이용하여 합성형 사교의 거동을 개선시킬 수 있는 가능성도 함께 검토하였다. 해석결과로부터 비합성 사교들보다 합성형 사교들에서 훨씬 바람직한 거동이 나타나며 받침들간의 강성조정 방법은 보다 합리적이며 경제적인 합성형 사교 및 하부구조의 설계를 가능하게 해준다.

Fragility characteristics of skewed concrete bridges accounting for ground motion directionality

  • Jeon, Jong-Su;Choi, Eunsoo;Noh, Myung-Hyun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3권5호
    • /
    • pp.647-657
    • /
    • 2017
  • To achieve this goal, two four-span concrete box-girder bridges with typical configurations of California highway bridges a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bridges: an integral abutment bridge and a seat-type abutment bridge. A detailed numerical model of the representative bridges is created in OpenSees to perform dynamic analyses. To examine the effect of earthquake incidence angle on the fragility of skewed bridges, the representative bridge models are modified with different skew angles. Dynamic analyses for all bridge models are performed for all earthquake incidence angles examined. Simulated results are used to develop demand models and component and system fragility curves for the skewed bridges. The fragility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with regard to earthquake incidence angl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arthquake incidence angle more significantly affects the seismic demand and fragilities of the integral abutment bridge than the skewed abutment bridge. Finally, a recommendation to account for the randomness due to the ground motion directionality in the fragility assessment is made in the absence of the predetermined earthquake incidence angle.

$C^{\circ}$-계층적 평판요소에 의한 경사평판의 비선형 해석 (Nonlinear Analysis of Skew Plates by $C^{\circ}$-Hierarchical Plate Element)

  • 우광성;허철구;박진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65-76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평판의 모서리 둔각이 135도까지를 갖는 재료적 비선형 경사평판을 해석하기 위해 C°-계층적 평판요소를 개발하는 것이다. 기하학적 변환을 통해 경사진 경계조건은 직각좌표계의 좌표변환을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경계는 경사진 변 전체 또는 경사교량의 교좌위치와 관련된 몇 개의 선택지점만을 고려할 수 있게 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경사교량의 교좌장치의 이동방향을 설명할 수 있도록 1차 전단변형을 갖는 Reissner/Mindlin 평판이론에 기초를 둔 5-자유도 경사평판요소가 정식화되었다. 한편, 평판의 극한내하력을 추정하기 위해 von-Mises 항복기준에 기초를 둔 소성유동법칙을 갖는 증분소성이론이 채택되었다. 또한, ADINA 소프트웨어에 의한 h-version 모델과 제안된 p-version 모델을 사용하여 경사각, 경계조건과 하중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해석결과는 이론값과 문헌에 보고된 수치해석값과 비교되었다. 자유도 수에 따른 정확도를 비교기준으로 한다면, 본 연구에서 제안된 해석모델은 지금까지 개발된 가장 효율적 도구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