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MAXILLARY BASAL BONE MORPHOLOG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REQUIRING ORTHOGNATHIC SURGERY

악교정 수술을 요하는 골격성 3급 부정교합 환자의 상악 기저골 형태에 관한 연구

  • Ahn, Hong-Si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Cha, Kyung-Su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안홍식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차경석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Published : 1995.10.01

Abstract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axillary basal bone pattern exist between skeletal class II malocclusion and normal occlusion. Materials for the skeletal Class III sample consisted of lateral cephalometric roentgenograms and maxillary cast models of 29 adult individuals, 15 males and 14 females. The average age was 19.75 years with a range from 16.4 to 29.1 years. A normal control sample consisted of lateral cephalometric roentgenograms and maxillary cast models of 24 adult individuals, 13 males and 11 females. The average age was 24.25 years with a range from 20.8 to 29.4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nd concluded as like follows. 1. In comparing sexual difference of maxillary basal bone morphology i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the following Parameters of ma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lly larger than those of females : inter first premolar width, inter molar width, oblique canine height, oblique molar height and maxillary basal bone perimeter. 2. In comparing sexual difference of maxillary basal bone morphology in normal occlusion, the following parameters of males were found to be significally larger than those of females : inter canine width, inter first and second premolar width, inter molar width, oblique canine height and oblique molar height. 3. In comparing maxillary basal bone morphologic difference betwee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md normal occlusion in males,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lly larger in normal occlusion : inter canine width, inter canine height, inter molar height, oblique canine height and oblique molar height. 4. In comparing maxillary basal bone morphologic difference between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and normal occlusion in females,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found to be significally larger in normal occlusion : inter canine height, inter molar height, oblique canine height, oblique molar height and maxillary basal bone perimeter.

본 연구는 골격성 3급 부정교합 환자의 악교정 수술시 나타날 수 있는 중안모의 부조화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하부 경조직 특히 상악 기저골 형태에 관해 연구해 보고자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술전 교정치료 및 술후 교정치료 중인 성인 환자 남성 15명, 여성 14명, 총 29명과 대조군으로 동 교정과에서 소장하고 있는 성인 정상 교합자의 자료 중 남성 13명, 여성 11명, 총 24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방사선사진과 상악 석고모형을 이용하여 두 군간의 상악 기저골에 대한 형태적 차이를 연구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를 얻었다. 1.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의 상악 기저골 형태에 대한 성별간의 비교 결과, 여성 보다 남성에서 제1소구치부 폭경, 제1대구치부 폭경과 oblique canine height, oblique molar height 그리고 상악 기저골 둘레 길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2. 정상교합군의 상악 기저골 형태에 대한 성별간의 비교 결과, 여성 보다 남성에서 견치부 폭경, 제1, 제2소구치부폭경, 제1대구치부 폭경 그리고 oblique canine height, oblique molar height가 더 크게 나타났다. 3.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과 정상교합군 중 남성간의 상악 기저골 형태 비교에서 정상교합군의 견치부 폭경과 견치부 장경, 제1대구치부 장경, oblique canine height, oblique molar height가 3급 부정교합군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4. 골격성 3급 부정교합군과 정상교합군 중 여성간의 상악 기저골 형태 비교에서 정상교합군의 견치부 장경, 제1대구치부 장경, oblique canine height 그리고 oblique molar height 와 상악 기저골 둘레길이가 3급 부정교합군 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