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ngle bond

검색결과 462건 처리시간 0.035초

유치에 적용된 All-in-One 상아질 접착 시스템의 전단강도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ALL-IN-ONE DENTIN BONDING SYSTEM APPLIED TO PRIMARY TEETH)

  • 김동철;김종수;유승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60-568
    • /
    • 2007
  • 유치 60개를 준비하였으며, 사용된 접착 시스템은 AQ Bond $Plus^{TM}$, G $Bond^{TM}$, Single $Bond^{TM}$였다. 유치의 법랑질과 상아질을 노출시킨 후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접착 레진을 적용한 후, 내경 1.7 mm의 폴리에틸렌 튜브를 이용하여 Z-$250^{TM}$ 복합레진을 수복하였다. 100% 습윤 상태에서 24시간동안 보관 후 $5^{\circ}C$$55^{\circ}C$ 조건하에서 500회 열순환을 시행 후 만능시험기로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Resin tag 관찰을 위하여 상아질 접착면에 대해 수직으로 절단하고 인산과 질산으로 처리하여 치질을 용해시킨 후 주사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유치 법랑질에서 측정된 전단 결합 강도는 AQ Bond $Plus^{TM}$에서 $1.04\;{\pm}\;0.13\;MPa$, G $Bond^{TM}$에서 $1.23\;{\pm}\;0.35\;MPa$, Single $Bond^{TM}$에서 $1.28\;{\pm}\;0.50\;MPa$이었으며, 세 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 2. 유치 상아질에서의 전단 결합 강도는 AQ Bond $Plus^{TM}$$1.15\;{\pm}\;0.37\;MPa$, G $Bond^{TM}$$1.69\;{\pm}\;0.74\;MPa$ 그리고 Single $Bond^{TM}$$0.56\;{\pm}\;0.11\;MPa$로 나타났으며, AQ Bond $Plus^{TM}$와 G $Bond^{TM}$ 간에는 통계학적 유의차가 없었으나(p>0.05), AQ Bond $Plus^{TM}$와 Single $Bond^{TM}$, G $Bond^{TM}$과 Single $Bond^{TM}$ 간에는 통계학적 유의차를 보였다. 3. 주사 전자 현미경 소견에서 AQ Bond $Plus^{TM}$와 G $Bond^{TM}$는 resin tag 형성이 매우 미약하고 짧은 양상을 보인 반면, Single $Bond^{TM}$에서는 길게 형성된 resin tag가 관찰되었으며 resin tag의 표면에 불규칙하게 형성된 측부가지들이 관찰되었다.

  • PDF

레진 시멘트와 상아질접착제를 사용한 콤포지트 레진 코아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CORE USED IN COMBINATION WITH VARIOUS RESIN CEMENTS AND DENTIN BONDING AGENTS)

  • 김현오;방몽숙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0-40
    • /
    • 200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on dentin of three dentin bonding agents and two resin cements used in conjunction with self-cured composite resin core material. Material and method : Control group and six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for this study. Control group was designated as specimens bonded with Tenure$ A&B^{(R)}$. Experimental groups were as follows : PB-BL group : specimens bonded with Prime&Bond $NT^{(R)}$, $BondLink^{(R)}$ SB-BL group : specimens bonded with $^{(R)}$, BondLink$SingleBond^{(R)}$ PB group : specimens bonded with Prime&Bond $NT^{(R)}$ SB group : specimens bonded with $SingleBond^{(R)}$ PF group : specimens bonded with $Panavia-F^{(R)}$ BI group specimens bonded with Bistite $II^{(R)}$ All specimens were stored in $37^{\circ}C$ distilled water for 24 hours, followed by the shear bond strength was test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The data was analysed statistically by Mann-Whitney test. Results : 1. For Prime&Bond $NT^{(R)}$ and $SingleBonde^{(R)}$, the shear bond strength was 0.24 MPa and 7.19 MPa each by each, while Tenure $A&B^{(R)}$ group control was measured at 13.93 MPa (p<0.05). Especially for Prime&Bond $NT^{(R)}$ it did not get conjunction with dentin. 2. For Prime&Bond $NT^{(R)}$ and $SingleBond^{(R)}$ using $BondLink^{(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11.73 MPa and 14.00 MPa each by each (p<0.05). 3. For $Panavia-F^{(R)}$ and Bistite $II^{(R)}$, they show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as measured by 18.24 MPa and 16.09 MPa each (p<0.05).

클로르헥시딘을 함유한 상아질 결합제의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s of Dentin Bonding Agent containing 0.2% Chlorhexidine)

  • 김진혁;김기섭;김종수;김종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82-8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0.2% 클로르헥시딘이 함유된 $Peak^{(R)}$ Universal Bond (PUB)의 우치 상아질에서의 전단결합강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30개 우치의 상아질 시편을 10개씩 세 군으로 나누어 I군에는 $Adper^{TM}$ Single Bond Universal (SB)를 적용하였고 II군에는 $Consepsis^{(R)}$를 처리한 이후 SB를 적용하였고 III군에는 PUB를 적용하고 $Filtek^{TM}$ Z-350 XT B3 shade를 충전후 각각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산부식 후 $Consepsis^{(R)}$를 사용하는 것은 상아질의 전단결합강도에 있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SB에 $Consepsis^{(R)}$를 적용하거나 적용하지 않은 것의 전단결합강도와 PUB의 전단결합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상아질 접착에서 collagenase와 esterase가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LLAGENASE AND ESTERASE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IN DENTIN BONDING)

  • 정영정;현홍근;김영재;김정욱;이상훈;김종철;한세현;장기택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85-291
    • /
    • 2007
  • 상아질-레진 접착강도에 대한 collagenase와 esterase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소구치의 교합면 상아질에 Single Bond 2와 Clearfil SE Bond로 접착을 시행하고 미세 시편을 제작하여 PBS collagenase 용액, esterase 용액에 4주간 보관한 후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보관 용액에서 Single Bond 2의 미세인장결합강도는 Clearfil SE Bond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2. Single Bond 2의 미세인장결합강도는 collagenase군이 PBS군, esterase군보다 낮았다(p>0.05). 3. Clearfil SE Bond의 미세인장결합강도는 esterase군이 PBS군에 비해 낮았으나(p>0.05), collagenase군보다는 높았다(p>0.05). Collagenase군은 PBS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미세인장결합강도를 보였다(p<0.05).

  • PDF

1면과 2면 인장전단 실험 방법에 따른 부착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by Single and Double Face Shear Test of Bond Ability between Carbon Fiber Reinforced Plate and Concrete.)

  • 강대언;우현수;최기선;양원직;유영찬;이원호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봄학술 발표회 논문집(I)
    • /
    • pp.315-318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discrepancy in ability of bond behavior between Carbon fiber-reinforced polymer(CFRP Plate) and concrete by method of experiment. For the objective, single and double face shear test were test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analyzed bond strength of FRP to concrete, distribution of stress and strain of FRP. The bond strength and the effective bond length was evaluated by the theory of existing studies. Effective bond length of single face test was smaller than it of double face test.

  • PDF

Bonding of a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to dentin using universal adhesives

  • Ugurlu, Muhittin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5권3호
    • /
    • pp.36.1-36.10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effect of universal adhesives pretreatment on the bond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to dentin. Materials and Methods: Fifty caries-free human third molars were employed. The teeth were randomly assigned into five groups (n = 10) based on dentin surface pretreatments: Single Bond Universal (3M Oral Care), Gluma Bond Universal (Heraeus Kulzer), Prime&Bond Elect (Dentsply), Cavity Conditioner (GC) and control (no surface treatment). After Fuji II LC (GC) was bonded to the dentin surfaces, the specimens were stored for 7 days at 37℃. The specimens were segmented into microspecimens, and the microspecimens were subjugated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testing (1.0 mm/min). The modes of failure analyzed using a stereo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 tests (p = 0.05). Results: The surface pretreatments with the universal adhesives and conditioner increased the bond strength of Fuji II LC to dentin (p < 0.05). Single Bond Universal and Gluma Bond Universal provided higher bond strength to Fuji II LC than Cavity Conditioner (p < 0.05). The bond strengths obtained from Prime&Bond Elect and Cavity Conditioner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p > 0.05). Conclusions: The universal adhesives and polyacrylic acid conditioner could increase the bond strength of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RMGIC) to dentin. The use of universal adhesives before the application of RMGIC may be more beneficial in improving bond strength.

지각과민억제제 적용이 수종 접착제의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DESENSITIZER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IFFERENT ADHESIVES)

  • 황성연;이경하;유미경;이광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5호
    • /
    • pp.378-384
    • /
    • 2003
  • This study evaluated the influence of a desensitizer(MS coat)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ifferent adhesives:a three-step adhesive(All-Bond 2), a two-step adhesive(Single Bond), a one-step adhesive(One-up Bond F). Non-caries extracted human molars were used. Dentin surface was obtained by horizontal section on mid-portion of crown using a water-cooled low speed diamond saw.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6 group. AMO(MS coat + All Bond), SMO(MS coat + Single Bond)- and OMO(MS coat + One-up Bond F)-dentin surface were treated with 17% EDTA before bonded adhesive. AMX-, SMX- and OMX-dentin surface were bonded with All-Bond 2, Single Bond and One-up Bond F, respectively. with no previous treatment with MS coat and 17% EDTA. About 1cm high resin composite($Z-250^{TM}$) were incrementally build-up on the treated surface. The specimens for the microtensile test were serially sectioned perpendicular to the adhesive layer to obtain $0.7{\times}0.7mm$ sticks. 30 sticks were prepared from each group. After that. tensile bond strength for each stick was measured with Microtensile Tester at a 1mm/min crosshead speed. Fractured dentin surfaces were observed under the SEM.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sed by using a One-way ANOVA and Tukey's test(p<0.05). Value in MPa were: $AMO-44.35{\pm}13.21;{\;}SMO-39.35{\pm}13.32;{\;}OMO-31.07{\pm}10.25;{\;}AMX-49.22{\pm}16.38;{\;}SMX-56.02{\pm}13.35;{\;}OMX-72.93{\pm}16.19$. Application of MS coat reduced microtensile bond strengths of both Single Bond and One-up Bond F, whereas microtensile bond strengths of All-Bond 2 were not affected significantly.

중간레진의 친수성이 상아질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MEDIATE RESIN HYDROPHILICITY ON BOND STRENGTH OF SINGLE STEP ADHESIVE)

  • 김용성;박상혁;최기운;최경규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5호
    • /
    • pp.445-458
    • /
    • 2007
  • 단일과정 접착제를 이용함에 있어 복합레진과의 부적합성을 개선하고자 중간레진이 결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Experimental single step system (Bisco Ltd., Schaumburg, IL)을 대조군으로 하고 6종의 중간레진을 접착제의 중합여부, 복합레진의 광중합-자가중합 여부로 분류하였다. 상아질에 대한 광중합 또는 자가중합형 복합레진의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계면에 대한 투과전자현미경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간레진의 적용은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지 않았다. 2. 자가중합형 복합레진의 결합강도는 중간레진을 적용할 경우 증가하였다. 3. 중간레진의 적용 전 접착제의 중합여부는 결합강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중간레진이 친수성일 때 소수성 중간레진을 적용할 때 보다 높은 결합강도를 나타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광중합형 복합레진의 수복 시 단일과정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은 초기 결합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자가중합형 복합레진을 단일과정 접착제와 사용할 때는 접착층의 투과도를 감소시키는 소수성의 중간레진을 적용하여 부적합성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수종의 단일병 접착제의 적용 시간 연장이 건조 상아질의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CREASING APPLICATION TIME OF SINGLE BOTTLE ADHESIVES TO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DRIED DENTIN)

  • 김학근;김동준;황윤찬;오원만;황인남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6호
    • /
    • pp.435-441
    • /
    • 2005
  • 본 연구는 친수성 용매가 함유되어 있는 3종의 단일병 접착제의 적용 시간을 증가시켰을 때, 건조 상아질에 대한 재습윤의 효과가 있는지를 미세인장 결합강도의 측정을 통해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실험대상은 최근에 발거한 상하악의 대구치로, 교합면 1/3부위의 치질을 치아 장축에 수직으로 절단하여 상아질을 노출시킨 후, $32\%$인산 (Unietch, Bisco Inc., Schaumburg, IL, USA)으로 15초간 산부식 하고 수세하였다. 치아는 무작위로 S군 (Single Bond), O군 (One-Step), P군 (Prime & Bond NT)으로 분류하였고, 각 군은 다시 3군 (W: 상아질 표면의 남아있는 과잉의 물을 수분에 적신 거즈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즉시 단일병 접착제를 적용하고 광중합, D : 30초간 건조 한 후 즉시 단일병 접착제를 적용하고 광중합, 30: 30초간 건조 한 후 단일병 접착제를 30초간 적용하고 광중합)으로 소 분류하였다. 접착제 도포 후, 복합레진을 축조하고 접착계면이 $1mm^2$가 되도록 절단하여 각 군당 20개의 표본을 사용하여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5군,0군의 30초 적용군 (S-30, O-30)은 건조군 (S-D, O-D)보다 높은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보였으며, S-30군의 경우 S-D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높았다 (P<0.05). 하지만, P군의 30초 적용군 (P-30)은 건조군 (P-D)에 비해 미세인장 결합강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0.05).

치아 맹출 유무에 대한 자가부식 접착제에 의한 교정용 부착장치의 접착강도 (Effects of conventional and self-etching adhesive systems on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attachments bonded to erupted and unerupted teeth)

  • Nur, Metin;Uysal, Tancan;Yesilyurt, Cemal;Bayram, Mehmet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67-275
    • /
    • 2010
  • 이번 연구의 목적은 맹출 또는 미맹출된 치아에 교정용 버튼을 부착 후 자가부식 접착제(self-etching adhesive)의 사용 유무에 대한 전단결합강도(shear bond strength)와 탈락모드를 비교하고자 함이다. 각각 84개의 맹출 또는 미맹출된 제3대구치를 사용하였다. 각각 치아의 협측면을 다음의 부착시스템 그룹으로 할당하였다. A, 기존방식: 1, Transbond XT (3M Unitek); 2, Prime & Bond NT (Dentsply/Caulk); 3, Single Bond (3M ESPE); B, 자가부식 접착제; 4, Clearfil SE Bond (Kuraray); 5, Transbond Plus (3M Unitek); 6, Clearfil S3 (Kuraray); 7, G Bond (GC). 부착물의 전단강도와 접착제 잔류지수를 측정하였으며 결과값은 ANOVA와 independent t-test 및 chi-square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맹출 또는 미맹출된 치아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였을 때 Clearfil SE와 G Bond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Single Bond를 제외한 모든 접착시스템에서 맹출보다는 미맹출 치아면에서 높은 접착강도가 관찰되었다. 기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맹출 또는 미맹출 치아에 대한 접착강도에는 차이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임상의사는 사용 전에 self-etching system의 종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