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person Household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4초

The association of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with chronic conditions in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 EunJung Lee;Ji-Myung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2호
    • /
    • pp.316-329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quality based on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and the prevalence of chronic conditions among middle-aged individuals (40-60 yrs of age) living alone. MATERIALS/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1,517 men and 2,596 women)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6-2018 and classified into single-person households (SPH) and multi-person households (MPH). Nutrient intake, KHEI, and the prevalence of chronic conditions were compared according to household size. The odds ratios (ORs) of chronic condi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ertile levels of KHEI by gender within each household size category. RESULTS: Men in SPH had a significantly lower total KHEI score (P < 0.0001) and a lower prevalence of obesity (OR, 0.576) than those in MPH. For men, the adjusted ORs for obesity, hypertension, and hypertriglyceridemia in the first tertile (T1) of KHEI scores within SPH compared with the third tertile (T3) were 4.625, 3.790, and 4.333, respectively. Moreover, the adjusted OR for hypertriglyceridemia in the T1 group compared to the T3 group within the MPH was 1.556. For women, the adjusted ORs for obesity and hypertriglyceridemia in T1 compared to T3 within the SPH were 3.223 and 7.134, respectively, and 1.573 and 1.373 for obesity and hypertension, respectively, within MPH. CONCLUSIONS: A healthy eating index was associated with a reduced risk of chronic conditions in middle-aged adults. Greater adherence to a healthy eating index could lower the risk of chronic conditions in middle-aged adults living alone.

노인의 세대유형에 따른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ealth Literacy and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Households Type of the Elderly)

  • 최령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4
    • /
    • 2024
  • 목적: 본 연구는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9,820명을 대상으로 건강정보이해능력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SPSS 27.0을 이용하여 건강정보이해능력 및 일반적 특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교차분석,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노인 1인 가구는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쉽다고 인식하는 경우, 노인 다인 가구는 의료진의 구두 건강정보이해능력이 쉽다고 인식하는 경우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가구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건강정보이해능력 교육프로그램과 보건의료정책이 필요하다.

대학생이 인식한 청년 1인 가구 및 청년 고독사 증가 현상 (Increased Youth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olitary Deaths realized by College Students)

  • 박수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2호
    • /
    • pp.635-640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여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청년 1인 가구와 고독사에 대해 파악하였다. 이는 청년 1인 가구의 문제점과 향후 청년 고독사와 같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고 사회 안전망 구축에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전공 4학년 5명을 대상으로 FGI를 시행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청년 취업 문제를 청년 1인 가구 증가의 가장 큰 원인으로 제시했다. 비자발적 독립생활의 경우, 청년 1인 가구의 높은 빈곤과 실업률은 경제적 불안정, 주거 문제 및 감정적인 관계 형성의 원인으로 제시되었다. 대부분의 연구 참가자들은 청년기는 더 이상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시기가 아니라 처음부터 경제적 압력에 시달리는 시기라고 하였다. 청년 1인 가구의 높은 음주율과 흡연율도 문제로 인식되었고 이는 만성 질환, 우울증 및 자살과 같은 심각한 육체적, 정신적 건강 문제를 발생한다고 인식하였다. 청년 고독사에 대해서는 언론에서 일어나는 사건마다 막연한 두려움을 갖게 되며 본인들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하였다. 청년 1인가구는 앞으로 증가할 수 밖에 없으며 비자발적인 1인 가구의 경우 경제적 어려움이 가장 큰 문제이며 청년 고독사의 가장 큰 원인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제도 지원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특히 주거비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건축주 입장을 고려한 LED조명 프로그램의 한계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Limit Analysis of the LED Lighting Subsidy Program Considering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Building Clients)

  • 황성욱;박중성;채우규;이학주;송일근;김정훈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8-25
    • /
    • 2013
  • Various DSM (Demand Side Management)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carried out to use the limited energy resources of human-beings reasonably. LED lighting is one of essential DSM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es is ongoing vigorously. Recently, one-person households have been increased and the electricity consumption pattern is different with conventional households because residents live as a single. On the other hand, owners of the one-person households tend to not prefer to install high efficient appliances due to the cost increasement. Therefore, the existing DSM subsidy programs should be revaluated so that the owners decide to install high efficient appliances.

1인 가구를 위한 레시피 공유 서비스 디자인 연구 -백주부 요리 레시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sign of Recipe Sharing Servic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 김한준;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419-425
    • /
    • 2020
  • 본 연구는 요리 레시피 공유 애플리케이션 내 기능적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많은 1인 가구는 혼자 식사하는 경우가 잦고 외식에 의존하며 평소 식습관은 영양이 잘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홀로 거주 시 다인 가구 대비 우울증 등 정신 질환으로부터 노출될 위험성이 커지며 영양이 불균형하면 질병에도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정의하여 1인 가구들이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함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려하고 20-30대 1인 가구들이 많이 이용하는 백주부 요리 레시피를 중심으로 카노모델을 통해 사용자 경험과 기대를 탐색하였다. 보완된 기능적 서비스 제안으로 이용자들은 조리과정을 번거로움이 아닌 즐거움으로 느껴 외식 및 배달 음식을 줄이고 직접 조리를 통해 신체적 건강을 관리할 수 있게 되며 이웃과의 소통을 통해 정신적 건강까지도 스스로 관리할 수 있게 되는 데 의의가 있다.

외식업체 밀키트(Meal Kit)상품에 대한 1인가구의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연구 (Subjectivity Type Analysis Study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Meal Kit Products of Food Service Industry)

  • 김찬우;이강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06-41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사회구조적으로 변화하는 인구구조에 따라 외식기업이 개발 및 출시하는 밀 키트(Meal Kit) 상품이 주요 수요층인 1인 가구에 대해 주관적 의견이나 인식 구조를 분석하여 유형별로 추출이 가능한 Q방법론을 적용하여 그 함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관적 인식 유형 분석 결과 총 4가지의 유형이 도출되었으며, 유형은 다음과 같이 각각 그 특이성에 따라 명명하였다. 제 1유형(N=6) : 외형평가 구매 유형(Appearance Assessment Purchase Type), 제 2유형(N=6) : 가격비교 구매 유형(Price Comparison Purchase Type), 제 3유형(N=10) : 브랜드 신뢰 구매 유형(Brand Trust Purchase Type), 제 4유형(N=2) : 간편조리 구매 유형(Easy Cooking Purchase Type) 으로 각 각 독특한 특징의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밀키트 제품이 주요 수요층인 1인 가구에 대해 주관적 의견이나 인식 구조를 분석하여 유형별 분석을 통해 추후 외식업체의 1인가구를 위한 외식상품개발 및 출시에 대한 방향성과 그 개선책에 대해 제안하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가구구조 변화가 서비스 수요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Changes in Household Structure on Service Consumption in Korea)

  • 황수경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3권3호
    • /
    • pp.57-85
    • /
    • 2011
  • 본 연구는 저출산 고령화의 진전과 여성 경제활동참여 증대 등에 따른 가구구조 변화가 가계생산에 영향을 주어 서비스 수요를 변화시키는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기존에 가계생산에 의존하던 가사노동 및 돌봄서비스 등을 시장서비스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서비스 수요가 발생할 수 있음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우선 3부문 시간배분모형을 통해 가계생산의 시장화가 서비스산업의 확장을 가져오는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가구구조 변화가 각 소비항목별 수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QUAIDS 수요분석모형에 따른 엥겔곡선을 추정하였다. 분석자료로는 "가계동향조사"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단신가구의 증가, 유배우가구의 감소, 6세 미만 자녀 가구의 감소와 같은 가구 구성의 변화, 그리고 맞벌이가구의 증가 등은 의료비, 교육훈련비, 가사서비스 등 전형적으로 가계생산서비스를 대체하는 시장서비스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키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허혈성 심장질환과 심정지 알람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한 1인 가구원의 질적 연구: 30대 미혼 직장인을 중심으로 (Qualitative research of single-person household for a wearable healthcare system providing ischemic heart disease information and a cardiac arrest alarm: Focusing on unmarried workers in their 30s)

  • 김효진;채하은;이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235-25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허혈성 심장질환 및 심정지 알람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스템에 대한 1인 가구원의 생각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30대 미혼 직장인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를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으로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스템은 목적에 부합하는 기능이 하이테크놀로지로 구현된다 할지라도 상품기획 단계에서 심미성, 편안함, 세탁 용이성 등 의복에 요구되는 사항과 가격과 같은 민감한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야 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복합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양적연구로는 규명하기 어려운 다양한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다는 것에 연구의의가 있다. 또한 기존에 노인 새대를 대상으로 한 헬스케어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30대와 같은 젊은 세대도 헬스케어 서비스 수용자로서 연구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50-60대 저소득층 1인 가구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Factors Affecting the Self-Esteem of Single Households from Low-Income Families Aged 50-60 year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 유영설;이도희;김선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67-75
    • /
    • 2021
  • 본 연구는 50-69세의 저소득 1인 가구를 대상으로 그들의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분석대상은 보건복지부에서 제공하는 2019년 복지패널자료로부터 50-69세 저소득 1인 가구에 해당하는 233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자존감을 종속변수로 하고, 관계만족도와 생활만족도를 독립변수로 정의한 후,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관계만족도는 경로계수 0.24로 자존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관계만족도는 경로계수 0.71로 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생활만족도는 경로계수 0.46으로 자존감에 유의미하게 긍정적 직접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생활만족도가 관계만족도와 자존감에 경로계수 0.32로 매개효과를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열악한 1인 가구를 지원하는 전략을 세울 때, 정책입안자들은 관계만족도와 생활만족도를 개선시키는 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Anomaly Event Detection Algorithm of Single-person Households Fusing Vision, Activity, and LiDAR Sensors

  • Lee, Do-Hyeon;Ahn, Jun-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23-31
    • /
    • 2022
  • 최근 코로나 19가 유행하고 더불어 고령화 시대와 1인 가구 증가로 인해 가구 구성원이 집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며 머무는 시간이 매우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포함한 1인 가구의 구성원들의 이상 징후를 탐지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홈 CCTV를 통한 영상 센서 알고리즘, 스마트폰에 내장된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활동 센서 알고리즘 및 2D LiDAR 센서 기반의 LiDAR 센서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람의 움직임 및 낙상 탐지 결과를 기반으로 이상 징후를 탐지하는 알고리즘들을 제안한다. 하지만, 각 단일 센서 기반 알고리즘은 센서가 가진 한계점으로 인해 특정 상황에서 이상징후를 탐지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에 따라 단일 센서 기반 알고리즘만을 사용한 것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이상 징후를 탐지하기 위해 각 알고리즘을 결합하는 융합 방식을 제안한다. 우리는 각 센서로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알고리즘들의 성능을 평가하고, 특정 시나리오들을 통하여 알고리즘 하나만 사용하여 정확한 이상 징후를 탐지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융합 방식을 통해 서로 보완하여 정확한 이상 징후를 효율적으로 탐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