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권명순, 노기영, 장지혜. (2013), 고혈압 환자의 건강 문해력과 질환관련 지식 및 치료지시 이행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7(1), 190-202. https://doi.org/10.5932/JKPHN.2013.27.1.190
- 김수희, 정종화, 송진영. (2018),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공식적.비공식적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 노인복지연구, 73(3), 167-191. https://doi.org/10.21194/KJGSW.73.3.201809.167
- 김연주. (2018). 노인 일자리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9(3), 691- 701.
- 김영선, 박병현, 이화윤. (2017),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Health Literacy)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앤더슨 행동모형 적용. 노인복지연구, 19(4), 558-870.
- 김정은. (2011), 건강정보 이해능력수준과 영향요인에 대한 고찰: 대학병원 외래 방문객을 대상으로. 임상간호연구, 17(1), 40-47.
- 류지연. (2022), 노인단독가구의 주거 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을 매개로. 노인복지연구, 77(4). 11-10.
- 박윤형. (2016), 제9차 건강증진 국제회의와 상하이 선언. 보건행정학회지. 26(4), 43-245.
- 박현주, 황선경. (2014),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언어적, 기능적 건강정보이해능력. 글로벌 건강과 간호. 4(2), 49-58.
- 보건복지부. (2022),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서울: 한국건강증진개발원.
- 송시연, 전미애. (2023), 노년기 소득과 지출의 변화에 대한 노인1인가구 및 노인부부가구의 비교: 2010년과 2020년 차이를 중심으로. 노년교육연구, 9(2), 20-45.
- 송지현, 신수진. (2020), 인터넷을 이용하는 지역사회 노인의 e-헬스 리터러시 및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추구행동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8(1), 321-332. https://doi.org/10.14400/JDC.2020.18.1.321
- 양인숙. (2021),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건강문해력과 건강상태 간의 관계. 융합정보논문지. 11(1), 62-70.
- 이명숙. (2017), 농촌 지역 심뇌혈관질환 노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건강행위. 성인간호학회지, 29(3), 256-265.
- 조지용, 이종하. (2013), 공적연금 수급 여부에 따른 노년기 세대관계 잠재 유형 분류 및 영향 요인 분석, 17(4), 189-213.
- 최령, 황병덕. (2020), 공적연금소득을 통한 가구 형태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4(1), 123-136.
- 통계청. 2022. 장래인구추계시도편 2020-2050년 보도자료. 대전: 통계청.
- Andrus MR, Roth MT. (2002), Health literacy: A review. Pharmacotherapy, 22(3), 282-302. https://doi.org/10.1592/phco.22.5.282.33191
- Baker DW, Wolf MS, Feinglass J, Thompson JA. (2008). Health literacy, cognitive abilities, and mortality among elderly person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23(6):723-726. https://doi.org/10.1007/s11606-008-0566-4
- Elisabeth Stomer U, Klopstad Wahl A, Gunnar Goransson L, Hjorthaug Urstad H. (2020), Health Literacy in Kidney Disease: Associations with Quality of Life and Adherence, Journal of Renal Care, 46(2), 85-94. https://doi.org/10.1111/jorc.12314
- Kickbusch I, Pelikan J, Apfel F, Tsouros A. (2013), Health literacy: The solid facts. Copenhagen,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Europe.
- Martins NFF, Abreu DPG, da Silva BT, Semedo DSdRC, Pelzer MT, Ienczak FS. (2017). Functional health literacy and adherence to the medication in older adults: integrative review. Revista Brasileira de Enfermagem, 70(4), 868-874. https://doi.org/10.1590/0034-7167-2016-0625
- Nutbeam D. (1998), Health promotion glossary.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3(4), 349-364. https://doi.org/10.1093/heapro/13.4.349
- Nutbeam D. (2000). Health literacy as a public health goal: A challenge for contemporary health education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to the 21st century.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5(3), 259-267. https://doi.org/10.1093/heapro/15.3.259
- Nutbeam D. (2008). The evolving concept of health literacy. Social Science & Medicine, 67(12), 2072-2078.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8.09.050
- Nutbeam D. (2017). Discussion paper on promoting, measuring and implementing health literacy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in noncommunicable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Research Gate, 2017(February), 1-29.
- Parker RM, Baker DW, Williams MV, Nurss JR. (1995). The test of functional health literacy in adults: A new instrument for measuring patients' literacy skills. Journal of General Internal Medicine, 10(10), 537-541. https://doi.org/10.1007/BF02640361
- Sorensen K. et al., (2015). Health literacy in Europe: Comparative results of the European Health Literacy Survey(HLS-EU).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5(6), 1053-1058. https://doi.org/10.1093/eurpub/ckv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