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keletal Class II patter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3초

부정교합 분류에 따른 초경시기와 골성숙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NARCHE AND SKELETAL MATURITY AMONG VARIOUS MALOCCLUSION GROUPS)

  • 김경호;백형선;손은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81-589
    • /
    • 1998
  • 부정교합 환자에서 사춘기 성장 가속화시기의 치료는 악안면 골격 부조화의 교정과 안모의 개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므로 사춘기의 성장을 예측하고 성장 잠재력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교정학에 있어서 개개인의 성장 가속화시기와 연관해서 신체의 성장 발육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교정치료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 에 본 연구에서는 부정교합 분류에 따라 초경시기에 차이가 있는지와 초경시 골성숙도를 조사하기 위해, 1급 부정교합자 64명, II급 부정교합자 51명, III급 부정교합자 38명의 초경 전후 3개월 이내의 수완부골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골성숙도를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초경시 평균 연령은 $12.50{\pm}1.01$세 였다. 2. 각 군별 초경연령은 I급 부정교합군이 $12.36{\pm}1.04$세, II급 부정교합군이 $12.81{\pm}1.03$세, III급 부정교합군이 $12.32{\pm}0.82$세로서, II급 부정교합군이 I급 부정교합군 과 III급 부정교합군에 비해 늦은 초경연령을 보였다. 3. 초경시 수완부 골성숙도는 부정교합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4. 초경시 수완부 골성숙도는 SMI 7이 $45.10\%$, SMI 8이 $27.45\%$, SMI 9가 $10.46\%$, SMI 6이 $7.84\%$, SMI 10이 $7.84\%$, SMI 5가 $1.31\%$ 였다. 5. 초경연령과 수완부 골성숙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r=0.25430).

  • PDF

Predictors of midpalatal suture expansion by miniscrew-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in young adults: A preliminary study

  • Shin, Hyerin;Hwang, Chung-Ju;Lee, Kee-Joon;Choi, Yoon Jeong;Han, Sang-Sun;Yu, Hyung Seog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360-371
    • /
    • 2019
  • Objective: We sought to determine the predictors of midpalatal suture expansion by miniscrew-assisted rapid palatal expansion (MARPE) in young adults. Methods: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selected as possible predictors: chronological age, palate length and depth, midpalatal suture maturation (MPSM) stage, midpalatal suture density (MPSD) ratio, the sella-nasion (SN)-mandibular plane (MP) angle as an indicator of the vertical skeletal pattern, and the point A-nasion-point B (ANB) angle for anteroposterior skeletal classification. For 31 patients (mean age, 22.52 years) who underwent MARPE treatment, palate length and depth, MPSM stage and MPSD ratio from the initial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images, and the SN-MP angle and ANB angle from lateral cephalograms were assessed. The midpalatal suture opening ratio was calculated from the midpalatal suture opening width measured in periapical radiographs and the MARPE screw expansion. Statistical analyses of correlations were performed for the entire patient group of 31 subjects and subgroups categorized by sex, vertical skeletal pattern, and anteroposterior skeletal classification. Results: In the entire patient group, the midpalatal suture opening rati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age, palate length, and MPSM stage (r = -0.506, -0.494, and -0.746, respectively, all p < 0.01). In subgroup analyses,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with the palate depth in the skeletal Class II subgroup (r = -0.900, p < 0.05).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ge, palate length, and MPSM stage can be predictors of midpalatal suture expansion by MARPE in young adults.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 bionator의 치료효과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연구 (AN EVALUATION OF TREATMENT EFFECTS OF BIONATOR IN CLASS II DIVISION 1 MALOCCLUSION BY FINITE ELEMENT METHOD)

  • 안석준;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19-232
    • /
    • 1996
  • 본 연구의 목적은 II급 1류 부정교합에서 bionator를 사용한 환자의 치료 전후 두부방사선계측사진에 유한요소법을 적용하여 나타난 변화를 각 요소별로 나타내며, 이러한 변화와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앵글 II급 1류 부정 교합을 가진 73명을 치료결과가 양호한 군(1군)과 치료결과가 불량한 군(2군)으로 나눈 후 각각의 치료효과에 대한 유한요소분석을 실시한 후 성별간, 치료결과군간 및 치료시작시기와의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SAS ANOVA, p<0.05), 치료기간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치료결과가 다르게 나오는 이유를 보고자 두개저의 길이(Ba-N)를 기준으로 1군에서 2군으로 유한요소분석을 실시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치료효과와 성별간, 치료결과군간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2. 치료시작 연령과 치료효과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치료효과와 치료기간 사이에서는 상악체, 상악절치, 하악절치, 전안면, 전상안면, 전하안면, 하악지 등을 대표하는 유한요소에서 유의한 차이(p<0.05)가 있었으나, 상관관계는 높지 않았다. 4. 유한요소 분석 결과 골격보다는 치아를 대표하는 요소의 변화가 더 컸다. 특히 상악절치의 위치, 하악절치의 위치, overbite 등을 나타내는 요소의 변화를 뚜렷하게 관찰할 수 있었다. 5. 치료결과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를 두개저 (Ba-N)의 길이를 중심으로 유한요소로 분석 한 결과 두군사이에 골격 및 치아의 위치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치료결과가 나쁜 군에서 상악의 후하방 회전, 하악의 후방위치, 상악전치의 상대적인 설측경사, 하악절치의 상대적인 순측경사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II급 부정 교합자의 Activator 치료 후 골격 및 안모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keletal and Profile Change after Using the Activator in Class II Malocclusion)

  • 문은영;이진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2호
    • /
    • pp.121-132
    • /
    • 2008
  • 성장기 골격성 II급 부정 교합의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 시, 환자의 골격 형태와 예후 및 치료효과 등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장기 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 과정 중 Activator를 이용한 실험군 89명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 21명을 선정하여 교정 치료 전(T1), Activator 치료 후(T2), 교정 치료 종료(T3) 시의 골격적 차이를 치료 결과(effective body length 변화)에 따라 2군(1, 2군)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고 그 결과를 진단, 치료 계획 수립 등 임상 과정에 연계시키기 위해 시행되었다. 실험군의 경우에는 Activator의 치료효과 중 effective body length(Ar-Me)의 변화량에 따라 분류하고 대조군은 치료전 effective body length에 따라 분류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에서는 하악체 길이가 짧고, 상 하악골 간의 격차가 크며 전안면 고경의 길이가 짧은 환자에서 Activator에 의한 치료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치료 전(T1) 시기의 차이는 실험군에서는 고정성 교정 장치 치료 후(T3)시기로 가며 성장에 의해 사라졌다. 그러나 대조군에서는 치료 전(T1) 시기의 짧은 하악체 길이와 전안면 고경이 고정성 교정 장치 치료 후(T3) 까지 유지 되었다. 전체적인 Activator치료와 유지 기간이 포함된 치료 전(T1), 고정성 교정 장치 치료 후(T3) 간 변화량에 있어서는 Activator를 사용한 군에 있어서 보다 양호한 하악 성장 양상이 나타났다. 즉 Activator에 의한 치료효과는 골격형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이 결과는 치료 후까지 유지 되며 보다 안정적인 치료결과를 가져 오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성장기 II급 부정교합자에서 Activator에 의한 치료효과와 그 효과의 안정적인 유지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바탕으로 교정치료 시 Activator의 효과를 예측하여 바람직한 안모성장을 유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 인구집단에서 부정교합 환아의 구개의 크기 및 용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ous Sizes and Volumes of the Palate among the Korean Population in Mixed Dentition)

  • 최지명;신지선;한미란;이준행;김종수;김종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29-339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혼합치열기의 골격성 I, II, Ⅲ급 부정교합의 구개용적, 폭경, 장경, 고경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교정을 목적으로 인상채득한 진단모형 1400개 중 30개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모형은 Hellman's dental age ⅢA의 골격성 I, II, Ⅲ급 부정교합으로 구성되었다. 3차원 스캐너로 모형을 스캔한 후 여러 구개 수치들을 측정하였다. SPSS에서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Mann-Whitney test로 사후검정하였다. 혼합치열기의 II급 부정교합에서 I급, Ⅲ급 부정교합에 비해 구개폭경이 유의하게 작았고, 구개장경이 유의하게 길었다. 혼합치열기의 Ⅲ급 부정교합에서 구개고경이 유의하게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는 II급, I급 순이었다. 구개용적은 Ⅲ급, II급, I급 순으로 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각 교합 양식에 따른 구개 형태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 번 연구를 바탕으로 구개의 형태와 골격 패턴과의 관계에 대해 이해하였고, 이는 교정 치료 계획, 부정교합 조기 진단 및 구개 형태의 통합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악 제 2 대구치 발거에 의한 교정치료의 효과 (A STUDY ON TREATMENT EFFECTS OF MAXILLARY SECOND MOLAR EXTRACTION CASES)

  • 정규림;박영국;이영준;이성희;김성훈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6권2호
    • /
    • pp.93-104
    • /
    • 2000
  • Orthodontic treatment in conjunction with second-molar extraction has been a controversial issue among orthodontists over many decad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atment effects of upper second molar extraction cases. The sample included 19 upper second molar extraction orthodontic cases(ten Angle's Class I's and nine Class II's, average age=13Y 6M) cared at Kyung-Hee University Department of Orthodontics.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taken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reatment. Seventy-nine points were digitized on each cephalogram and 38 cephalometric parameters were computed comprising 22 angular measurements, 13 linear measurements, and 3 facial proportions. The data obtained from each malocclusion group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The statistical results disclos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skeletal pattern after treatment except for that accountable by growth while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dentoalveolar and soft tissue pattern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jork sum, posterior facial height /anterior facial height and lower anterior facial height /anterior facial height. No significant changes in anteroposterior position of maxilla and palatal plane were manifested. Although facial axis and lower facial height was slightly increased and the mandible was rotated backward and downward, there was no remarkable change in the mandibular plan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distal movement of upper first molar, molar key correction and overjet reduction while there was no change in the occlusal plane. The upper lip was slightly retracted simultaneously with slight increase in nasolabial angle. These results signify that distalization of upper dentition with the second molar extraction does change occlusal relationship without gross modifications in the craniofacial skeletal configurationson. Henceforth the second molar extracted would be recommended to treat severe anterior crowding and protrusion with minor skeletal discrepancy.

  • PDF

Position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 in different skeletal facial types: First radiographic evaluation in a group of Iranian patients

  • Shokri, Abbas;Mahmoudzadeh, Majid;Baharvand, Maryam;Mortazavi, Hamed;Faradmal, Javad;Khajeh, Samira;Yousefi, Faezeh;Noruzi-Gangachin, Maruf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4권1호
    • /
    • pp.61-65
    • /
    • 2014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ition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in different skeletal facial types among a group of Iranian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00 mandibular third molars in 200 subjects with different types of facial growth were radiographically investigated for their positions according to their types of facial growth on the basis of the ${\beta}$ angle.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lass I, II, and III) according to ANB angle, representing the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the maxilla to the mandible. Meanwhile, the subjects were also divided into three groups (long, normal, and short face) according to the angle between the stella-nasion and mandibular plane (SNGoGn angle). ANOVA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e mean ${\beta}$ angl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lass I, II, and III malocclusions (df=2, F=0.669, p=0.513). The same results were also found in short, normal, and long faces (df=1.842, F=2, p=0.160). The mesioangular position was the most frequent one in almost all of the facial growth patterns. Distoangular and horizontal positions of impaction were not found in the subjects with class III and normal faces. In the long facial growth pattern, the frequency of vertical and distoangular positions were not different. Conclusion: In almost all of the skeletal facial types, the mesioangular impac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was the most prevalent position, followed by the horizontal position. In addition, ${\beta}$ angl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erent types of facial growth.

전두동의 크기와 하악골 성장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DIBULAR GROWTH PREDICTION AND SIZE OF THE FRONTAL SINUS)

  • 경승현;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73-479
    • /
    • 1997
  • 성장기 환자의 치료 계획 수립시 치아 이동만으로 치료를 할 것인지, 악 정형 치료를 동반할 것인지, 아니면 성장후 수술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악골의 성장을 예측하는 과정을 치료계획 수립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전두동은 조기에 성장이 완료되고 하악골은 20세까지 성장을 지속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상에 나타나는 전두동의 크기와 하악골 크기간에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228명을 골격선 제I급, 제II급, 제III급 부정교합의 3군으로 분류하고 하악골의 장경과 악골의 전후방 관계를 나타내는 3가지 지수(ANB, APDI, Wits)를 측정하여, 서로간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전두동의 크기와 ANB(-0.3633), APDI(0.296), Wits(-0.2380), 하악골 장경(0.2704)은 높은 상관성을 (p<0.001) 보였다. 2.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군에서,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상에 나타나는 전두동의 크기가 골격성 제 I 급 부정교합군이나 II 급 부정교합군보다 크게 나타났다.

  • PDF

Pattern of lip re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lip incompetence in patients with Class II malocclusion

  • Mei Ling Fang;Sung-Hwan Choi;Yoon Jeong Choi;Kee-Joon Lee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76-285
    • /
    • 2023
  • Objective: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compare changes in hard tissue and soft tissue after the four first premolars were extracted with anterior teeth ret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p incompetence.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the four first premolars were extracted with anterior teeth retraction were divided into competent (n = 20) and incompetent lip (n = 20) groups. Cephalometric measurements for hard tissue and soft tissue changes were performed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Results: In the competent group, the upper and lower lips retreated by 2.88 mm and 4.28 mm, respectively, and in the incompetent group by 4.13 mm and 5.57 mm, respective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 (p < 0.05).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traction of the upper lip and upper incisors was observed in both groups (p < 0.05), whereas a correlation between retraction of the lower lip and lower incisors was only found in the incompetent group. A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attern of lip retraction following the retraction of the anterior teeth was more predictable in the incompetent group than in the competent group.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itial evaluation of lip incompetence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 is essential for the accurate prediction of the soft tissue changes following retraction of the anterior teeth in premolar extraction treatment. Therefore, sufficient explanation should be provided during patient consultations.

악교정 수술을 요하는 골격성 3급 부정교합 환자의 상악 기저골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XILLARY BASAL BONE MORPHOLOG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REQUIRING ORTHOGNATHIC SURGERY)

  • 안홍식;차경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77-585
    • /
    • 1995
  • 본 연구는 골격성 3급 부정교합 환자의 악교정 수술시 나타날 수 있는 중안모의 부조화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하부 경조직 특히 상악 기저골 형태에 관해 연구해 보고자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술전 교정치료 및 술후 교정치료 중인 성인 환자 남성 15명, 여성 14명, 총 29명과 대조군으로 동 교정과에서 소장하고 있는 성인 정상 교합자의 자료 중 남성 13명, 여성 11명, 총 24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과 상악 석고모형을 이용하여 두 군간의 상악 기저골에 대한 형태적 차이를 연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를 얻었다. 1.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의 상악 기저골 형태에 대한 성별간의 비교 결과, 여성 보다 남성에서 제1소구치부 폭경, 제1대구치부 폭경과 oblique canine height, oblique molar height 그리고 상악 기저골 둘레 길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2. 정상교합군의 상악 기저골 형태에 대한 성별간의 비교 결과, 여성 보다 남성에서 견치부 폭경, 제1, 제2소구치부폭경, 제1대구치부 폭경 그리고 oblique canine height, oblique molar height가 더 크게 나타났다. 3.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과 정상교합군 중 남성간의 상악 기저골 형태 비교에서 정상교합군의 견치부 폭경과 견치부 장경, 제1대구치부 장경, oblique canine height, oblique molar height가 3급 부정교합군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4.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과 정상교합군 중 여성간의 상악 기저골 형태 비교에서 정상교합군의 견치부 장경, 제1대구치부 장경, oblique canine height 그리고 oblique molar height 와 상악 기저골 둘레길이가 3급 부정교합군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