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gn system

검색결과 913건 처리시간 0.026초

형태학적 방법을 사용한 세 단계 속도 표지판 인식법 (Korean Traffic Speed Limit Sign Recognition in Three Stages using Morphological Operations)

  • 키라칼 빈죤;김상기;김치성;한동석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516-517
    • /
    • 2015
  • The automatic traffic sign detection and recognition has been one of the highly researched and an important component of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ADAS). They are designed especially to warn the drivers of imminent dangers such as sharp curves, under construction zone, etc. This paper presents a traffic sign recognition (TSR) system using morphological operations and multiple descriptors. The TSR system is realized in three stages: segmentation, shape classification and recognition stage. The system is designed to attain maximum accuracy at the segmentation stage with the inclusion of morphological operations and boost the computation time at the shape classification stage using MB-LBP descriptor. The proposed system is tested on the German traffic sign recognition benchmark (GTSRB) and on Korean traffic sign dataset.

  • PDF

Real-time Speed Limit Traffic Sign Detection System for Robust Automotive Environments

  • Hoang, Anh-Tuan;Koide, Tetsushi;Yamamoto, Masaharu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4권4호
    • /
    • pp.237-250
    • /
    • 2015
  • This paper describes a hardware-oriented algorithm and its conceptual implementation in a real-time speed limit traffic sign detection system on an automotive-oriented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t solves the training and color dependence problems found in other research, which saw reduced recognition accuracy under unlearned conditions when color has changed. The algorithm is applicable to various platforms, such as color or grayscale cameras, high-resolution (4K) or low-resolution (VGA) cameras, and high-end or low-end FPGAs. It is also robust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daytime, night time, and on rainy nights, and is adaptable to various countries' speed limit traffic sign systems. The speed limit traffic sign candidates on each grayscale video frame are detected through two simple computational stages using global luminosity and local pixel direction. Pipeline implementation using results-sharing on overlap, application of a RAM-based shift register, and optimization of scan window sizes results in a small but high-performance implementation. The proposed system matches the processing speed requirement for a 60 fps system. The speed limit traffic sign recognition system achieves better than 98% accuracy in detection and recognition, even under difficult conditions such as rainy nights, and is implementable on the low-end, low-cost Xilinx Zynq automotive Z7020 FPGA.

파사드의 공간적 사인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A Theoretical Study on the Space Signal of Facade)

  • 송인호;신수길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261-270
    • /
    • 2000
  • 사인은 도시의 이미지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임에 불구하고 자기 주장과 강조를 우선으로하고 있어 환경을 저해하는 요소로 평가되고 있으며 그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논문의 주제는 인간의 생환경 공간에서 사인이 존재하도록 하는 현상에 대한 연구이다. 문자나 색채를 위주로 하는 시각디자인적 측면 흑은 스트리트퍼니추어 범주에서의 제품디자인적인 측면에서는 최근 일련의 연구가 진행되고있다. 본 연구는 보다 본질적인 측면에서 사인환경을 공간적인 해석과 접근을 통해 해결하고자 한다. 이에 문헌연구 및 사례조사를 통해 사인성에 관한 기능적인 측면을 파악하고, 사인이 갖는 기본적인 조형성의 추구보다는 도시환경의 구성요소라는 차원에서 그 접근방법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 이 있다. 현재와 같이 강렬한 색채와 과대포장으로 일관되어 있는 사인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개선방안의 일환으로서의 공간적인 측면에서 각 디자인요소별 접근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블록체인을 활용한 Single Sign-On 기반 인증 시스템 (Single Sign-On based Authentication System combined with Blockchain)

  • 임지혁;이명하;이형우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3-20
    • /
    • 2018
  • 본 논문은 최근 대두된 신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Single-Sign-On'과 'Token 기반 인증 방식'을 접목한 인증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Single-Sign-On 기반 인증 방식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하여 '접근제어' 기능과 '무결성'을 제공하였으며, Token 기반 인증 방식을 사용하여 Stateless한 Self-Contained 인증 기능을 제공하였다. 암호화 기반 Token 발급 및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보안성을 높일 수 있었으며, Web Server에 대한 인증 편리성을 제공하였다. 또한 SSO과 Token 기반 인증을 통해 번거로운 인증 과정을 보다 편리하게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Real-time Intelligent Exit Path Indicator Using BLE Beacon Enabled Emergency Exit Sign Controller

  • Jung, Joonseok;Kwon, Jongman;Jung, Soonho;Lee, Minwoo;Mariappan, Vinayagam;Cha, Ja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6권1호
    • /
    • pp.82-88
    • /
    • 2017
  • Emergency lights and exit signs are an indispensable part of safety precautions for effective evacuation in case of emergency in public buildings. These emergency sign indicates safe escape routes and emergency doors, using an internationally recognizable sign. However visibility of those signs drops drastically in case of emergency situations like fire smoke, etc. and loss of visibility causes serious problems for safety evacuation. This paper propose a novel emergency light and exit sign built-in with Bluetooth Low Energy (BLE) Beacon to assist the emergency self-guiding evacuation using devices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o avoid panic condition inside the buildings. In this approach, the emergency light and exit sign with the BLE beacons deployed in the indoor environments and the smart devices detect their indoor positions, direction to move, and next exit sign position from beacon messages and interact with map server in the Internet / Intranet over the available LTE and/or Wi-Fi network connectivity. The map server generate an optimal emergency exit path according to the nearest emergency exit based on a novel graph generation method for less route computation for each smart device. All emergency exit path data interfaces among three system components, the emergency exit signs, map server, and smart devices, have been defined for modular implementation of our emergency evacuation system. The proposed exit sign experimental system has been deployed and evaluated in real-time building environment thoroughly and gives a good evidence that the modular design of the proposed exit sign system and a novel approach to compute emergency exit path route based on the BLE beacon message, map server, and smart devices is competitive and viable.

회전 불변 제르니케 모멘트를 이용한 실시간 지하철 기호 객체 검출 (Real-time Sign Object Detection in Subway station using Rotation-invariant Zernike Moment)

  • 원선희;김계영;최형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79-289
    • /
    • 2011
  • 시각 장애인을 위한 실시간 보행보조 시스템의 안전한 보행안내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신 하드웨어 기술과 소프트웨어 기술이 결합되고 있다. 이 시스템은 보행자가 원하는 목적지까지 보행할 수 있도록 장애물 검출 및 인지와 장소인식, 기호인식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보행보조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기호인식을 위해 지하철 역 내부에서의 기호 객체 검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은 조명과 잡음이 존재하는 복잡한 환경으로부터 기호 객체 영역을 강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적응적인 특징맵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보행 시 객체의 이동, 회전 및 크기에 불변하도록 고속 제르니케 모멘트 특징을 이용하여 기호를 인식한다. 화살표, 화장실, 출구번호 3개의 기호를 대상으로 하며, 에이다부스트 분류기를 이용하여 기호를 학습 및 인식한다. 실험결과에서는 5000장의 기호영상 데이터 베이스의 3개의 기호에 대해 평균 87.16%의 검출율과 20 frame/sec의 처리속도를 통해 안정적이며 실시간 시스템에 적합함을 입증한다.

Compatibility of the Direction Sign on the Pendant Switch of Overhead Cranes

  • Park, Jae Hee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5-83
    • /
    • 2015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andard of the direction sign on the pendant switch of overhead cranes which can reduce human errors in control. Background: A great number of crane accidents occur in industries. One of the major causes of the accidents is the mistake in the control of cranes by confusing the orientation of crane movements. Nevertheless, three different direction sign styles, 'East, West, South, North (EWSN)', 'Forward, Backward, Left, Right (FBLR)', and arrows for four directions are used without standardization. Method: An overhead crane simulator was installed for a laboratory experiment. It could move along six directions by the control of a pendant switch. 90 participants were evenly assigned to the three different conditions of direction sign style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ntrol the pendant switch according to the continuously appearing 16 direction signs on a monitor ahead. The participants were allowed to refer an orientation sign board on the ceiling representing correct movement directions of the overhead crane simulator. Results: The direction sign style, 'EWS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ter performance in task completion time and number of errors than the other sign styles. The direction sign style, 'EWSN', adopting the cardinal direction system, made the participants clear in direction controls after customizing to the crane movements. However, the direction sign styles, 'FBLR' and the arrows adopting the relative direction system made conflicts in direction controls due to the egocentric view of human. Conclusion: The direction sign style, 'EWSN', is the most appropriate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direction sign on the pendant switch of overhead cranes.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standardization of direction sign in the legal notification on the safety certifications of crane manufacturing.

시각장애인을 위한 딥러닝 기반 표지판 검출 및 인식 (Deep Learning Based Sign Detection and Recognition for the Blind)

  • 전태재;이상윤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4권2호
    • /
    • pp.115-122
    • /
    • 2017
  • 본 논문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여 시각장애인을 위한 표지판을 검출하고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크게 표지판 검출 단계와 표지판 인식 단계로 나눠지는데 표지판 검출 단계에서는 영상에서 응집 채널 특징을 추출한 뒤 아다부스트 분류기를 적용하여 표지판 관심영역을 검출하였고, 표지판 인식 단계에서는 검출한 표지판 관심영역들에 합성곱 신경망을 적용하여 어떤 표지판인지 인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미검출된 표지판의 개수가 최대한 감소하도록 아다부스트 분류기를 설계하였고, 딥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인식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검출 단계에서 발생한 양성 오류들을 제거시켰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의 양성 오류 개수가 다른 방법들의 양성 오류 개수보다 효과적으로 감소했음을 확인하였다.

노선중심의 고속도로 안내표지 개선 효과 연구 (A Study on Effectiveness of Enhanced Expressway Guide Signs with Route Numbers)

  • 이재영;최기주;김동녕;이현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3D호
    • /
    • pp.199-204
    • /
    • 2010
  • 본 연구는 고속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표지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 고속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표지는 지점중심 안내체계, 과도한 정보량, 출구번호 이용률 저조, 차로지정 안내의 미비에 따라 효율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한 3개의 개선안을 제시하였고, 선호도 조사와 판독시간 검증을 통해 최적안을 선정하였다. 최적안은 기존표지에 비해 판독시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단축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의 표지는 원거리에서는 출구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전달하는데 비해, 근거리에서 오히려 적은 정보를 전달하고 있는데 비해, 개선 표지는 원거리에서는 개략적인 정보를, 근거리에서는 보다 상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0m 지점에서는 운전자가 목적지에 따른 노선을 효과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차로지정 표지를 문형식으로 설치하여 안내하도록 하였다.

모바일 수화 인식 시스템의 개선에 관한 연구 (Betterment of Mobile Sign Language Recognition System)

  • 박광현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3권4호
    • /
    • pp.1-1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수화를 의사소통 수단으로 사용하는 청각 장애인이 일반인과 일상 대화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모바일 수화 인식 시스템을 다룬다. 개발된 시스템은 모자에 부착된 카메라와 손목에 착용한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수화 동작을 관찰하는데, 모바일 환경에서 실제 적용할 수 있도록 조명 변화에 둔감하고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조명 변화에 강인한 손 영역 분할 방법을 제안하고 추출된 손 영역 정보를 히든 마르코프 모델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연속적인 수화에 대해 99.07%의 단어 정확도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