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x-Port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4초

대역폭이 향상된 직접변환 Six-port 위상 상관기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Improved Direct Conversion Six-port Phase Correlator)

  • 유재두;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91-94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90^{\circ}$ hybrid branch-line coupler와 three-arm branch $90^{\circ}$ hybrid coupler를 이용하여 설계한 six-port 위상 상관기를 ADS2003A을 사용하여 모의 실험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Three-arm branch $90^{\circ}$ hybrid coupler를 이용한 six-port 위상 상관기가 기존의 $90^{\circ}$ hybrid coupler를 이용한 six-port 위상 상관기보다 약 5배정도의 광대역 특성을 보였다. 두 개의 six-port 위상 상관기의 성능을 비교 검증하기 위하여 six-port 위상 상관기를 제작 평가하였다 측정된 두 개의 six-port 위상 상관기의 특성은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거의 일치하였다.

  • PDF

대역폭이 향상된 Six-port 위상 상관기 설계 및 성능 분석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Wideband Six-port Phase correlator)

  • 김영완;유재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414-419
    • /
    • 2008
  • Six-port 위상 상관기는 한 개의 power divider 와 세 개의 hybrid coupler로 구성되어 진다.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특성을 갖는 three-arm branch $90^{\circ}$ hybrid coupler를 사용한 six-port 위상 상관기를 ADS2003A을 사용하여 중심 주파수 11.85 GHz에서 설계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분석하였다. 모의 실험결과 three-arm branch $90^{\circ}$ hybrid coupler를 이용한 six-port 위상 상관기의 대역폭은 약 1.5GHz$(10.8{\sim}12.3)$로 기존의 $90^{\circ}$ hybrid branch-line coupler를 이용한 six-port 위상 상관기보다 약 5배 정도의 광대역 특성을 보였다. Six-port 위상 상관기의 port간 위상 오차는 $5^{\circ}$ 이하로 양호한 특성을 보였으며, 모의 실험한 결과를 바탕으로 six-port 위상 상관기의 실질적인 성능을 비교 검증하기 위하여 six-port 위상 상관기를 제작하고 성능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six-port 위상 상관기의 특성은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거의 일치하였다.

Six-Port 직접 변환을 이용한 QPSK 수신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QPSK Receiver Using Six-Port Direct Conversion)

  • 양우진;김영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5-2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six-port 위상 상관기와 신호 검파부 그리고 I 및 Q 채널 신호를 복조하는 간단한 구조를 갖는 six-port 직접 변환 QPSK 수신기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Six-port 위상 상관기의 출력 단자간 출력 위상 신호를 해석하고, 출력 단자 신호 간 $90^{\circ}C$ 위상 관계로부터 QPSK신호를 복조하는 간단한 회로의 직접 변환 수신기 구조를 갖는다. Six-port 위상 상관기는 $90^{\circ}C$ 하이브리드 branch line 및 전력 분배기를 가지며, $11.7{\sim}12.0\;GHz$ 주파수 대역에서 설계된 six-port 위상 상관기의 출력 신호는 $^{\circ}$ 이내의 양호한 위상 오차 특성을 갖는다. 또한 직접 변환 수신기 구성 소자간 양호한 정합도 및 진폭 특성에 의해 약 $5^{\circ}$ 이내의 위상 오차를 갖는 I, Q 데이터를 복원하였다.

다중결합 Power divider 와 Coupler를 이용한 Six-port 위상 상관기 제작 (Fabrication of Six-port Phase Correlator using Multi-section Power Divider and Coupler)

  • 유재두;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3-28
    • /
    • 2009
  • 기존의 six-port 위상 상관기는 한 개의 Wilkinson power divider와 세 개의 $90^{\circ}$ Hybrid coupler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Wilkinson power divider의 대역폭은 최대 18%이고 $90^{\circ}$ hybrid coupler의 대역폭은 최대 10%이기 때문에 기존 six-port 제작시 10% 미만의 대역 특성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폭이 33 %인 2 단 Wilkinson power divider와 15 % 대역폭 향상을 갖는 정합된 $90^{\circ}$ hybrid coupler를 이용하여 six-port 위상 상관기를 중심 주파수 2.5 GHz에서 설계 및 제작하였다. ADS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six-port 위상 상관기의 RF port와 LO port에서의 대역폭이 약 14% 증가하였으며, 실제 제작한 six-port 위상 상관기의 대역폭은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슷하게 약 12% 이었다. 또한 대역폭내의 최대 위상 오차와 삽입 손실은 각각 $6^{\circ}$와 2.5 dB를 얻을 수 있었다.

Six-port 직접 변환 수신을 위한 광대역 Power detector 설계 제작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roadband Power Detector for Six-port Direct Conversion Receiver)

  • 이용주;김영완;박동철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59-6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직접 변환 방식인 six-port의 RF 출력 신호를 검파하고 요구 대역폭에서 입력 주파수 신호에 대한 진폭 및 위상 신호를 선형적으로 출력하는 광역 power detector를 설계 제작한다. Six-port 출력단에 접속되는 power detector는 높은 정합도를 갖고 반사파로 인한 Six-port 간 위상 불일치를 방지하고, 넓은 대역폭에서 낮은 VSWR을 유지하여야 하는 광역 특성을 갖는 power detector 설계가 필요하다. 광역 정합을 위하여 사용 주파수 대역에 따라 강제 정합과 다단 LC 정합 회로, 그리고 isolator를 사용한 낮은 VSWR 특성을 갖는 설계 방법을 비교 분석한다. 설계 제작된 power detector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동적 동작 영역(dynamic range) 성능을 측정하여 Six-port의 수신 전송 신호 검파기로 활용될 수 있는 타당성을 평가한다.

  • PDF

6-단자를 이용한 직접 변환 수신 전 처리부 설계 (RF Front-end Design of Direct Conversion Receiver using Six-Port)

  • 장명신;김영완;고남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534-1540
    • /
    • 2005
  • 직접 변환 방식은 혼합기를 사용하는 구조와 6-단자 회로를 사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6-단자 회로를 사용하는 방식은 혼합기를 이용하는 방식보다 회로 구조가 간단하고 집적화도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다이오드 작동을 위한 전압이 혼합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압보다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LO에서의 소비전력이 낮고 광대역으로 구현하기 유리한 점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branch-line 결합기로 구성되는 6-단자 회로와 ring hybrid 결합기로 구성되는 6-단자 회로를 설계하고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6-단자를 이용한 직접 변환 수신 전 처리부 설계 (RF Front-end Design of Direct Conversion Receiver using Six-Port)

  • 장명신;양우진;오대호;김영완;고남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481-484
    • /
    • 2005
  • 직접 변환 방식은 혼합기를 사용하는 구조와 6-단자 회로를 사용하는 구조를 갖는다. 6-단자 회로를 사용하는 방식은 혼합기를 이용하는 방식보다 회로 구조가 간단하고 집적화도 쉬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다이오드 작동을 위한 전압이 혼합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압보다 낮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LO에서의 소비전력이 낮고 광대역으로 구현하기 유리한 점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branch-line 결합기로 구성되는 6-단자 회로와 ring hybrid 결합기로 구성되는 6-단자 회로를 설계하고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 PDF

광대역성 2단 Power divider와 매칭 Hybrid coupler를 이용한 Six-port 위상 상관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Six-port Phase Correlator using Wideband Two Section power divider and Matching Hybrid Coupler)

  • 유재두;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8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A
    • /
    • pp.129-132
    • /
    • 2008
  • Six-port 위상 상관기는 한 개의 divider와 세 개의 coupler로 구성되어 진다. 일반적인 wilkinson power divider와 $90^{\circ}$ hybrid coupler를 결합하여 제작시 10% 미만의 대역특성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대역폭이 33%인 2 section power divider와 15%인 external matching $90^{\circ}$ hybrid coupler 세 개를 이용하여 six-port 위상 상관기를 시뮬레이션 후 제작하였다. ADS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중심 주파수 2.5GHz에서 RF port, LO port 모두 15%의 대역폭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제작한 six-port 위상 상관기는 손실이 증가 하였으나 비슷한 대역폭(600MHz)을 얻을 수 있었다. 또 이 구간에서의 위상 오차는 약 $5^{\circ}$로 양호한 특성을 얻었다.

  • PDF

전력제어 직접변환수신 6단자 소자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ower-controlled front-end module for direct conversion receiver)

  • 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2391-239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국부발전 신호와 수신 RF 신호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전력제어 6단자 소자를 구성하고 설계 제작하였다. 가변적인 6단자 수신 신호 전력을 제어하여 일정한 전력 세기를 갖는 6단자 소자 출력 신호로 유지하여 전력 검파기의 포화 및 성능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직접변환 6단자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직접변환 수신방식의 성능을 개선하고 유지할 수 있는 전력제어 6단자 소자를 해석하고, 전력제어 소자와 6단자 소자를 구현하였다. 제작된 전력제어 6단자소자는 1.69 GHz주파수 대역에서 36 dB의 전력 제어와 약 1.6 dB 이내의 이득차, 그리고 약 $4^{\circ}$ 이내의 위상차를 갖는 양호한 수신 전처리기 성능을 나타내었다.

메타물질 구조 다중대역 6단자 위상상관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multi-band six-port phase correlator using metamaterial)

  • 김영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2호
    • /
    • pp.2615-262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메타물질 구조 다중대역 6단자 위상상관기를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이중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를 수신 처리할 수 있는 집중소자형 메타물질 구조를 해석하고, 해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다중대역 직접변환 수신 전처리기에 적합한 소형화 메타물질 구조 6단자 위상상관기를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다중대역 6단자 위상상관기를 구성하는 저항성 전력 분배기와 메타물질 $90^{\circ}$ 하이브리드 결합기의 산란 계수를 기반으로 동일한 특성을 갖는 6단자 위상상관기 구성 요소를 제작하고 측정하였다. 측정된 메타물질 구조 6단자 위상상관기는 모의실험 결과와 일치하였으며, 이중 주파수 대역에서 -20 dB 이하의 정합과 1 dB 이내의 전달 이득차, 그리고 ${\pm}4.1^{\circ}$ 이하의 전달 위상차 특성으로 양호한 다중대역 6단자 위상상관기 성능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