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stability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3초

하악전돌증 환자의 하악지시상분할골절단술 후 고정방법에 따른 안정성과 회귀율에 대한 분석 (COMPARATIVE STUDY OF STABILITY AND RELAPSE ACCORDING TO FIXATION METHOD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IES IN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 최희원;김경원;이은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4호
    • /
    • pp.334-34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ostoperative stability and relapse according to 2 different fixation methods after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ies in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Tweenty one patients with Class III dental and skeletal malocclusion who were treated with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were selected for this retrospective study. We classfi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fixation methods of bony segments after osteotomies. Group W (n = 10) had the bone segments fixed with nonrigid wire and Group S (n = 11) had bicortical screws inserted in the gonial area through a transcutaneous approach.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preoperatively, immediate postoperatively and more than six months postoperatively in each patient. After tracing the cephalometric radiographs, various parameters were measured. Before surgery, both groups were balanced with respect to linear and angular measurements of craniofacial morphology. Mean posterior sagittal setback amounts of the mandibular symphysis was 8.6 mm in the wire group and 6.79 mm in the rigid group, Six months postoperatively, the wire group had 33.1% relapse of the mandibular symphysis and 22.8% in the rigid group relapse. Both groups experienced changes in the orienta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mandible. It is thought that Rigid screw fixation is a more stable method than nonrigid wire fixation for maintaining mandibular setback afte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외측 하악각 골절제술을 동반한 시상분할골절단술을 통한 골격성 3급 하악골 비대칭 환자의 치료 (THE CORRECTION OF CLASS III MANDIBULAR ASYMMETRY USING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AND LATERAL ANGLE REDUCTION)

  • 강희제;송인우;강영기;김종렬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2호
    • /
    • pp.132-140
    • /
    • 2010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usefulness of unilateral mandibular angle ostectomy, so-called "Lateral Angle Reduction", in asymmetric prognathism patients by the assessment of postoperative stability and esthetic results Patients and methods: For the retrospective study, 10 skeletal class III mandibular asymmetry patients who were performed SSRO and unilateral mandibular angle ostectomy, Lateral Angle Reduction, was selected. Lateral and posterioanterior cephalogram was taken before surgery (T0), 1day after surgery (T1) and 6month after surgery (T2). To know the esthetic results the facial width and lateral facial contour were examined on posterioanterior cephalogram and to know the postoperative stability B point and Incisor inferius was examined on lateral cephalogram.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From T0 to T1, Intergonial widt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ominantly at shortened side but no significant changes at lengthened side. Those were well-maintained during 6 months. Lateral facial angle and Ramus angl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n only shortened side from T0 to T1. As a result, after surger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measurements between shortened side and lengthened side. Ramus deviation angle in shortened side and ramus angle in lengthened side which reflect the angulation of ramus on frontal plane didn't show significant changes after surgery and during postsurgical periods. Lower dental midline showed no statistical changes during postsurgical period. The relapse rate on B-point was 11.92%. Conclusion: Unilateral "Lateral angle reduction" in the asymmetric mandible is valuable to obtain the narrow lower face and symmetric facial contour with a good stability.

상하악 제2소구치 발거 치료 증례 - III급 부정교합 경계증례의 치료전략 (Upper and lower second premolar extraction treatment case - Treatment strategy for Class III borderline cases)

  • 김태경;김종태;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5-194
    • /
    • 2002
  • 경미한 총생이 있는 경계증례를 치료할 때 비발치로 치료계획을 세우면 심미성과 안정성이 문제될 뿐 아니라 치료 후의 재발이 우려되며, 상하악 제1소구치를 발거하게 되면 전치부의 과도한 후방견인으로 인하여 dish-in face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하악 제2소구치를 발거하여 교정치료를 시행하면 안모심미성의 훼손없이 총생을 해결하고 치료 후의 안정성에도 좋은 결과를 보여준다 미약한 골격 부조화가 있고 경미한 총생이 있지만, 좋은 안모와 I급 구치관계를 가진 성 장 완료된 환자에서 상하악 제2소구치를 발거, 치료하여 치료결과가 양호하고 성공적으로 유지 된 증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개의 근위 경골 성장판 골절에서 경첩 관절경유 외고정의 적용 (Application of Hinged Transarticular External Skeletal Fixator (HTAESF) for Proximal Tibial Physeal Fracture in a Dog)

  • 김관;허수영;이해범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02-505
    • /
    • 2012
  • 8개월령, 3.5 kg의 중성화하지 않은 토이 푸들이 왼쪽 다리의 체중 부중을 하지 않는 파행으로 내원하였다. 방사선 검사에서, 왼쪽 경골 근위부의 Salter-Harris II 형 성장판 골절과 비골 골절이 발견되었다. 교차핀, 긴장철사와 경첩 관절경유 외고정을 통해 근위 경골의 성장판 골절을 정복 하였다. 수술 후 1주째까지 경첩관절경유 외고정의 관절가동변위를 $25^{\circ}$, 수술 후 2주째까지 $70^{\circ}$ 까지 증가 시켰으며 수술 후 3주째 경첩 관절경유 외고정을 제거하였다. 수술 후 6주차에 골절은 합병증 없이 성공적으로 치유되었고 환자는 정상보행을 회복하였다. 수술 후 7개월째 환자는 정상적으로 보행을 하였으며, 반대쪽 정상다리와 비교하였을 때 관절의 가동범위는 동일 하였다. 본 증례는 근위 경골의 성장판 골절이 있는 미성숙견에서 교차핀, 긴장철사 및 경첩 관절경유 외고정을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사례이다. 이러한 방법은 수술 후 골절정복의 안정성 및 조기 관절운동을 통한 정상 관절범위의 회복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거라 사료된다.

Bone-supported pendulum을 이용한 상악대구치 원심이동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WITH THE BONE-SUPPORTED PENDULUM)

  • 장용걸;박호원;이주현;서현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64-474
    • /
    • 2009
  •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이 요구되는 경우, 구외견인, Wilson distalizing arches, 가철식 스프링 장치 그리고 Schwarz plate-type 장치 등을 사용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대구치의 원심이동 장치들로 치료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협조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많은 소아치과 의사들은 환자 의존성을 최소화하고 임상가가 통제 할 수 있는 장치들로 전환하고 있다. 이 중 가장 일반적인 것이 pendulum 장치인데, 고정원이 되는 전방치아의 원하지 않는 이동과 고정원 소실, 그리고 구개부 고정원이 좋지 않은 경우 원하는 정도의 구치부 원심이동을 얻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전통적인 pendulum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SAS(Skeletal Anchorage System)를 pendulum에 접목하여 골에서 직접 지지를 얻는 변형된 형태의 pendulum, 즉 bone-supported pendulum을 제작하여 장착 시킨 후 주기적인 관찰을 시행하였다. 본 증례는 혼합치열기 환자를 대상으로 bone-supported pendulum을 사용하여 안정된 고정원 유지, 원치 않는 치아이동의 최소화 및 양호한 상악 대구치 원심이동 등을 관찰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혼합치열기의 miniscrew를 이용한 교정치료 (ORTHODONTIC TREATMENT WITH MINISCREWS IN MIXED DENTITION)

  • 임수민;양연미;김재곤;백병주;이용훈;신정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67-375
    • /
    • 2008
  • 교정치료 시 고정원은 항상 염두에 두면서 치료를 진행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전통적인 고정원을 이용한 치료는 환자의 적극적인 협조를 필요로 하고 원하는 치아이동에 대한 반작용이 나타날 수 있는 등의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보다 견고한 구강 내 고정원이 요구되어져 왔으며 이를 위해 miniscrew가 임상에서 흔히 이용되고 있다. Miniscrew를 통한 고정원의 확보는 구외력 의존도 감소, 치료기간의 단축, 식립 후 즉시 교정력 적용, 환자의 협조도 불필요, 식립의 간편성, 저렴한 비용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성장기 환자는 성인에 비해 골질이 좋지 않아 miniscrew의 성공률이 성인에 비해 낮다. 그러나 일단 고정에 성공하면 많은 교정치료 시 매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혼합치열기 환자를 miniscrew를 이용하여 정중이개 및 정중선 불일치, 매복치에 대한 양호한 교정치료를 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과두과증식을 동반한 안면비대칭 환자에서 과두절제술의 적용과 효과 (Application and effects of condylectomy in asymmetric patients with condylar hyperplasia)

  • 임경섭;차정열;황충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437-455
    • /
    • 2008
  • 과두과증식은 하악의 3차원적인 골격적인 비대가 일어나는 병적인 상태이다. 이러한 과두과증식의 원인은 호르몬의 작용, 외상, 감염, 유전, 태아기 때의 요인, hypervascularity 등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과두과증식의 진단 시 가장 중요한 것은 과두과증식 상태가 아직도 활성화 상태인지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두과증식의 상태에 따라서 안면비대칭 환자의 치료는 이환측 과두의 성장 부위를 제거하는 과두절제 술을 시행하는 방법,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통상적인 악교정 수술만을 시행하거나 과두절제술을 병행하는 시술방법이 있다. 과두과증식의 활성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은 치료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bone scan이나 주기적인 3차원 컴퓨터 단층촬영이나 정모 두부방사선사진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보고에서는 과두과증식을 동반한 안면비대칭 환자를 과두절제술를 이용하여 개선한 증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Investigating the effect of age on skeletal stability afte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for mandibular setback

  • Lee, Chung-O;Hwang, Hee-Don;Choi, Jin-Wook;Kim, Jin-Wook;Lee, Sang-Han;Kwon, Tae-G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8권6호
    • /
    • pp.354-359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age factor would be related with stability of mandibular setback surgery for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Materials and Methods: We compared the relapse patterns of 47 patients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termed younger, adult, and older). The younger group consisted of patients between 15 and 17 years old; the adult group was made up of patients between 21 and 23 years old, and the older group was made up of patients more than 40 years old. The positional change of B point was evaluated at preoperative, postoperative, and follow-up states. Results: The horizontal relapse ratio was 21.7% in the younger group, 15.3% in the adult group, and 15.7% in the older group. Although relatively higher degrees of relapse were found in the younger group, this increas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other factors contributing to relapse. We subsequently found that the amount of relapse was related to horizontal setback. Conclusion: Although the degree of relapse in younger patients is not significant;y higher compared to other groups. The major contributing factor to relapse after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is amount of setback rather than age when the surgery was performed to patients over than 15 years of age.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 이후 흡수성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한 환자에서 술 후 안정성에 대한 연구 (STABILITY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USING BILATERAL SAGGITAL SPLIT RAMUS OSTEOTOMY AND FIXATION WITH POLY-L/DL-LACTIDE COPOLYMER SCREWS ($BIOSORB^{TM}FX$))

  • 권택균;김용덕;신상훈;김욱규;김종렬;정인교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2호
    • /
    • pp.160-163
    • /
    • 200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skeletal stabilily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mandibular prognathism by bilateral saggital split ramus osteotomy(BSSRO) and fixation with absorbable screws. From July 2001 to September 2003, 30 patient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were treated with BSSRO and mandibular setback. They underwent fixation with Biosorb$^{TM}$ FX screws. Cephalograms were obtained preoperatibely, 2 or 3 days postoperatively, and about 12 months after the operation. Changes in the position of lower incisor tip, B point, and pogonion were examined on lateral cephalograms. The mean mandibular setback just after surgery was 10.6mm. 12 months after surgery, mean relapse at pogonion represented 17.9% and 15.1% at B point. Our results suggest that fixation of the bony segments with absorbable screws after BSSO may be used effectively in properly selected cases.

악교정 수술시 교합평면의 차이에 따른 술후 경조직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operative Stability of Hard Tissue in Orthognathic Surgery Patients Depending on the Difference of Occlusal Plane)

  • 황충주;임선아;문정련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9-249
    • /
    • 1999
  • 악안면 부조화를 치료하여 적절한 기능적, 심미적 형태를 얻고자 하는 악교정 수술에 있어서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계획의 수립이 필수적이다. 특히 심한 상 하악의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시행되는 양악 수술에선 상악골과 하악골이 삼차원적인 공간에서 동시에 재배치되는데, 상악골의 재배치에 따라 하악골은 전후 좌우 위치가 결정되면서 새로운 교합평면이 만들어진다. 따라서 교합평면은 양악 수술에서 중요한 기준이 되어 상악골의 새로운 위치를 결정하게되므로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시에 최적의 기능적, 심미적 결과와 수술 후 안정성을 얻을 수 있게 계획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양악 수술을 시행받은 골격성 제 III급 부정교합 환자 48명(남자25명 여자23명, 평균 연령 21.5세)을 대상으로 하여 교합평면의 설정에 사용되어지는 몇 가지 진단 기준중,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Delaire의 구조적, 구성적 분석에 의한 각 개인의 이상적인 교합평면으로 수술되었을 때 경조직의 술후 안정성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이상적인 교합평면에 부합되게 수술이 시행된 군(A군-24명)과 이 평면에서 벗어난 군(B군-24명)으로 나누어, 수술 직전($T_1$) 과 수술 직후($T_2$-평균 4.3일), 수술 8개월 이상 경과 후($T_3$-평균 1년 3개월)에 두군의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A군과 B군 모두 수술에 의하여 ANS의 수직적 위치보다 PNS의 수직적 위치가 감소되었다. 즉 상하악 복합체가 후상방으로 회전되었다. 2. $T_3$$T_2$와 유의차를 보이는 값은 두군 모두에서 수직 계측항목에서 HRP-Me(p<0.01), 각도 계측항목에선 Articular angle(p<0.01), Gonial angle(p<0.01), Mn. plane angle(p<0.05)이 유의차를 보였다. 두 군 모두에서 HRP-Me이 감소하면서 하악평면각은 증가 하였다. 3. A군과 B군사이에서 술후 경조직의 안정성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4. 수술에 의한 B와 Pog.의 수평 이동량은 수술후 B와 Pog.의 수평 재발량과 그리고 PNS의 수직 재발량과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하악평면각의 수술에 의한 변화량과 gonial angle의 술후 변화량과도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높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