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x unrecorded species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34초

금강 상류와 태안, 순천만 해변들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Isolation of Wild Yeasts from Riversides in Geumgang Upstream, Taean and Suncheonman Seashores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Unrecorded Wild Yeasts)

  • 박선정;장지은;이향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67-79
    • /
    • 2021
  • 금강 상류와 태안, 순천만 등 해안주변환경의 야생효모들의 효모 종 분포특성을 조사하고 국내 미발표된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들을 알아보고자 금강 상류인 충남 금산의 천내강과 서해안에 있는 청포대 해수욕장 및 순천만 습지대 주변의 물과 토양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들 중 국내 미기록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금산의 천내강 주변 물과 토양 40점에서 49종의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태안의 청포대 해수욕장과 순천만 습지대 주변 물과 식물체 부식물 및 토양 80점에서 각각 56종, 36종의 야생효모 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지역에서분리, 동정한야생효모들중C. michaelii NNIBRFG28278, Sp. japonicus NNIBRFG28271, D. buhagiarii NNIBRFG28279, U. spermophora NNIBRFG28273, N. pomicola NNIBRFG31590, C. natalensis NNIBRFG31591, C. pseudorhagii NNIBRFG31592, C. santamariae NNIBRFG31593, Cu. terricola NNIBRFG31594, M. nashicola NNIBRFG31595등 10균주들이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로 최종 선별되었다. 이들 미기록 효모들은C. pseudorhagii NNIBRFG31592과 Cu. terricola NNIBRFG31594 만이 구형이고 나머지 균들은 난형으로 Sp. japonicus NNIBRFG28271와 C. natalensis NNIBRFG31591 두 균주만이 포자를 생성하였다. U. spermophora NNIBRFG28273균주는 vitamin-free배지에서도 생육이 아주 양호하였고 Sp. japonicus NNIBRFG28271균주는 15% NaCl을 함유한 YPD배지에서도 생육이 양호한 호염성균이었다.

한국 미기록 외래식물: 날개카나리새풀(벼과) (An Unrecorded Alien Species in Korea: Phalaris paradoxa L. (Poaceae))

  • 류태복;이승은;김덕기;최동희;김남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2-55
    • /
    • 2018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에서 국내 벼과 미기록 외래식물인 날개카나리새풀(Phalaris paradoxa L.)을 발견하였다. 이 종은 유럽 지중해 원산으로, 전 세계에 분포하고 있다. 한국에 분포하는 동속 식물인 갈풀, 카나리새풀, 애기카나리새풀, 흰줄갈풀에 비해 6개의 불임성 소수가 1개의 임성 소화를 감싸고, 포영상부에 치아상의 날개가 발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국명은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날개카나리새풀로 신칭하였고, 이에 대한 기재, 사진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Brief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stichotrichid ciliates (Ciliophora: Stichotrichia) from Korea

  • Kim, Kang-San;Min, Gi-Sik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7권4호
    • /
    • pp.323-332
    • /
    • 2018
  • Ten stichotrichid ciliates were identified from six environmental samples, consisting of one freshwater, two seawater, and three soil samples. Morphological assessments were performed based on observations of both living and stained specimens. These species were assigned to two orders, three families, and nine genera, and we provide photographs and brief descriptions and remarks for each species: Parabirojimia similis Hu et al., 2002, Arcuseries warreni (Song & Wilbert, 1997) Huang et al., 2014, Gonostomum lajacola Foissner, 2016, Paragonostomoides xianicum Wang et al., 2017, Australocirrus oscitans Blatterer & Foissner, 1988, Monomicrocaryon crassicirratum Foissner, 2016, Monomicrocaryon euglenivorum fimbricirratum Foissner, 2016, Notohymena rubescens Blatterer & Foissner, 1988, Sterkiella multicirrata Li et al., 2018, Stylonychia ammermanni ammermanni Gupta et al., 2001.

Taxonomic Re-evaluation of Megacollybia Species in Korea

  • Kim, Chang Sun;Jo, Jong Won;Kwag, Young-Nam;Han, Jae-Gu;Shrestha, Bhushan;Sung, Gi-Ho;Han, Sang-Kuk
    • Mycobiology
    • /
    • 제42권1호
    • /
    • pp.22-26
    • /
    • 2014
  • The diversity of the genus Megacollybia in Korea was examined based on morphological observation and analysis of molecular data. Currently, the genus is consisted of nine species with a global distribution. However, only M. platyphylla has been reported in the floral survey of Korea. During our re-evaluation of the taxonomic diversity of Megacollybia in Korea, six Megacollybia specimens collected in 2012 were identified based on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sequences and morphology. Here, we report two Megacollybia species, M. clitocyboidea and M. marginata, as newly recorded species from Korea. The microscopic features of the two species are provided in this study.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phylogenetic analysis of Korean Megacollybia species.

A report on 14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solated from the Nakdong River, South Korea

  • Cho, Ja Young;Baek, Kiwoon;Kim, Eui-Jin;Han, Ji-Hye;Hwang, Seoni;Choi, Ahyou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2호
    • /
    • pp.77-84
    • /
    • 2020
  • As a part of the research project "Survey of freshwater organisms and specimen collection," fresh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Nakdong River. Among the bacterial isolates, we selected strains that showed higher than 98.7%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with confirmed bacterial species previously unreported in South Korea. The 14 new records to South Korea were phylogenetically diverse and belonged to four phyla, six classes, 11 orders, and 14 genera. At the genus level, these species were found to be affiliated with Reyranella, Ferrovibrio, Brevundimonas, and Aquidulcibacter of the class Alphaproteobacteria; Pseudomonas, Cellvibrio, and Photobacterium of the class Gammaproteobacteria; Paenibacillus and Bacillus of the phylum Firmicutes; Chryseobacterium, Flavobacterium, Pedobacter of the phylum Bacteroidetes; and Actinomadura and Leifsonia of the phylum Actinobacteria. These species were further characterized by examining their Gram reaction, colony and cell morphologies, biochemical properties, and phylogenetic positions. Th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se 14 previously unreported species are provided.

한국산 투라치과(Lampridiformes: Trachipteridae)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of the Family Trachipteridae (Lampridiformes) from Korea)

  • 지환성;윤상철;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73-282
    • /
    • 2009
  • 본 연구는 2006년 6월부터 2008년 8월까지 우리나라 동해, 남해 및 제주도 주변 해역에서 채집된 투라치, Trachipterus ishikawae (Jordan and Snyder, 1901) 7개체, 홍투라치, Zu cristatus (Bonelli, 1820) 4개체 및 1미기록종인 Desmodema polystictum (Ogilby, 1897) 2개체의 형태형질을 조사하여 한국산 투라치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를 실시하였다. 한국 미기록종인 D. polystictum는 배쪽 가장자리가 매끄럽고, 체측에 어두운 수십개의 둥근 반문이 산재하는 특징을 보여, 새로운 한국명으로 "점투라치"를 제안한다. 홍투라치는 제1~제6 등지느러미 연조 및 배지느러미 연조가 길게 신장된 특징을 나타내었다. 투라치는 배쪽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돌기가 나 있으며, 체형은 가늘고 긴 일직선의 형태를 나타내었다. 계수형질에서는 등지느러미 연조수가 투라치(178~195개), 홍투라치(137~148개), 점투라치(125~130개) 순으로 많았고, 척추골수는 투라치(80~83개), 점투라치(72~74개), 홍투라치(64~68개) 순으로 많아 잘 구분되었다.

한국산 개미의 분포에 관한 연구(7)-계룡산의 개미상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Ants(Formicidae) in Korea(7) -Ant Fauna in Mt. Kyeryongsan-)

  • 최병문;박경숙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0-85
    • /
    • 1991
  • 계룡산 개미의 분포와 개미상을 밝히기 위하여 계룡산지역을 3개의 권역으로 나누어 1986년부터 1990년까지 5년간 9차에 걸쳐 317colony를 채집하여 3아과 23속 45종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 열마디개미 (신칭) Solenopsis sp.는 한국미기록종이었다. 3개권역에 분포하는 개미의 종수는 거의 같았으며 9개 지역에 고르게 분포한 종은 스미드개미와 일본장다리개미이며, 계룡산에 분포하는 45종 중에서 10종은 1개 지역에서만 채집되었는데, 그 10종 중에서 6종은 신원사권역인 서사면에서 채집되었다. 이제까지는 섬지역과 일부의 해안에만 분포하고 있는 종으로 알고 있었던 제주왕개미 Camponotus tokoensis가 서사면 신원사에 분포하고 있는 것은 흥미있는 일이다.

  • PDF

First report of six Sordariomycetes fungi isolated from plant litter in freshwater ecosystems of Korea

  • Goh, Jaeduk;Mun, Hye Yeon;Jeon, Yu-Jeong;Chung, Namil;Park, Young-Hwan;Park, Sangkyu;Hwang, Hyejin;Cheon, Wonsu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03-116
    • /
    • 2020
  • Freshwater ecosystems provide a complex environment for microorganisms. In this study, we isolated diverse fungal strains from plant litter in freshwaters. These strains were identified using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es of rDNA and/or other gene sequences (TUB, GAPDH, and EF1). In addition, we examine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y microscopy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n several media. We identified six previously unrecorded Sordariomycetes species in Korea, i.e., Colletotrichum godetiae, Discosia rubi, Robillarda sessilis, Monochaetia dimorphospora, Idriella lunata, and Phialemoniopsis endophytica. Of these, D. rubi and M. dimorphospora exhibited high extracellular amylase, lipase, and protease activities, suggesting that these fungal isolates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as decomposers in freshwater ecosystems. Plant litter could thus be a good source for isolating and investigating previously undocumented fungal species in freshwater environments.

원목 및 톱밥배지 버섯 재배사 내 실내 공기서 분리한 미기록 진균 보고 (Unrecorded Fungal Species Isolated from Indoor Air in the Log Bed- and Sawdust Media-based Mushroom Cultivation Houses)

  • 안금란;김지은;김준영;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95-503
    • /
    • 2018
  • 2016년 4월부터 6월까지 표고 원목재배 임가 4곳과 표고 톱밥재배 임가 1곳의 재배사 내 실내 공기에서 진균을 포집 및 분리 동정하였다. 총 6개의 국내 미기록 진균(Cenangium acuum, Periconia macrospinosa, Neopestalotiopsissurinamensis, Metarhiziummarquandii, Trichoderma petersenii, Trichoderma paratroviride)을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류에 대하여 형태학적 특성 및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region, large subunitregion, ${\beta}-tubulin$ 또는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유전자 염기서열에 기반하여 계통학적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한국산 가느잎말이나방족(나비목, 잎말이나방과)의 분류 (Korean Species of the Tribe Cochylini(Lepidoptera, Tortricidae))

  • 변봉규;박규택;이범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1호
    • /
    • pp.1-15
    • /
    • 1996
  • 한국산 가는잎말이나방족의 분류학적 연구를 위해 전국적으로 채집을 실시하였으며 현재까지 채집되어 곤충계통분류연구센터와 농업과학기술원 등에 소장되어 있는 전표본을 검경하였다. 그 결과 8속 26종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7종은 한국미기록종들이었다. 또한 가는 잎말이나방족내에서 가장 큰 Phalonidia속은 최근 9미기록종을 포함하여 15종으로 정리, 발 표된바 있어 본고에서는 제외하였다. 금번에 Phalonidia속을 제외하고 종합적으로 정리된 26 종 중 우리나라 미기록종인 7종의 암수생식기를 도해하고 각 종의 특징을 간략히 기술하였 으며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1. Aethes citreoflavus Kuznetsov 회백색가는잎말이나방(신 칭) 2. Cochylidia heydeniana(Herrich-Sch$\ddot{a}$ ffer) 망초가는잎말이나방(신칭) 3. Cochylidia moguntiana(R$\ddot{o}$sler) 쑥가는잎말이나방(신칭) 4. Eupoecilia angustana(H$\ddot{u}$bner) 미역취가는잎 말이나방(신칭) 5. Eupoecilia kobeana Razowski 인동가는잎말이나방(신칭) 6. Pseudargyrotoza calvicaput(Walsingham) 쥐똥나무가는잎말이나방(신칭) 7. Stenodes cuspidatus Ge 꼬마백색가는잎말이나방(신칭)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