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k/cotton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24초

현대 장묘문화 변화에 적합한 수의 제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rable Shroud Construction in Modern Funeral Culture)

  • 이봉이;송정아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4-34
    • /
    • 2007
  • The shroud of the Chosun dynasty period originally meant the new start in the next world. Its basic principle was to wear the best clothes or wedding garments during one's life. The white hemp cloth-shroud worn during this time was formed after the 20th century. In the beginning it started simply by imitating the shroud of the common people. However recently many aspects of the trade have deteriorated by the commercialism of the shroud traders. So this study focuses on the way of keeping traditions and making the shroud desirable. First, the shroud was made of the best materials such as silk, hemp cloth, ramie cloth and cotton cloth in the past. A thought that the shroud material must be white hemp cloth is the result from mis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al shroud of the Chosun dynasty period. We can produce beautiful shrouds using natural materials without losing dignity and at diverse prices. Second, the shroud was produced not only to keep the dignity of a dead person but also to avoid wasting the original cloth. Third, The shroud has pursued diversity in classifying the traditional style or the basic style.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shroud flexibly according to one's sense of values or the way the tomb was made. These days, the Korean full-dress attire and Wonsam (Korean woman's ceremonial clothes) are the standardized form of the ready-made shroud. The man's Korean full-dress attire on sale is sewn in the wrong way and its shape looks more like the Wonsam. I offer diverse shrouds of the Chosun dynasty period, for example, the official uniform, hemp cloth upper garment, men's black upper garment, Korean full-dress attire, Korean overcoat, Wonsam, the long hood worn by a Korean woman and a woman's long upper garment, so that we can see the Korean originality and beauty through the different types of shrouds. Also, I adjusted a number of items, undergarments and other articles according to the price. As mentioned before this study helps to portray a desirable understanding of the culture of the shroud. So I corrected many problems of the present shroud and propose a new type of shroud based on tradition. Furthermore, I recommend a way of making use of the Hanbok which the man wears during his life, at the wedding ceremony or a his 60th birthday without buying a new shroud.

천연염색직물의 물리적 색채 특성과 심리적 감성 요인 (Physical Colorimetric Properties and Psychological Sensibility Factor of Naturally Dyed Fabrics)

  • 이유진;이경현;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19권3호
    • /
    • pp.3-1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천연염료와 직물종류, 매염유무의 세 가지 조건에 대한 천연염색직물의 물리적 색채 특성을 측정하고, 심리적 색채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하여 염료의 종류, 직물의 종류, 매염제의 유무에 따른 물리적 색채 특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물리적 색채 특성과 심리적 감성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회귀분석을 이용해 천연염색에 대한 예측식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천연염색직물에 대한 감성 이미지 맵을 제안하기 위하여 다차원 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 MDS)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대표적으로 남성적인(masculine)인 이미지에는 무거운, 딱딱한 색채감성을 갖는 치자염색이, 여성스러운(feminine) 이미지에는 밝고 투명하고 부드러우면서 가벼운 색채감성을 갖는 소목과 락, 치자청을 사용한 염색이 적합하다. 내츄럴(natural)한 이미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은은한 색채감성의 쑥 염색이 적절하고, 화려한 색채감성의 쪽으로 염색을 한다면 액티브(active)한 이미지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 예측 가능하다.

플레어 스커트의 실제착의와 가상착의 이미지 비교 (A study on the comparing visual images between the Real garment and the 3D garment simulation of flare skirts)

  • 김현아;유효선;이주현;남윤자
    • 감성과학
    • /
    • 제14권3호
    • /
    • pp.385-39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20대 표준체형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소재에 따른 플레어 스커트의 실제착의와 가상착의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고, 시각적 이미지와 역학적 특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는 드레이프 특성이 확연히 다른 5종류의 소재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되어진 플레어 스커트의 실제착의와 가상착의의 이미지는 사진으로 제공되었으며, 피설문자는 20대의 의류학 전공의 여성이었다. 자료의 분석은 SPSS Ver.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연구 문제별로 요인분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T 검정(t-test), 던컨테스트(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드레이프성', '매력성', '신체 보정성', '부피감', '활동성' 의 총 5 가지 요인이 분석되었다. 시각적 이미지중 '부피감'의 경우 G, 무게, 두께와 같은 역학적 특성들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3차원 의복 시뮬레이션과 실제착의간의 시각적 이미지는 소재에 따라 유의한 차이점을 나타냈는데, 실크나 폴리에스터 소재와 면, 린넨, 양모소재간 이미지 차이는 소재의 무게와 두께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천연 복분자 추출물의 약리, 화학적 특성 및 분석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Bokbunja Extract)

  • 성기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02-411
    • /
    • 2012
  • 천연 복분자는 나무딸기 또는 산딸기로부터 얻어진 한방재료로 사용되어 지고 있다. 천연 복분자 나무딸기 또는 산딸기는 천연의 향기와 맛, 천연의 색상, 그리고 약리,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천연 복분자 추출물을 사용하여, 특성실험으로 미생물에 대한 항균실험과 섬유에 대한 염색실험을 하였다. 본 특성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들이 얻어졌다. 항균실험 결과 ATCC-001(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는 배양시험 후 72hrs 부터 미생물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ATCC-002(aspergillus niger)의 경우 배양시험 후 시간경과에 따라 계속 증식이 나타났다. 역시, 염색실험 결과 복분자 추출물이 천연염료로 매염제($Al_2(SO_4)_3{\cdot}13-14H_2O$)를 사용하여 섬유인 면과 견에서 연한 베이지 색의 방향으로 염색이 나타났다. 기기분석 결과 1CP/OES로 측정한 복분자 성분에서는 K(221.100ppm), Mg(17.920ppm), Ca(5.129ppm), Na(2.940ppm), Si(0.638ppm)등의 무기성분들이 확인되었고, GC/MSD로 측정한 복분자 성분에서는 Boric acic(1.711), Silane(2.142), Propyl isothiocyanate(2.565), Pyrazole(3.481), Furfurole(11.521)등의 유기성분들이 확인되었다.

포름알데히드에 의한 전통직물의 손상 특성 (Damag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s by Formaldehyde)

  • 김명남;임보아;이선명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53-364
    • /
    • 2014
  • 포름알데히드는 전시 수장 공간에서 농도와 발생빈도가 높아 전통직물(천연염색)에 대한 손상 개연성이 있다. 본 연구는 견, 면, 모시, 삼베의 무염색, 천연염색(적색, 황색, 청색, 흑색) 시편을 대상으로 포름알데히드 0.5, 1, 10, 100, 500ppm 농도에서의 손상, 손상농도 500ppm에서 온습도 조건에 따른 손상과 열화상태에서의 손상을 광학적, 화학적, 물리적 측정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이 결과, 포름알데히드 농도 500ppm에서 일부 직물의 색차, 변퇴색등급, 포름산이온 농도, pH가 변화하였으며, 고온 고습조건($30^{\circ}C$, 80%), 고습조건($25^{\circ}C$, 80%)에서는 색차, 변퇴색등급, 포름산이온 농도가 2배 가중되었다. 그러나, 열화직물은 열화정도, 열화 생성물질로 인해 포름알데히드에 의한 손상변화가 미미하였다. 이를 통해 포름알데히드에 의한 전통직물의 손상, 손상농도, 손상가중 조건, 열화상태에서의 손상을 확인하였으며, 포름알데히드는 적색직물의 황변, 열화직물의 황변 탈색, 포름산은 전체직물의 탈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및 몽고제국의 포제와 민족복에 나타난 ' 깃 (옷깃)'에 대한 연구 -13세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form of 'collar' in the China and Mongolian Traditional OverCoat & National Costume -Focusing on 13th Century's-)

  • 김은주
    • 복식
    • /
    • 제19권
    • /
    • pp.209-240
    • /
    • 1992
  • The costume of any nation is an attribute of a culture. This study concerns chinese and Mongolian costume's 'collar' form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f some reports about import folk materials and the pictures of the genuine objects, the author has investigated and rearranged them focusing on 13th Century's. 1. Traditional OverCoat or National costume on the poing of won dynasty in china such as Jacket, Coat, Mantle for making classical matching color, lacing, pearl pieces, and all costume shall be properly decorated and disigned. The example, Chinese Women's Gown and Double Jacket, on top of alignment of plaid, focus shall be placed on chinese classical form and color-matching, such as flowers and bireds, butterflies, made wishing ornaments, which shall be either hand painted or embroidered on collars, fronts, sleeves openings, and lower portion of gown. 2. Mongolian Costume, the stone status of a person, are seen at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Mongolia was a powerful country of Asia. So during the Mongolian Empire a lot of Missions from many countries came to kharakorom for establishing official relations between Mongolia and a country represented by mission. In particularly, the costume of mongols on the point of Chinggis khan Empire which the upper clothes in cluded ; a several kinds of the Caftan as compared with in Korea as to material (Silk caftan, Cotton Caftan, Fur Caftan) with closing to the right due to overlapping and Stand-up-Shawl Collars will pancho style & Round or V Neckline. 3. As compared with in Korea it is said that this a sort of Simui was brought in prior to the middle of Koryeo dynasty. Korean Simui system was complied with chinese system through confucian domestic behaviour. This was respected for court dress of confucian scholars, as it was, Chumri can ordinary dress of schloars) and Hakchangui ( a uniform of confucian student). Generally its form or shape of the outer lapels of Korean jacket were used together Squar-Tray-Collar. In late Yi-dynasty the inside collar length was longer than the outside collar length and the width of the collar was gradually narrow. And so the Traditional costume's outer collar of Jacket and OverCoat became small while the width and length of breast-tie became large. The same thing as the form of the collar on these days had been appeared by the design method or adjust one's dress. Therefore the form of collar in the china and Mongolian Traditional OverCoat & National Costume is fix arranged according to Stand up Collar, Without Collar, Clothing to the Right, Central opening, Horizontal Row of Button with Round or V Neckline and so on.

  • PDF

근대 서화가 6인 합작 '산수' 병풍의 재질분석 및 보존처리 (The Material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Six Modern Korean Calligraphic Painters' Collaborated Works of Folding Screen: Focused on 'Sansu')

  • 박소현;최혜송;김정흠;최점복;이나라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19-331
    • /
    • 2018
  •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인 '산수'는 1940년에 제작된 6폭 구성의 병풍이다. 10대가로 불리던 서화가 6명이 제작에 참여한 합작품으로 소석 강진구 선생의 회갑을 축하하기 위한 축수의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과거 수리된 부분이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병풍틀의 뒤틀림, 습기얼룩 및 오염 등 보존상태가 양호하지 않아 장기적 보존 및 전시활용을 위해 보존처리가 진행되었다. 또한 재질특성을 확인하고자 제작에 사용된 직물섬유, 종이섬유, 안료에 대한 과학적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화본 및 회장비단에 사용된 직물섬유는 면, 견 등의 천연섬유와 함께 합성섬유가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병풍 속틀에 사용된 종이의 경우 닥나무 인피섬유, 초본류, 침엽수 섬유 등 다양한 수종이 관찰되었다. 안료분석 결과, 모든 작품의 바탕층에서 Calcite가 확인되었고, 색상별 일부 착색안료는 작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주택에서 내장재로 쓰이는 섬유의 절약효과와 소비자의식에 관한 연구 - 커어튼을 중심으로 - (The Effect in Heat Controlling and Perceptions Towards Home Furnishing Fabrics - Focus on Curtains and Draperies -)

  • 윤복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5-77
    • /
    • 1982
  • The intent of this study was to focus atten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rtain fabrics and consumer perceptions towards curtains and draperies. This study consisted of the laboratory test for thermal transmittance of selected fabrics and the exploratory survey for consumer perceptions towards curtains and draperies. The objectives of the laboratory test were to measure fabric's thermal transmittance, thickness, and count which affect to the effect in heat controlling. Selected 23 fabrics were tested at Korean Yarn and Fabrics Testing Inspection Institute. The objectives of the exploratory survey were to determine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stage of family life cycle, the economics status, and homemaker's level of education, and physical factors; the type of houses, the direction of windows, and the type of windows, affect consumer perceptions toward curtains and draperies. Questionaires were administered to 489 homemakers selected by a stratified propotional sampling plan, in Seoul in October, 1981. Data from responses were analyzed by T-test(Analysis of Varience) and Partial Correlati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laboratory test 1) The fabrics used for draperies had higher effect in heat controlling than the fabrics used for glass curtains. 2) It did not show much differences among the fibers in heat controlling. The thicker fibers, however, had the higher effect in heat controlling among same fibers. 3) The fabrics which had high level of effect I heat controlling were corduroy, flax, rayon, nylon, acetate, thick polyester, and thick polyacrylic. The fabrics which had midium level of affect in heat controlling were velveteen, velvet, and thin polyester. The fabrics which had low level of effect in heat controlling were cotton, silk, and thin polyarcylic. 4) The draperies with lining showed 2∼5 times more effective in heat controlling than the draperies without lining. 2.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survey Consumer perceptions towards curtains and draperies consisted of functional, financial, and aesthetic perception. 1) Factor affecting functional perception towards curtains and draperies was the stage of family life cycle. Families in the contracting stage considered function of curtains and draperie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ose in others stages. 2) Factors affecting financial perception towards curtains and draperies were the economic status, homemaker's level of education, the direction of windows, and the type of windows.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and financial perception was too low to explain the significance of tendency. 3) There was not any factors affecting aesthetic perception towards curtains and draperies.

  • PDF

천연염색포의 습식세척에 의한 색상변화 (Effects of the Wet Cleaning to the Color Change of the Dyed Fabrics with Natural Dyes)

  • 백영미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27
    • /
    • 2012
  • 조선시대 양반가의 장례시 매장방식은 회곽묘제를 사용하였으며, 그 유물들이 현대에 형태를 유지한 채로 출토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그 내부에서 발견되는 섬유유물들은 예전에는 염직물이었을 것으로 예상되나 오랫동안 시즙과 수분에 의해 오염되어 고유의 색상 및 물성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오염은 출토 후에도 계속적으로 유물의 변퇴색 및 열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적합한 세척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습식세척 후 출토염직물의 색변화를 최소화할 적합한 세정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적색계 7종, 청색계 1종, 황색계 6종, 녹색계 4종, 자색계 4종의 천연염색 염색포(견과 면)을 만들어서 이를 돈육과 함께 6개월간 냉장보관한 후 꺼내어 물, 음이온계면활성제(SDS), 비이온계면활성제(TritonX-100), 천연계면활성제(Saponin) 등 4종의 세정액를 이용하여 $20^{\circ}C$$40^{\circ}C$의 온도에서 습식세척하여 염직품들의 색상변화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색상의 변화는 세정온도, 섬유소재, 세정제, 이용한 염료의 종류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산화황에 의한 전통직물의 손상 특성 (Damag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Textiles by Sulfur Dioxide)

  • 김명남;임보아;신은정;이선명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21-3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통직물 4종(견, 면, 모시, 삼베)을 선정하고, 각 직물의 원직물을 포함한 염색별 5종으로 구분하여 이산화황 가스($SO_2$) 농도에 따른 손상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가스 열화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각 농도와 손상특성간의 정량적인 상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직물 시편을 대상으로 가스부식시험기를 이용하여 $SO_2$ 0.01, 0.12, 1, 10, 100, 1000, 5000ppm의 농도로 24시간 노출 실험을 하였으며 노출 전 후의 광학적, 물리적, 화학적 손상도를 평가하였다. 이 결과, 가스 농도의 증가에 따른 전통직물의 색차 증가와 변퇴색 등급 저하 등 광학적 변화를 확인한 반면 물리적 변화는 뚜렷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스 농도증가에 따른 직물시편 내 잔류 황산이온 농도의 증가 및 pH 감소에 의한 직물 재질의 산성화를 통해 화학적 손상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손상도 변화를 종합한 결과 이산화황 가스에 의한 전통직물의 손상농도는 1ppm/day임을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