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ver Contents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37초

유물의 비파괴 조사 연구-청원 미천리 고분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non-destructive analysis of objects excavated at the tomb of Mich’un-ri in Ch’ung-won)

  • 문환석;조남철;김성배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20호
    • /
    • pp.81-90
    • /
    • 1999
  • We performed the non-destructive analysis of objects excavated at the Tomb of Mich’un-ri in Ch’ung-won. We analysed components using of Energy Dispersive X-Ray Micro-Fluorescence Analyzer. Glass bead inlaid with silver was classified as K2O-CaO-SiO2 type of glass. Purity of silver inlaid in the surface was verified above 97%.All small ear-ring were made by rolling up gold broad to a bronze wick. The composition ratio of Au : Ag has significantly higher 87 : 11 than bigear-ring. As a result of composition analysis of a welded part with big ear-ring, it contained the more Cu, Hg contents and the less Au, Ag contents than the surface of big ear-ring.

  • PDF

Effect of Glass Additions on the Adhesion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Photoimageable Silver Paste

  • Lee, Eun-Heay;Heo, Yu-Jin;Kim, Hyo-Tae;Kim, Jong-Hee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3-70
    • /
    • 2011
  • Anorthite forming glass frits in amounts up to 25 vol% of the silver powder were added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conductor pattern formed by thick film photoimageable process and the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s (LTCC) substrate. The sheet resistance of the conductor pattern was raised from 0.13 ${\Omega}/{\square}$ to 2.25 ${\Omega}/{\square}$ as the volume percentage of glass frit increased up to 25 vol%. The adhesion strength was improved with this glass frit increase, but it decreased when the glass content exceeded 20 vol% which are possibly attributed to the liquid pool effect and the reduced fracture toughness in the interface between conductor and LTCC layer. The shrinkage of the width of the conductor pattern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glass contents.

Wetting properties between silver-copper-titanium braze alloy and hexagonal boron nitride

  • Sechi, Yoshihisa;Matsumoto, Taihei;Nakata, Kazuhiro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9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05-209
    • /
    • 2009
  • Wetting properties between silver-copper-titanium braze alloys with different titanium contents up to 2.8 mass% and hexagonal boron nitride ceramics were investigated using sessile drop method at 1123K in Argon. The final contact angle is less than $30^{\circ}$ when the Ti content was over 0.41 mass%. Meanwhile, the contact angle curves show different behavior. In case of using braze alloy containing 2.8 mass% of titanium, the initial contact angle is acute angle just after the melting of braze. In case of brazes containing titanium less than 2.26 mass%, the contact angle is larger than $90^{\circ}$ at the beginning and slowly decreases to acute angle. The reaction layer of titanium nitride is observed at the interface. In addition, the reaction of Ti in the braze and N in the bulk h-BN seemed to show diffusion limited spreading.

  • PDF

베트남 홍케 지역 사금의 산상과 생성연구 (Morphology, Mineralogy and Genetic Implication of Placer Gold from the Huongkhe Area, Vietnam)

  • 최상훈;최선규;한진균
    • 자원환경지질
    • /
    • 제29권3호
    • /
    • pp.235-246
    • /
    • 1996
  • 베트남 홍케 광화대의 동도 및 호아하이 지역으로 부터 채취된 사금은 일반적으로 세립질로서, 동도 지역 사금은 호아하이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입도와 낮은 분급도의 경향성을 보여준다. 이들 사금 입자의 산출형태는 장경과 단경의 비에 의하여 spherical, subprismoidal, prismoidal 및 irregular로 분류 할 수 있으며, spherical form이 ${\approx}75%$인 호아하이 지역에 비하여 동도 지역 사금 업자들의 형태는 다양하게 관찰된다. 이러한 산상에 의하면, 동도지역에 비하여 호아하이지역 사금의 이동거리 (또는 시간)가 걸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들 사금은 그 화학조성에 의하여 electrum (type I, fineness=568~931), amalgam (type II, fineness=671~927), native gold (type III, fineness=923~999) 등으로 분류된다. Type I은 그 산출특정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함은량 (11~39 atomic % Ag)을 갖는 type IA와, 상대적으로 높은 함은량 (40~58 atomic % Ag)을 갖는 type IB로 세분되며, 이는 기원광상산 electrum의 화학조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Type II는 주로 호아하이지역에서 산출되며, 함수은량은 동도지역의 사금이 낮은 경향을 보여준다. Type III는 주로 type I 또는 type II 사금업자의 가장자리에 산출한다. 이들 type III의 gold-rich rim은 이동과 풍화과정중 산화환경에서 야기된 self-electrorefining과 silver의 preferential dissolution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홍케지역 사금중 적어도 일부 높은 함수은량을 보이는 경우는 함금-은 천열수 광상과 유사한 환경에서 생성된 기원광상으로부터 유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이광자 흡수 광환원 공정을 이용한 마이크로 금속형상 제작의 정밀화에 관한 연구 (Improvement of Metallic Micro-Structure Precision Employing Two-photon Induced Photoreduction Process)

  • 손용;임태우;양동열;;이광섭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2권9호
    • /
    • pp.754-760
    • /
    • 2008
  • A two-photon induced photoreduction process suggests a possibility for fabricating complicated metallic microstructures which can be applied to 3-D micro-circuits and optical devices, etc. The process employs the photoreduction of silver ions in a metallic solution which is composed of metallic salt ($AgNO_3$) and watersoluble polymer ((poly(4-styrenesulfonique acid) 18wt. % in $H_2O$, $(C_8H_8O_3S)_n$)). In this process, the improvement of the resolution and the uniformity of fabricated metallic structures are important issues. To address these problems, continuous forming window (CFW) is obtained from a parametric study on the conditions of laser power and scanning velocity and the direct seed generation (DSG) method is proposed. Silver nano particles are uniformly generated in a metallic solution through the DSG method, which enables the decrease of a laser power to trigger the photoreduction of silver ions as well as the increase of metal contents in a metallic solution. So the two-photon induced photoreduction property of a metallic solution is improved. Through this work, precise silver patterns are fabricated with a minimum line width of 400 nm.

실버세대를 위한 동영상 영어사전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Video English Dictionary for Silver Generation)

  • 김제영;박지수;손진곤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9권11호
    • /
    • pp.345-350
    • /
    • 2020
  • 본 논문은 실버세대 영어학습자를 위한 모바일 학습 콘텐츠를 구현하고 이를 평가하여 이들을 위한 콘텐츠 설계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버세대의 신체적, 학습적 특징과 요구사항 분석을 근거로 하여 영어학습 콘텐츠로 동영상 영어사전을 개발하였고 이를 평가하였다. 동영상 영어사전은 입력방식으로 OCR을, 출력방식으로 동영상을 활용하여 개발하였고 17명의 실버세대들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사용의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문자 영어사전과 동영상 영어사전 모두 학습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업성취도와 사용의 용이성에서는 문자로 된 영어사전보다 동영상 영어사전이 더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Antioxidative and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propolis-reduced silver nanoparticles

  • Tan, Gamze;Ilk, Sedef;Foto, Fatma Z.;Foto, Egemen;Saglam, Necdet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139-150
    • /
    • 2021
  • In this study, phytochemicals present in Propolis Extract (PE) were employed as reducing and stabilizing reagents to synthesize silver nanoparticles. Three propolis-reduced silver nanoparticles (P-AgNPs1-3) were synthesized using increasing amounts of PE. P-AgNP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ancer cells-lung (A549), cervix (HeLa) and colon (WiDr) - for 24, 48 and 72 h to evaluate their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A non-cancerous cell type (L929) was also used to test whether suppressive effects of P-AgNPs on cancer cell proliferation were due to a general cytotoxic effect. The characteriz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bioactive contents in propolis successfully induced particle formation. As the amount of PE increased, the particle size decreased; however, the size distribution range expanded. The antioxidant capacity of the particles increased with increased propolis amounts. P-AgNP1 exhibited almost equal inhibitory effects across all cancer cell types; however, P-AgNP2 was more effective on HeLa cells. P-AgNPs3 showed greater inhibitory effects in almost all cancer cells compared to other NPs and pure propolis. Consequently, the biological effects of P-AgNPs were highly dependent on PE amount, NP concentration, and cell 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gNPs synthesized utilizing propolis phytochemicals might serve as anti-cancer agents, providing greater efficacy against cancer cells.

실버세대의 여가활용을 위한 체감형 융복합 게임의 설계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Method of Physical Convergence Game for Leisure use of Silver Generation)

  • 김태규;김경배;강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419-424
    • /
    • 2020
  • 의료 기술의 발전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고령화 시대가 초래되었다. 이와 더불어 기술의 발전과 컴퓨터의 대중화로 인해 콘텐츠 사업이 발전하며 여러 기능성게임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게임 중 앞의 고령화 시대의 큰 문제점 중의 하나인 치매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버 기능성게임이 나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버세대의 여가활용을 위한 체감형 융복합 게임의 설계 방법 중 운동적인 요소에 입각하여 설계 시 도움이 되는 요소에 대해 제안하기 위해 앞선 연구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근거로 여가제약 요인을 통해 치매 예방 체감형 운동 요소 모델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치매 예방 체감형 운동 요소 모델을 적용해 실버 체감형 기능성 게임을 설계한다면 장기적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실버 게임이 출연할 것으로 기대한다.

Dextran을 기초로 한 고분자 Matrix로 부터의 Silver Sulfadiazine의 방출 특성 (Release Characteristics of Silver Sulfadiazine from Dextran-based Polymeric Matrices)

  • 나재운;박영훈;김성현;김선일
    • 공업화학
    • /
    • 제7권4호
    • /
    • pp.735-742
    • /
    • 1996
  • 장시간에 걸쳐 약물의 흡수가 일어날 수 있는 고분자 matrix을 개발하고자, 글리세린과 증류수를 혼합 교반 시킨 후, 분자량이 서로 다른 세 종류의 dextran을 각각 첨가하여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silver sulfadiazine을 분산시켜 matrix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고분자 matrix로부터 약물 방출 양상을 규명하기 위해 인산염 완충용액 중에서 약물의 함유량 변화, dextran의 분자량 변화 및 글리세린의 농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하여 연구 검토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고분자 matrix내의 silver sulfadiazine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약물 방출 지속 시간은 11.2일, 14.0일 및 15.8일로 지연되었다. Dextran의 분자량 변화에 대해서는 약 14.0일로 거의 같은 약물 방출 pattern을 보임으로써 겉보기 방출속도상수 (K)값과의 관계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글리세린의 함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약물 방출 지속 시간은 각각 18.0일, 17.0일, 14.0일, 13.0일 및 10.0일로 감소하였다.

  • PDF

Ag 담지 다공성 세라믹 비드 제조 및 항균 특성 (Preparation of Ag-impregnated Porous Ceramic Beads and Antibacterial Properties)

  • 서원학;한요섭;정영;박재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49-554
    • /
    • 2005
  • 골격 구조를 가진 다공성 세라믹 비드에 질산은 용액을 이용하여 Ag를 담지 하였으며, Ag 담지된 비드의 대장균,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상용화된 Ag-활성탄과 항균 특성에 대해 비교실험도 진행하였다. 질산은 용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비드의 내 외부 표면의 Ag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담지된 Ag 입자의 크기는 $0.5{\sim}2.0\;{\mu}m$ 범위로 나타났다. Ag 담지된 비드의 항균 특성은 다음과 같이 관찰되었다 : i) 질산은 용액 농도 및 반응시간이 증가할수록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ii) 포도상구균에 비해 대장균의 경우 더 좋은 제거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