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lage barley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2초

답리작 맥류 조사료의 일관 생산을 위한 기계화 모델 (Modeling in mechanical Production System of Winter Barley for Silage and hay in Korea)

  • 박경규;김혁주;서상훈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9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46-51
    • /
    • 1999
  • 최근 우리나라의 젓소 및 한우의 사육두수는 계속 증가 추세에 있으며 젖소와 비육우는 1996년 현재 약 340만여 두가 사육되고 있다. 반면 사육농가는 계속 줄어들어 호당 사육두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에도 북구하고, 아직은 축산 선진국에 비하여 규모가 영세한 탓에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그 중 조사료의 자급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중략)

  • PDF

사일리지 및 건초 생산을 위한 답리작 맥류의 건조 특성 (Drying Characteristics of Winter Barley for Silage and Hay)

  • 박경규;나규동;김혁주;하유신;홍동혁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9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8-233
    • /
    • 1999
  • 소와 같은 반추위동물은 사료 중 섬유질의 양과 질이 적당하였을 때 건물섭취량과 에너지 섭취량이 최고에 달하고 반추위내의 발효가 정상이 되어 유지방율이 유지 또는 향상되고 분만 후의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양질의 조사료에 의한 충분한 섬유질의 공급은 낙농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조사료 급여비가 40%를 넘지 못하고 국내산 조사료의 생산이 부족하여 다량의 사료를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에서 양질의 조사료 확보에 대한 축산 농가의 요구는 절대적이라 하겠다. (중략)

  • PDF

Effects of Tween 80 on In Vitro Fermentation of Silages and Interactive Effects of Tween 80, Monensin and Exogenous Fibrolytic Enzymes on Growth Performance by Feedlot Cattle

  • Wang, Y.;McAllister, T.A.;Baah, J.;Wilde, R.;Beauchemin, K.A.;Rode, L.M.;Shelford, J.A.;Kamande, G.M.;Cheng, K.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7호
    • /
    • pp.968-978
    • /
    • 2003
  • The effects of monensin, Tween 80 and exogenous fibrolytic enzymes on ruminal fermentation and animal performance were studied in vitro and in vivo. In Expt 1, the effects of the surfactant Tween 80 (0.2% wt/wt, DM basis) on ruminal fermentation of alfalfa, corn and orchardgrass silages were investigated using in vitro gas production techniques. Tween 80 did not affect (p>0.05) cumulative gas production at 24 h, but it reduced (p<0.05) the lag in fermentation of all three silages. With corn silage and orchardgrass silage, gas production rates and concentrations of total volatile fatty acids (VFA) were increased (p<0.05) by Tween 80; with alfalfa silage, they were reduced (p<0.05). Tween 80 increased (p<0.05) the proportion of propionate in total VFA, and reduced (p<0.05) acetate to propionate ratios (A:P) with all three silages. In Expt 2, exogenous fibrolytic enzymes (E; at 0, 37.5 or 75 g/tonne DM), monensin (M; at 0 or 25 ppm and Tween 80 (T; at 0 or 2 L/tonne DM) were added alone or in combination to backgrounding and finishing diets fed to 320 crossbred steers in a feeding trial with a $3{\times}2{\times}$2 factorial arrangement of treatments. The backgrounding and finishing diets contained barley grain and barley silage in ratios of 57.8:42.2 and 93.5:6.5 (DM basis), respectively. Added alone, none of the additives affected DM intake (p>0.1) in the backgrounding or in the finishing period, but interactive $M{\times}T$ effects were observed in the finishing period (p=0.02) and overall (p=0.04). In the finishing period, T without M tended to reduce DM intake (p=0.11), but T with M increased (p=0.05) DM intake. Monensin increased average daily gain (ADG) during backgrounding (p=0.07) and finishing (p=0.01), and this ionophore also improved overall feed efficiency (p=0.02). Warm carcass weight was increased (p<0.001) by M, but dressing percentage was reduced (p=0.07). In the backgrounding period, T increased ADG by 7% (p=0.06). Enzymes increased (p=0.07) ADG by 5 and 6% (low and high application rates, respectively) during backgrounding, but did not affect (p>0.10) ADG during finishing, or overall feed efficiency. Whereas T enhanced the positive effects of M on ADG during backgrounding (p=0.04) and overall (p=0.05), it had no impact (p>0.1) on the effects of E. Interactions between M and T suggest that the surfactant may have potential for enhancing the positive effects of monensin on beef production, but this requires further research.

가축 기호성이 좋은 반매끈망을 가진 청보리 신품종 '미한' (A New Forage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 'Mihan' with Ruminant-Palatable Semi-Smooth Awn)

  • 박종호;정영근;김경호;박태일;김양길;강천식;윤영미;한옥규;윤건식;홍기흥;배정숙;송재기;오영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3-259
    • /
    • 2018
  • '미한'은 추위 및 도복에 강한 다수성이면서 총체적성이 우수한 청보리 품종육성을 목표로 2001년 추위 및 도복에 강하며 초형이 양호한 'SB00T2064'를 모본으로, 양질다수성으로 총체적성이 우수한 '수원385호(IT215831)'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였다.'익산487호'로서 전국 6개소에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6년에 육성되었다. '미한'은 기존 육성된 '영양'의 거친 망의 단점을 개선하여, 까락의 거치가 적은 반매끈망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미한'은 직립 초형으로 파성은 IV정도로 영양보다는 추파성이 강하였다. 미한의 잎은 녹색이며, 엽폭은 중간정도이며, 엽이의 안토시아닌색은 없으며, 초장은 96cm, $m^2$당 경수는 665개로 표준품종인 '영양'보다 적었으나, 엽신 비율이 17.9%, 이삭비율은 52.2%로 높다. 답리작(전주 등 5개 지역 평균)에서 출수기는 4월 23일로 '영양'보다 3일 늦었으나, 황숙기는 5월 23일로 '영양'보다 1일 늦었다. '미한'은 내한성에 대해서는 '영양'보다 강하며, 흰가루병에는 약하며, 보리호위축병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건물수량은 전작에서 13.9톤/ha으로 '영양'과 보다 5% 감수하였지만, 답리작에서 10.9톤/ha으로 '영양'과 같았다.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이 10.3%로 '영양'에 비해 높았으며, ADF는 26.1%, NDF는 46.9%로 '영양'보다 높았으며 TDN이 68.2% '영양'보다 다소 낮았으나, 사일리지 품질등급은 I 등급으로 '영양'보다 우수하였다.

땅콩수확시기 및 첨가제에 따른 경엽 수량 및 사일리지용 사료가치 (Effect of Harvesting Time and Additives on the Nutritive Values of Peanut Silage)

  • 정영근;최윤희;박기훈;오윤섭;김원호;박문수;김순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47-150
    • /
    • 2002
  • 땅콩 수확시기 및 첨가제에 따른 땅콩경엽의 수량 및 사일리지용 사료가치를 비교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확시기별 생육은 개화후 90일 수확시 경엽의 병해(갈색무늬병 및 흑색무늬병) 발생 정도가 낮고, 성숙협비율은 89%, 100립중은 81g으로 높았다. 2. 수확시기에 따른 경엽 및 종실 생산성은 개화후 90일에 경엽은 52 t/ha, 종실중은 3.6 t/ha이었다. 3. 경엽과 종실수량간에는 고도의 정상관($r^2$=0.62$^{**}$ )이 있었다. 4. 땅콩경엽의 사일리지 사료가치는 땅콩경엽+볏짚+젖산균 조제시 ADF 42.2%, NDF 49.6%, CP 10.5%, TDN 55.6%이었다. 5. 땅콩경엽 사일리지의 유기산함량은 땅콩경엽+볏짚 및 땅콩경엽+보릿짚에다 젖산균 첨가시 각각 산도 5.04 및 5.10, 낙산함량 3.12% 및 4.64%, 젖산함량은 7.34% 및 2.07%이었다.

조사료원에 따른 한국 재래산양의 채식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s of Korean native goats fed with roughage sources)

  • 강병호;이인덕;이수기;이형석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3호
    • /
    • pp.445-452
    • /
    • 2011
  • The object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food habits of Korean native goats fed with various roughage sources. The experimental trials were conducted at Unbong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in 2008. The experimental roughages include five sources and 25 species in all; grasses and legumes: 5 species (mixed grasses,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white clover), native grasses and weeds: 5 species (mixed native grasses, Miscanthus sinensis Anderss,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Barnyard grass, short awn, forage crops and straw: 5 species (barley + hairy vetch, wheat + hairy vetch, rye silage, barley silage, baled rice straw), browse and fallen leaves: 5 species (Mixed browse, Oriental white oak, Quercus serrta Thunb., Oriental cherry fallen leaves, Japanese chestnut fallen leaves), and imported hay and straw: 5 species(timothy hay, tall fescue straw, annual ryegrass straw, klinegrass hay, alfalfa hay). Ten Korean native goats were selected which had nearly the same body weight (average $24{\pm}2.8$ kg).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digestibility of each roughage source and spe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sampling area, plant species, growth stages and cutting period (p<0.05). Among all the 25 species of roughages, the favorite intake species order by Korean native goat was observed like this: Quercus aliena, Querancas serrta Thunb and Mixed browse, which was a lower intake compared to other domestic herbivores. The Korean native goats ate more roughages which had low fibrous contents, but high dry matter digestibility. The Korean native goats ate more roughages which had low fibrous contents, but high dry matter digestibility.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each roughage source, total intake amount by Korean native goats was showed as browse and fallen leaves (33.1%) among trials roughage sourc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od habit of Korean native goats seems to be closer to the browser.

조사료원에 따른 꽃사슴(Servus nippon)의 채식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od habits of Sika Deer (Saanen) fed with roughage sources)

  • 강병호;이인덕;이수기;이형석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3호
    • /
    • pp.437-444
    • /
    • 2011
  • The object of this experiment was to investigate the food habits of sika deer fed with various roughage sources. The experimental trials were conducted at Unbong Animal Genetic Resources Station in 2008. The experimental roughages include five sources and 25 species in all; grasses and legumes: 5 species (mixed grasses,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white clover), native grasses and weeds: 5 species (mixed native grasses, Miscanthus sinensis Anderss,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barnyard grass, short awn, forage crops (hay, silages and straw): 5 species (barley + hairy vetch, Wheat + hairy vetch, rye silage, barley silage, baled rice straw), browse and fallen leaves: 5 species (mixed browse, oriental white oak, Quercus serrta Thunb., oriental cherry fallen leaves, Japanese chestnut fallen leaves), and imported hays and straws: 5 species (timothy hay, tall fescue straw, annual ryegrass straw, klinegrass hay, alfalfa hay). Five sika deer were used as experimental animals and the averaged body weight was 95+5.4kg.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digestibility of each roughage source and spec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the sampling area, plant species, growth stages and cutting period(p<0.05). The sika deer ate more roughages which had low fibrous contents, but high dry matter digestibility. Among all the 25 species of roughages, the favorite intake roughage sources ranking by sika deer was observed like this: browse and fallen leaves (32.2%), grass and legumes (27.0%), native grasses and weeds (22.0%), imported hays (12.9%) and forages crops (5.5%) respectively. Although, the sika deer ate more browse leaves, but ate more roughage which had low fibrous contents (NDF and ADF), but high drymatter digestibility. On the other hand, compared to each roughage source, total intake amount by sika deer was showed as browse and fallen leaves (32.2%). Based on the result, the food habit of sika deer seems to be closer to the typical browser.

조사료 수량이 높고 사일리지 품질이 우수한 청보리 신품종 '다청' (High Forage Yielding and Good Silage Quality of a New Barley (Hordeum vulgare L.) Cultivar 'Dachung')

  • 박종호;정영근;김경호;박태일;김양길;박형호;박종철;강천식;송태화;한옥규;윤건식;홍기흥;배정숙;송재기;오영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01-307
    • /
    • 2017
  • '다청'은 답리작 적응 추위 및 도복에 강한 다수성 청보리 품종육성을 목표로 2002년 추위 및 도복에 강한 '선우'를 모본으로, 키가 크고 숙기가 빠른 '큰알보리1호'를 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육성 선발된 '익산479호'로 전국 6개소에서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5년에 육성되었다. '다청'은 직립 초형으로 파성은 IV정도이고, 잎은 녹색이며, 하부잎 엽초의 털이 있다. 초장은 99cm이고, $m^2$당 경수는 625개로 표준품종인 '영양'보다 적었으며, 엽신 비율이 18.7%, 이삭비율은 52.2%로 높다. 답리작에서 출수기는 4월 24일로 '영양'과 같았으며, 황숙기는 5월 26일로 영양과 같았다. 내한성은 '영양'보다 강하였으며, 흰가루병에는 감수성을 보였지만, 보리호위축병에 저항성을 나타냈다. 건물수량은 전작에서 12.8톤/ha '영양'보다 5% 증수하였으며, 답리작에서 11.9톤/ha으로 '영양'보다 10%로 증수하였다.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이 9.0%로 '영양'에 비해 낮았으며, ADF는 31.3%, NDF는 54.4%로 '영양'보다 높았으며 TDN이 64.0%로 '영양'보다 다소 낮았으나, TDN수량은 영양보다 높고, 사일리지 등급도 I 등급으로 영양보다 높았다.

청보리 사일리지 TMR 또는 청호밀 사일리지 TME 급여 및 급여기간이 거세 한우의 증체, 사료비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eeding Whole Crop Barley Silage- or Whole Crop Rye Silage based-TMR and Duration of TMR Feeding on Growth, Feed Cost and Meat Characteristics of Hanwoo Steers)

  • 김광림;김종규;진위적;정준;장선식;손용석;최창원;송만강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2호
    • /
    • pp.111-124
    • /
    • 2012
  • 본 연구는 주요 동계사료작물인 청보리와 청호밀을 이용한 TMR 급여가 한우 거세우의 생산성과 사료비, 그리고 도체특성과 등급판정 및 배최장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한우 거세우 송아지 80두를 대상으로 육성기에서 비육후기까지 총 680일에 걸쳐 실시되었다. 시험사료는 배합사료와 볏짚을 분리 급여하는 관행사양구(Control), 청보리 사일리지 TMR을 비육 중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고 비육 후기에는 관행사양구와 동일한 사료를 급여하는 처리구(BS-TMR I), 청보리 사일리지 TMR을 비육 후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는 처리구(BS-TMR II),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비육 중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고 비육 후기에는 관행 사양구와 동일한 사료를 급여하는 처리구(RS-TMR I),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비육 후기까지 자유채식토록 하는 처리구(RS-TMR II)로 구성하였다. 각 처리 당 거세된 송아지 16두 씩을 배치하였고, 처리 당 거세한우 송아지를 4두씩 4개의 pen에 수용하였으며, 완전임의배치 방법으로 각 처리구의 pen을 배치하였다. 한우 거세우의 증체량은 관행사양구에 비해 육성기 및 비육전기에서 청보리 및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처리구에서 다소 높았고 비육 중기에서 현저히 높았으나(P<0.0001) 비육 후기에서는 RS-TMR II를 제외하고는 관행사양구의 한우에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 두당 kg 증체 당 사료비는 관행사양구의 한우에 비해 청보리 및 청호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한우에서 다소 낮았다. 또한 비육 후기까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처리구(BS-TMR II 및 RS-TMR II)에 비하여 비육 중기까지 사일리지TMR을 섭취하고 비육 후기에는 관행사료를 섭취한 처리구(BS-TMRI 및 RS-TMR I)에서 두당 kg 증체 당 사료비가 다소 감소 되었다. 사일리지 TMR이 관행사료 급여에 비해 한우 거세우의 도체중, 등지방 두께 및 배최장근 면적을 다소 증가시켰으나 육량지수를 낮추었다(P<0.047). 다른 시험사료에 비해 청보리 사일리지 TMR이 근내지방도를 다소 낮추었으나 육질 1등급 이상 출현두수에는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한우 거세우 내 배최장근의 화학적성분, 도체특성, 대부분의 육질 특성, 육색 및 지방산 조성은 시험사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전단력은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한우에 비해 관행사양 방법으로 비육된 한우에서 낮았으나(P<0.046)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처리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배합사료와 볏짚 중심의 관행사양방법에 비하여 BS 또는 RS를 이용한 TMR 급여가 거세한우의 육질에 크게 영향하지 않은 반면 증체를 개선하고 사료비를 절감할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또한 전체적으로는 청보리 및 청호밀 사일리지 TMR의 사료적 가치는 거의 비슷한 것으로 여겨진다.

Hetero 발효 유산균주 첨가가 사일리지용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총체보리의 품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Heterofermentative Lactic Acid Bacteria on the Quality of Italian Ryegrass and Whole-crop Barley Silage)

  • 이호일;최연재;로벨리아 마무아드;김은중;오영균;박근규;이상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69-27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hetero 발효유산균 첨가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및 총체보리 사일리지의 사료가치 및 발효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사일리지 접종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유산균 6종(L. plantarum IMAU 70164, L. acidophilus KACC 12419, L. casei KACC 12413, L. reuteri KCTC 3594, L. buchneri KACC 12416 and L. diolivorans KACC 12385)을 이용하였으며, 젖산 함량이 높은 L. casei KACC 12416와 프로피온산 함량이 높은 L. reuteri KCTC 3594을 최종 선택하여 사일리지를 제조하였다. 처리구는 대조구, L. casei 첨가구, L. reuteri 첨가구 및 L. casei, L. reuteri 혼합첨가구로 하여 30일, 45일 및 60일간 저장하였다. pH는 IRG 사일리지의 경우 유산균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낮았으며(p<0.05), 수분함량, 젖산 및 초산함량 또한 유산균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수용성 탄수화물의 함량은 L. casei KACC 12416와 L. reuteri KCTC 3594를 혼합배양한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p<0.05). 프로피온산은 유산균을 접종한 총체보리에서 전 기간동안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에 사일리지 품질을 저해시키는 butyrate는 발효 60일의 대조구에서 측정되었다. 사일리지의 미생물 측정결과 IRG 사일리지 배양 60일에 유산균 첨가구에서 곰팡이가 억제되었으며, WCB 사일리지는 유산균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곰팡이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들로 볼 때, 단일 균주를 접종한 사일리지에 비해 co-culture (L. casei + L. reuteri)로 접종했을 때 사일리지 저장품질 개선에 보다 효과적이었으며, 혼합배양한 처리구가 청보리 사일리지내 높은 프로피온산을 생성하며 이는 사일리지의 품질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