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k-I

검색결과 273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 of Blood Pressure on Contractility of Vascular Smooth Muscle and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 Suh, Suk-Hyo;Park, Yee-Tae;Lee, Dong-Chul;Seo, Pil-Won;Kim, Ki-Wh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9권2호
    • /
    • pp.279-289
    • /
    • 1995
  • This study was designed 1) to develop a hypertensive animal model in which the blood pressures (BPs) of symmetric regions (right and left upper extremiti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nd 2) to test the effect of BP per se on the contractility and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Rabbits were anesthetized with sodium pentobarbital and ventilated with room air via animal respirator. The transverse aorta was exposed through the left second intercostal space and the lumen of the aorta was narrowed partially by ligation using 3-0 silk and a probe at a point between the origins of the brachiocephalic trunk and the left subclavian artery. Four to eight weeks postoperatively, BPs were measured in the carotid artery as the high BP area (proximal to coactation site) and in the femoral artery as the low BP area (distal to coarctation site). In the animal model, pressure-overload hypertension was developed and the BP of the right subclavian artery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eft subclavian artery. The concentrations of circulating epinephrine, norepinephrine, angiotensin I, and angiotensin II were measured. The right and left subclavian arteries and their branches were used for isometric tension recording in organ baths and their responsiveness to phenylephrine, serotonin, acetylcholine, and sodium nitroprusside were examined. The BPs of carotid and femoral artery in control animals were $116{\pm} 12/75{\pm}9\;mmHg (mean ${\pm}SEM$) and $130{\pm}16/68{\pm}9\;mmHg$ respectively, while those of carotid and femoral artery in the hypetensive animals were $172{\pm}6/111{\pm}10\;mmHg$ and 136{\pm} 4/100 {\pm}9\;mmHg$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centrations of circulating epinephrine, norepinephrine, angiotensin I, and angiotensin II between controls and the animal model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vascular sensitivities to phenylephrine and serotonin between the high pressure-exposed vessels and the low pressure-exposed vessels. However, the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to acetylcholine and nitroprusside-induced relax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igh pressure-exposed and the low pressure-exposed subclavian arteries. From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contractility of vascular smooth muscle is unchanged by the elevated pressure per se. However, the endothelium-dependent relaxation to acetylcholine and the nitroprusside-induced relaxation are attenuated by pressure.

  • PDF

에코 프린팅(Eco Printing)을 활용한 스카프디자인 연구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Scarf Design Using Eco Printing -Focused on the Researcher's Works-)

  • 정인숙;강기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21-228
    • /
    • 2017
  • 본 연구는 식물의 잎을 이용하여 색과 문양을 천에 직접 프린트 염색할 수 있는 친환경적 방법을 찾고자 출발 하였다. 그러던 중 식물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색과 문양을 천에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에코 프린팅"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에코 프린팅은 식물의 잎(유칼립투스)을 활용하여 자연에서 식물의 문양과 색을 디자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에 사전적 정의를 비롯하여 학문적으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입문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자연적인 형태와 색을 얻을 수 있는 식물의 잎이나 꽃을 이용한 천연염색과 에코 프린팅을 정의하고, 유칼립투스의 잎을 사용하여 실험연구 제작에 임하였다. 울 또는 실크로 구성된 각각의 스카프에 유칼립투스 잎을 배열하고 압력을 가하여 묶어 열탕 또는 증열처리를 하여 색소가 천에 스며들게 하여 염색 제작하였다. 이 방법은 천연재료에서 염액을 추출하여 염색하는 기존의 방법과 달리 한 단계 나아가 식물의 형태를 천에 직접 문양으로 찍어내는 방식이다. 또한 매염제를 사용하여 색상의 변화를 도모 하였으며, 이러한 실험연구의 결과 기존 제품과는 차별화 할 수 있는 스카프디자인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에코 프린팅은 각 재료가 갖는 조건과 환경 등에 따라 색상의 변수가 발생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앞으로 여러 종류의 천과 일상생활에 손쉽게 구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로 연구 비교 할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의 에코 프린팅에 대한 실험연구와 제작기법이 천연염색에 입문하는데 활용되어 천연염색의 외연(外延)이 보다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SFAA 컬렉션에 활용된 서페이스 디자인연구 (Study on the Surface Design Used in S.F.A.A. Collection)

  • 김주희;금기숙
    • 복식
    • /
    • 제52권1호
    • /
    • pp.129-143
    • /
    • 2002
  • Patterns are something that comes out of necessity in human life, which is closely associated with it. Thus come the SFAA (Seoul Fashion Artists Association) collection which uses patterns varying in form, color, way of expression and material. For this research, I first categorized the patterns the SFAA designers used into: natural patterns, symmetric patterns, traditional patterns, stripe, plaid, dot and abstract patterns. As a result of the process. the designers most favored the natural patterns and symmetric patterns, and dot patterns were rarely used. The designer who most favored patterns in general was Sul Yun-hyoung, and the designer Kim Chul-ung rarely favored the surface effect. The seven kinds of patterns naturally differ according to the designer. as Park Hang-chi liked to use the plaid patterns along with yam dyeing material, whereas Jin Teok expressed stripe patterns using the yarn dyeing fabric. Natural patters were presented in a bizarre way with Lie Sang-bong. who took the motives appearing in Eastern ceramic and paintings into the clothes, using the print method. The symmetric patterns, which the SFAA designers most preferred. was used evenly among designers like Chang Kwang-hyo, Gee Choon-hee. Rubina, and Haneza. In contrast. Lie Sang-bong. who used abstract patterns that do not give out meaning of the actual form of the pattern. rarely used symmetric patterns. The dot patterns were most often used by Park Youn-soo. and traditional patterns were overwhelmingly chosen by Sul Yun-hyoung. Secondly. in expressing the colors, SFAA designers were much more likely to choose achromatic colors. not choosing to show off colors. This is especially apparent in works by Haneza and Lie Sang-bong. In the SFAA collections, numerous methods were used to create. For instance, Sul Yun-hyoung used the oriental embroidery method. and Rubina and Lie Sang-bong used many unique dying methods. In terms of materials, Sul Yun-hyoung preferred silk. due to her methods, and Lie Sang-bong was one of the designers that used a number of different materials such as vinyl. Jacques Mueclier of the Paris Clothes Association in France, who was invited to SFAA collection once, remarked. "While the choice of material and the actual sewing done were excellent, there lacked much difference among the designers, as most of them choose flowing silhouette In terms of composition," which is all too correct. In addition, there were cases in the collection where the inherent feelings of cultural artifacts was expressed without alteration. Summing up, the research aimed to analyze the surface expression methods, forms and color of SFAA designs. and I hope that it can open up ways for new projects in the future.he future.

실크 세리신의 가수분해 특성과 응용 I. 세리신의 분자량 제어 (Hydrolysis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silk sericin I. Control of molecular weight of sericin)

  • 김정호;배도규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46-57
    • /
    • 2003
  • 정련 액에서 수용성 세리신을 얻고, 남은 난용성 세리신을 여러가지 효소로 가수분해하여, 효소 가수분해 특성을 알아보고. 아미노산 조성과 분자량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효소 가수분해 시 kojizyme과 flavourzyme의 최적조건은 pH 7, 온도 5$0^{\circ}C$이었고, protamex와 alcalase는 처리 pH의 증가에 따라 활성이 높았고 최적온도는 6$0^{\circ}C$이었다. 2 효소 가수분해 시 용해도 측정에서는 효소 처리농도 증가에 따라 용해도도 높았으며, 4시간 이상의 처리에서는 아주 소폭으로 용해도가 증가하였다. 3. 효소 가수분해 시 흡광도를 이용한 용해도 측정에서는 효소 처리농도 증가에 따라 흡광도도 높았으며. 4시간 이상의 처리에서도 계속하여 흡광도가 증가하였다. 4. 효소 가수분해 시 말단기 정량에 의한 평균중합도 측정에서는 처리시간과 농도의 증가에 따라 중합도가 감소하였다. 5. 아미노산 분석 결과 정련 후 채취한 low와 high의 아미노산 조성이 비슷하고, PK와 PP및 PA의 아미노산 조성이 비슷하였으며, low와 high는 PK, PP, PA보다 세린과 타이로신의 함량이 많았고, 프롤린은 검출되지 않았다. 6. GPC에 의한 분자량 측정결과 중량평균분자량(Mw) 크기는 PK>high>PP>low>PA 순서이었으며, PK와 PA의 Mw는 각각 9,800, 905이었다

중앙아시아 무형문화유산 네트워크 활동의 성과와 미래 - 최근 사례와 경험을 중심으로 - (Major Outcomes and Tasks for ICH Network Activities in Central Asia : Focusing on Case Studies and Experiences from the Recent Collaborative Work in the Region)

  • 박성용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3호
    • /
    • pp.204-219
    • /
    • 2015
  • 최근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세계 각지에서 나타나는 정치 군사적 갈등을 완화하고 문명 간 충돌을 해소하기 위해서 '문화 간 화해(Rapprochement of Cultures)'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데, 이 과정에서 고대 문명 간 교역 루트로 기능했던 '실크로드'가 재조명 되고 있다. 이것은 문명 간 대화와 교류의 장으로써 고대로부터 실크로드 교역의 중심에 위치하였던 중앙아시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것과도 궤를 같이하는 것이다. 광활한 영토에 흩어져 살고 있는 다양한 민족의 생활 방식이 전해지고 있는 중앙아시아지역에서 '살아있는 유산'으로 불리는 무형의 문화유산을 많이 접할 수 있는 것이 놀라운 일은 아니다. 더욱이 초원을 따라 끊임없이 이동하며 생활하는 유목문화가 퍼져있는 이 지역은 조상 대대로 내려오는 전통적인 관습과 생활에 대한 지혜가 주로 구전 전승되어 왔기 때문에 무형유산을 발굴하고 재해석 하는 일이 지역의 민족적 정체성과도 관련된 매우 중요한 일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현실은 지난 70여 년간의 소비에트 체제의 여파로 인해 많은 유산이 전승단절 위기에 처해있다. 다행히도, 독립 이후에 중앙아시아 지역의 국가들 사이에서 민족의 정체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무형유산을 부흥시키려는 욕구가 커지고 있다. 그렇지만 문화 분야의 국가적 지원이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글에서는 무형유산 개념이 보급되면서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나타나고 있는 여러 현상을 살펴보고, 필자가 몸담고 있는 센터와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최근 6년 동안 진행한 네트워크 사업 활동에 관한 경험과 그 성과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또한, 중장기적 관점에서 이 지역의 무형유산 협력을 어떻게 이해하고 발전시켜야 할지에 관한 문제제기와 함께 이에 대한 필자의 짧은 소견을 덧붙이고자 한다.

황련(黃連) 추출물의 만성 역류성 식도염 유발 흰쥐에 대한 개선 효과 (Improving Effects on Rats with Chronic Acid Reflux Esophagitis Treated of Coptidis Rhizoma Extract)

  • 김수현;노성수;이진아;신미래;이아름;구진숙;박해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7-124
    • /
    • 2019
  • Objective : Chronic acid reflux esophagitis (CARE), one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is increasing worldwide. Coptidis rhizoma extract (CRE) is a traditional herb that cures a variety of diseas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of CR on rats with chronic acid reflux esophagitis. Methods :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valuated through radical scavenging assays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s. CARE was surgically induced in 5-week-old male SD rats by ligating the border between forestomach and glandular portion with a 2-0 silk tie and covering the duodenum using 18-Fr $N{\acute{e}}laton$ catheter. To evaluate the esophageal protective effect of CRE,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Nor (normal rats), Veh (chronic acid reflux esophagitis induced rats), CR (chronic acid reflux esophagitis induced rats treated with CRE 200 mg/kg body weight). Results : The administration of CRE significantly prevented the mucosal injury of the esophagus tissue and histological findings improved the esophageal lesion. It has been shown that inflammation is prevented by the increase of antioxidant-related factors (Nrf-2, HO-1, SOD, catalase, and GPx-1/2) through the antioxidant pathway of esophageal tissue. The administration of CRE reduced the increase of serum peroxynitrite ($ONOO^-$) and markedly reduced the protein expression of inflammatory mediator such as $NF-{\kappa}Bp65$, $p-I{\kappa}B{\alpha}$, iNOS, and IL-6. Conclusions :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E administration confirmed the protective effect of esophageal mucosa, suggesting that it is a potential treatment for chronic acid reflux esophagitis.

자비(煮沸), 증자(蒸煮) 및 약제처리(藥劑處理)가 상수리나무와 소나무의 휨가공성(加工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Boliing, Steaming, and Chemical Treatment on Solid Wood Bending of Quercus acutissima Carr. and Pinus densiflora S. et. Z.)

  • 소원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19-62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은 국내(國內) 활엽수로서 중요한 참나무속(屬)의 상수리나무와 침엽수(針葉樹)의 대표적(代表的) 수종(樹種)인 소나무를 공시목(公試木)으로 선정(選定)하여 곡목가공분야(曲木加工分野)에서 널리 이용(利用)하는 자비법(煮沸法)과 증자법(蒸煮法)에 의한 휨가공성(加工性)을 조사(調査)하고, 이에 관련(關聯)된 인자(因子)로서 변(邊) 심재(心材), 연륜각도(年輪角度), 연화처리온도(軟化處理溫度), 연화처리시간(軟化處理時間), 목재함수율(木材含水率) 및 목재결함(木材缺陷) 등(等)의 영향(影響)과 휨가공(加工)후의 곡율반경변화(曲率半經變化) 및 약제처리(藥劑處理)에 의한 휨가공성(加工性)의 개선방법(改善方法)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실시(實施)되었다. 이 때 사용(使用)된 자비(煮沸)와 증자처리용(蒸煮處理用) 시편(試片)의 크기는 두께와 너비 15mm, 길이 350mm이고 약제처리용시편(藥劑處理試片)의 크기는 두께 5mm, 너비 10mm 및 길이 200mm로 제작(製作)하였으며, 시편(試片)의 함수율(含水率)은 자비처리(煮沸處理)에는 생재(生材)를 사용(使用)하고 증자처리(蒸煮處理)에는 15%로 조습(調濕)된 건조재(乾燥材)를 사용(使用)하였다. 또한 약제처리(藥劑處理)는 포화요소용액(飽和尿素溶液), 35% 포르말린 용액(溶液), 25% 폴리에칠렌(400) 수용액(水溶液) 및 25% 암모니아수에 5일간(日間) 상온(常溫)으로 침지(浸漬)한 우 휨가공(加工)을 행하였다. 본(本) 시험(試驗)에서 얻은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상수리나무와 소나무의 목재내부온도(木材內部溫度)는 자비(煮沸) 또는 증자처리시간(蒸煮處理時間)에 따라 초기(初期) 약(約) $30^{\circ}C$까지 완만(緩慢)한 상승(上昇)을 보이다가 그 후 직선적(直線的)으로 급상승(急上昇)하며 후기(後期) $80{\sim}90^{\circ}C$부터는 다시 완만(緩慢)해지는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2. 최종온도(最終溫度) $100^{\circ}C$까지 도달(到達)하는 데 소요(所要)되는 연화처리시간(軟化處理時間)은 목재(木材)의 두께에 비례(比例)하며 두께 15mm 각재(角材)에 대한 $25^{\circ}C$에서 $100^{\circ}C$까지의 소요시간(所要時間)은 상수리나무 9.6~11.2분(分), 소나무 7.6~8.1분(分)으로서 소나무의 연화속도(軟化速度)가 보다 빠르게 나타났다. 3. 증자처리시간(蒸煮處理時間)의 경과(經過)에 따른 목재(木材)의 함수율증가경향(含水率增加傾向)은 처음 약(約)4분(分)까지 급증(急增)하나 그후 점차(漸次) 둔화(鈍化)되어 상수리나무는 20분(分), 소나무는 15분경(分頃)부터 거의 직선적(直線的)으로 완만(緩慢)하게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다. 두께 15mm 각재(角材)에 대한 초기함수율(初期含水率) 15%에서 50분간(分間) 증자처리(蒸煮處理) 후의 함수율증가량(含水率增加量)은 상수리나무 3.6%, 소나무 7.4%로서 소나무의 흡습속도(吸濕速度)가 빠르게 나타났다. 4. 자비처리시간(煮沸處理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두 수종(樹種) 모두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이 현저하게 감소(減少)하였으며, 60분간(分間) 자비처리(煮沸處理)에 의한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의 감소율)減少率)은 압축강도(壓縮强度) 35.6~45.0%, 인장간도(引張强度) 12.5~17.5%, 휨강도(强度) 31.6~40.9% 및 휨탄성계수(彈性係數) 23.3~34.6%로 나타났다. 5. 변재(邊材)와 심재별(心材別) 최소곡률반경(最小曲律半徑)은 각각(各各) 상수리나무에서 60~80mm 및 90mm, 소나무에서 260~300mm 및 280~300mm로 두 수종(樹種) 모두 변재(邊材)의 휨가공성(加工性)이 양호하였다. 6. 상수리나무의 정목재(柾木材)와 판목재별(板目材別) 최소곡률반경(最小曲律半徑)은 모두 60~80mm로서 차이(差異)가 없었으나 소나무에서는 각각(各各) 240~280mm 및 260~300mm로 정목재(柾木材) 휨가공성(加工性)이 양호하였다. 7. 연화처리온도(軟化處理溫度)가 증가(增加)할수록 상수리나무와 소나무 모두 휨가공성(加工性)이 향상(向上)되었으며 휨가공(加工)을 위한 최저처리온도(最低處理溫度)는 각각(各各) $90^{\circ}C$$80^{\circ}C$로서 처리온도(處理溫度)에 대한 의존도(依存度)는 상수리나무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다. 8. 연화처리시간(軟化處理時間)이 증가(增加)할수록 상승온도(上昇溫度)와 상응(相應)하여 휨가공성(加工性)을 향상(向上)시켰으나 최종온도(最終溫度)에 도달(到達)한 후에도 계속 연화(軟化)을 지속(持續)해야 비로서 최적연화상태(最適軟化狀態)를 나타냈다. 휨가공(加工)을 위한 최소처리시간(最少處理時間) 두께 15mm 각재(角材)에 대하여 상수리나무에서 자비처리시(煮沸處理時) 10분(分), 증자처리시(蒸煮處理時) 30분(分) 및 소나무에서 자비처리시(煮沸處理時) 10분(分), 증자처리시(蒸煮處理時) 20분(分)으로 나타났다. 9. 휨가공(加工)을 위한 상수리나무의 적정함수율(適定含水率)은 20%로 나타났으며 섬유포화점(纖維飽和點) 이상(以上)에서는 오히려 휨가공성(加工性)이 저하(低下)되었다. 반면(反面)에 소나무의 적정함수율(適定含水率)은 30% 이상(以上)을 필요(必要)로 하였다. 10. 본(本) 시험(試驗)에서 얻은 최적조건(最適條件)(Table 19)으로 휨가공(加工)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상수리나무의 최소곡률반경(最小曲律半徑)은 자비처리시(煮沸處理時) 80 mm, 증자처리시(蒸煮處理時) 50 mm이고 소나무에서는 자비처리시(煮沸處理時) 240 mm, 증자처리시(蒸煮處理時) 280 mm로서 상수리나무는 증자처리(蒸煮處理)의 연화효과(軟化效果)가 양호하였으나 소나무는 자비처리(煮沸處理)가 양호하였다. 11. 인장대철(引張帶鐵) 사용(使用)하지 않았을 경우 상수리나무와 소나무의 시편(試片)두께(t)와 최소곡률반경(最小曲律半徑)(r)의 비(比)(r/t)는 각각(各各) 자비처리시(煮沸處理時) 16.0 및 21.3, 증자처리시(蒸煮處理時) 17.3 및 24.0으로 나타났으나 인장대철(引張帶鐵) 사용(使用)하였을 때는 각각(各各) 자비처리시(煮沸處理時) 5.3 및 16.0, 증자처리시(蒸煮處理時) 3.3 및 18.7로서 휨가공성(加工性)의 현저한 향상(向上)을 나타냈다. 12. 미소(微小)한 옹이의 위치별(位置別) 상수리나무의 휨가공성(加工性)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매우 심하게 나타났는 데 특히 옹이의 의치(位置)를 휨재(材)의 압축측(壓縮側)에 두고 곡률반경(曲律半徑) 100 mm로 휨가공(加工)하였을 때는 파양율(破壤率)이 90%로서 거의 휨가공(加工)이 불가능(不可能)하였다. 그러나 옹이를 인장측(引張側)에 두었을 경우에는 파양율(破壤率)이 10%에 불과(不過)하였다. 13. 곡률반경(曲律半徑) 300 mm로 휨가공(加工) 후 30 일간(日間) 실내조건(室內條件)에서 방치(放置)하였을 때의 곡률반경변화율(曲律半徑變化率)은 자비처리시(煮沸處理時) 4.0~10.3%, 증자처리시(蒸煮處理時) 13.0~15.0%로서 증자처리(蒸煮處理)에 의한 복원현상(復元現象)이 자비처리(煮沸處理)보다 심하게 나타났으며 에폭시수지(樹脂)를 도포(塗布)하여 방습처리(防濕處理) 하였을 경우에는 곡률반경변화율(曲律半徑變化率)이 -10~0%에 불과(不過)하였다. 14. 약제처리(藥劑處理)에 의한 가소성(可塑性) 효과(效果)는 35% 포르말린 용액(溶液)과 25% 폴리에칠렌 글리콜(400) 수용액(水溶液)에서는 나타나지 않았고 포화요소용액(飽和尿素溶液)과 25% 암모니아수에서는 나타났으나 증자처리(蒸煮處理)의 효과(效果)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약제처리(藥劑處理) 후 증자처리(蒸煮處理)를 병용실시(倂用實施)하였을 때는 증자처리(蒸煮處理)보다 10~24% 휨가공성(加工性)이 향상(向上)되었다. 15. 소서계수(塑性係數)와 곡률반경(曲律半徑)과의 관계(關係)는 하중(荷重)-변형계수(變形係數), 변형계수(變形係數) 및 에너지계수(係數) 모두 1% 수준(水準)에서 유의적(有意的)인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므로 휨 가공용재(加工用材)의 품질지표(品質指標)로서 적합(適合)하였고 적합도(適合度)는 하중(荷重)-변형계수(變形係數), 에너지계수(係數) 및 변형계수(變形係數)의 순(順)으로 크게 나타났다.

  • PDF

다수성 편친한성(片親限性) 봄누에 품종 "대풍잠" 육성 (Breeding of Daepoongjam, a Sex-limited Larval Marking and High Silk Yielding Silkworm Variety for Spring Rearing Season)

  • 강필돈;이상욱;정이연;김기영;김미자;홍인표;김영대;이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37-40
    • /
    • 2006
  • 다수성 품종으로 육성된 대풍잠은 새로운 봄누에 품종으로서 육성경위와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본종계 원종 잠151은 도입 육성한 무늬 품종이며, 중국종계 원종 잠152는 교잡 육성한 강건다수성 한성무늬 누에품종이다. 2. 2005년 춘잠기 지역적응시험 결과는 대풍잠이 다수견, 다사량의 특성을 지닌 금옥 잠에 비해 전견중이 무거워 고치수량이 6% 증수되었다. 3. DNJ 함량은 대조 금옥잠 4.26 mg과 같은 수준인 4.22 mg으로 함량이 우수한 편이었고, 동충하초 생산력 검정에서 동충하초 생체중이 1개당 1.61 g으로 대조 1.41 g 보다 14% 무거워 다수성 특성을 나타냈다. 4. 조사성적에서는, 견사장은 1,536 m로 대조대비 지수로 8%가 떨어지나, 섬도가 굵고 견사량이 많아 1만두 생사량이 5.24 kg/만두로 대조 대비 지수로 4% 높아 다사량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5. 잠종생산능력에 있어서는 일본종계 원종 잠151의 나방당 산란수는 564개로 대조와 비슷하였다. 중국종계 원종 잠152의 산란수는 588개로 일반장려품종의 원종에 비해 산란성이 우수하였다.

다수성 편친한성(片親限性) 가을누에 품종 (Breeding of)

  • 강필돈;손봉희;이상욱;김미자;정이연;김용순;김영대;이희삼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54-57
    • /
    • 2004
  • 다수성 품종으로 육성된 부흥잠은 새로운 가을누에 품종으로서 육성경위와 주요특성을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본종계 원종 잠149와 도입 육성한 무늬 품종이며, 중국종계 원종 잠150은 도입 육성한 강건다수성 한성무늬 누에품종이다. 2. 부흥잠의 일본종계 원종인 잠149은 조사된 주요 양적형질 중 화용비율, 견층비율 및 견사장에서 일반조합능력(GCA)이 높았고, 중국종계 잠150은 견층비율 및 견 사장에서 GCA가 높게 나타났다. 3. 2003년 추잠기 지역적응시험 결과는 부흥잠이 다수견, 다사량의 특성을 지닌 대성 잠에 비해 전견중이 무거워 고치수량이 6% 증수되었다. 4. 조사성적에서는, 견사장은 1,274 m로 대조대비 지수로 3%가 떨어지나, 섬도가 굵고 견사량이 많아 1만두 생사량이 3.68 kg/만두로 대조 대비 지수로 7%높아 다사량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5. 잠종생산능력에 있어서는 일본종계 원종 잠149의 산란수는 525개로 대성잠의 일본종계 원종인 잠125과 같은 수준이었고 중국종계 원종 잠150의 산란수는 510개로 대성잠의 잠126보다 다소 적었으나 산란성은 우수한 편이었다.

Bis(trichlorophenoxy) ethane(BTPE)의 합성 및 살충효력에 관한 연구(I) (Studies on insecticidal activity and synthesis of Bis (trichlorophenoxy) ethane)

  • 김종석;김화웅;김명화;강신완;이대수;이의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47-50
    • /
    • 1965
  • Chlorophenol 유도체들이 농약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저자들은 Trichlorophenol과 Dibromoethane으로 Bis(2,4,5-trichlorophenoxy) ethane 과 Bis(2,4,6-trichlorophenoxy) ethane을 합성하고 mice에 대한 독성 및 Bis(2,4,5-trichlorophenoxy) ethane의 귤응애, 누에 및 무우잎별레에 대한 살충작용을 Phenkapton, Tedion V-18. BHC 및 DBT 등과 비교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Bis(2,4,5-trichlorophenory) ethane의 yield 는 8.0g $(50.06\%)\;(m.p. 157-159^{\circ}C)$이며 Bis(2,4,6-trichlorophenoxy) ethane 의 yield는 5.2g $(32.60\%)\;(m.p. 162-163^{\circ}C}$였다. (2) Bis(2,4,6-trichlophenoxy) ethane의 귤응애(Citrusred mite)에 대한 살충작용은 Tedion V-18 보다 강하고 Phenkapton에 비해서는 약하다. (3) 누에 (Bombix mori)에 대한 살충작용은 BHC 및 DDT보다 약하다. (4) 무잎별레(Daikon leaf beetle)에 대해서는 살충력이 없였다. (5) 2,4,5-BTPE 및 2,4,6-BTPE는 체중 k9당 5g씩 mice에 경구투여한 바 72시간동안 한 마리도 죽지 않아 독성은 적은 것으로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