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raegi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조리 과정 중 시래기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Siraegi (Dried Radish Greens) according to Cooking Process)

  • 박초희;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09-618
    • /
    • 2014
  • 본 실험에서는 조리과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중 시래기의 항산화 관련 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여 한식 고유의 조리법인 나물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80% ethanol에 추출한 시래기의 수율은 무친 후가 7.55%로 가장 높았으며, 데치기 전이 4.91%를 나타내었고, 데친 후가 0.33%로 가장 낮은 수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3.57~129.85 mg GAE/100 g FW 범위로 무친 후 시래기가 $129.85{\pm}0.62mg$ GAE/100 g FW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무친 후가 $35.56{\pm}1.19mg$ CHE/100 g F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4가지의 항산화 실험(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Reducing power) 결과, 무친 후 > 데치기 전 > 데친 후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균 활성 측정 결과, 데치기 전 시래기에서만 활성이 나타났는데, B. cereus와 E. cloacae 두 균에 대해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냈고, E. coli와 P. aeruginosa 두 균에 대해서는 10 mg/disc의 농도에서만 각각 9.25 mm, 9 mm의 clear zone을 생성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할수록 radical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의 활성이 증가하여 시래기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항균 활성 측면에서는 시래기를 조리하지 않고 섭취하는 것이 좋으나, 건조 나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특성상 반드시 불린 후 조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무치거나 조리하는 과정에서 갖은 양념이 첨가되어 항산화 효능이 증가하므로 시래기를 섭취할 경우, 가능하면 장시간 물에 삶는 조리법은 피하고, 무치는 조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건강에 이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베이킹파우더 첨가 시래기 간장조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Braised Shiraegi with Baknig Powder)

  • 김나정;한귀정;김하윤;한혜민;박보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76-685
    • /
    • 2015
  • This study tried to develop Siraegi by boiling it down in soy seasoning sauce with excellent sensory attributes and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in order to enhance the value of traditional agricultural products, dried radish leaves. Sugar content of the seasoning sauce were finally established at 30% (w/v) compared with the starch syrup, which was added to the sauce through sensory evaluation among four groups, 0%, 30%, 60% and 100%. The texture (breaking strength) of Siraegi which was boiled for 30 minutes in water with baking powder was reduced by showing softening effect ranging from 7.6% to 42.1% as the amount of added baking powder was increased. The color of braised Siraegi produced with prepared a seasoning sauce and different content of baking powder, the brightnes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baking powder. The reduction effects of breaking strength ranged from 25.6% to 43.9%, resul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pH of braised Siraegi with a seasoning sauc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5.71 to 6.04 as the amount of added baking powder was increased, while its acidity was decreased. Sensory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values for hardness and toughness as the values dropped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01),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group with adding 0.2% baking powder was best (p<0.001). In conclusion, baking powder could be considered as softening agent shorting the cooking time and improvement of the acceptability. Furthermore, it was expected that the newly developed soy sauce barised Siraegi using the dried radish leaves would be successfully utilized by side dishes in the food preparation industry.

조리전 전처리 방법에 따른 시래기의 무기성분의 변화 (Effect of Pre-Treatment Methods before Cooking on Mineral Retention in Siraegi (Raddish Leaves))

  • 박세원;유양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35-638
    • /
    • 1997
  • Dried raddish leaves were prepared by using three different pre-treatment methods (shady sun-drying, freezing after blanching, and shady sun-drying after blanching). Then, the retention of minerals in dried raddish leaves was determined. It was shown that the retention of most minerals (Na, K, Fe, Ca, Mg) except P was higher when shady sun-drying method was used. The retention of P was shown to be the lowest when freezing after blanching method was used.

  • PDF

식이섬유류(食餌纖維類)의 종류(種類)와 수준(水準)이 흰쥐의 분내 지방대사(脂肪代謝)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Dietary Fiber Sources and Level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 이용억;노장숙;이재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5-55
    • /
    • 1985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fiber sources and levels on serum lipids in rats fed a hypercholesterol diet containing 0.5% cholesterol.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52.7 ${\pm}$ 7.27g were devided into sevel groups by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and fed various dietary fibers which were prepared from Rice bran, Siraegi (The dried green parts of a radish) and Bracken Fern at a level of 5% and 10%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ody weight gai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oups and food intak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ats fed a diet of Siraegi 10%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2. Fecal wet weigh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3.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in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except the level in the R 10(Rice bran 10%) group. 4. Free Cholesterol levels in the serum were increas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especially the levels in the R 10 (Rice bran 10%) and S 10 (Siraegi 10%)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5. Ester Cholesterol levels in the serum were significantly lower in rats fed the experimental diets than those fed the control diet. 6. There was a tendency of higher serum HDL-Cholesterol levels in R5 (Rice bran 5%), R10 (Rice bran 10%) and B5(Bracken 5%)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all the experimental groups except in the case of the S5 (Siraegi 5%) group. 7. LDL, VLDL-Cholesterol levels in the serum s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5 (Siraegi 5%), B5 (Bracken 5%) and B10 (Bracken 10%) groups. 8. The HDL-C./Total-C. Ratio was increased in all experimental group especially the Ratios in the S5 and B5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포장방법에 따른 데침나물의 저장중 품질변화 (Effects of Packaging Method on the Quality of Blanched Namul during Storage)

  • 조인희;김혜선;김경미;김진숙;김기창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28-336
    • /
    • 2012
  • 데침 나물류의 품질유지에 효과적인 포장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포장 방법에 따른 데친 나물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고사리, 토란대, 취나물, 시래기를 데친 후 비닐포장, 밀봉포장, 진공포장 방법으로 각각 개별 포장하여 $10^{\circ}C$에서 10일 동안 저장하면서 미생물 검사, 경도, pH, 냄새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pH는 데침 나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했고 데친 취나물과 데친 시래기의 경우 포장방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경도는 저장기간이 늘어날수록 모든 시료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진공포장을 한 데친 고사리와 데친 취나물에서 경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도를 유지하였다. 데침 나물의 미생물 검사 결과 모든 시료가 저장기간 동안 호기성세균과 대장균군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포장방법별 데침나물의 균수는 진공<밀봉<비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자코를 이용한 냄새성분은 전반적으로 모든 시료구에서 포장방법에 따른 냄새패턴 변화율이 차이가 났으며 제 1주성분값은 positive에서 negative로 이동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포장방법에 있어서 진공포장방법이 냄새성분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저장기간 동안의 냄새변화율은 비닐포장의 경우 데친 고사리와 데친 취나물은 저장 7일, 데친 시래기는 저장 3일 이후부터 냄새의 변화가 급격한 반면 진공포장은 저장기간 동안 냄새변화가 거의 없었다. 결론적으로 저장기간 동안 포장 조건에 따른 데친 나물의 품질 유지에 있어서 진공포장이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자센서와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국내 국·탕류의 향미 특성 분석 (Electronic Sensors and Multivariate Approaches for Taste and Odor in Korean Soups and Stews)

  • 부창국;홍성준;조진주;신의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430-437
    • /
    • 2020
  • 본 연구는 전자코와 전자혀 시스템을 이용한 15가지 국내 식품에 대한 맛과 향에 대한 기본 접근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전자혀 시스템을 이용한 샘플의 맛 성분에 대해 상대적인 센서 강도를 제시하였다. 신맛으로 대표되는 SRS 센서에서는 소고기배추국이 가장 높은 9.0을 나타내었고, 미역국에서 가장 낮은 3.7을 나타내었다. 짠맛으로 대표되는 STS 센서는 오징어국에서 가장 높은 8.2를 나타내었고, 소고기배추국이 가장 낮은 1.9를 나타내었다. 감칠맛으로 확인되는 UMS 센서의 경우 소고기배추국이 가장 높은 10.1을 보였고, 달걀국이 가장 낮은 3.3을 나타내었다. 단맛에 관여하는 SWS 센서에서는 비교적 큰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시금치된장국이 가장 높은 7.3을 나타내었고, 달걀국이 가장 낮은 4.6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쓴맛에 기여하는 BRS 센서에서는 시래기 된장국이 가장 높은 7.8을 나타내었으며, 햄김치찌개에서 가장 낮은 4.4를 보였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5가지 맛 성분과 15가지 샘플에 대한 패턴을 확인한 결과 PC1에서 56.21%의 variance를 확인하였고, PC2에서 25.23%의 variance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각 맛 성분의 경우 SRS 센서의 경우 PC1과 PC2의 factor loading의 경우 -0.95와 -0.20을 나타내었고, STS 센서의 경우 PC1과 PC2의 factor loading의 값이 0.96과 0.14, UMS 센서의 경우 PC1과 PC2의 factor loading의 값이 -0.94와 0.22, SWS 센서의 경우 PC1과 PC2의 factor loading의 값이 0.08과, 0.89, 그리고 BRS 센서의 경우 PC1과 PC2의 factor loading의 값이 0.32와 -0.60을 각각 나타내었다. 군집분석을 통해 확인된 샘플간의 유사도는 크게 4개의 cluster를 확인할 수 있었다. 15가지 샘플에서 확인된 향기성분은 총 25가지 성분이 확인되었고, 모든 샘플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이는 향기성분은 ethanol과 2-methylthiophene으로 확인되었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 휘발성 향기 성분과 15가지 샘플에 대한 패턴을 확인한 결과 PC1에서 28.54%의 variance를 확인하였고, PC2에서 20.80%의 variance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군집분석의 경우 크게 3개의 cluster로 분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맛과 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국내 식품에 대한 표준 자료로써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