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ight Perception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5초

A Study on Promoting Early Reading Ability through an Explicit High-frequency Sight Word Instruction

  • Huh, Keun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1호
    • /
    • pp.17-3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 of an explicit word instruction for EFL beginning readers and their perception on the learning experience. Data were attained from 16 fourth graders who took English class as a development activity. Data include the results of pre- and post-test of high frequency sight word recognition, oral reading ability, students' survey responses, and teacher observation. Th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obtained for the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 The findings from the student survey and teacher observation were also provided and interpreted to better understand the result of project and students' perception on the learning experience.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word recognition ability of the students was dramatically improved after the project.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overall learning experience perceiving it as helpful and fun learning. They expressed that the explicit word instruction helped their word recognition and reading ability. The results also supported that the confidence of students on their reading ability were heightened.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for teachers and researchers on the word instruction for young EFL learners who are beginning readers.

  • PDF

실내색채계획을 위한 노인의 색지각 및 선호배색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Perception and Preferred Color Scheme of the Aged for Interior Color Design)

  • 조성희;장경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47-15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erception and preferred color scheme of the aged who becomes color weak due to yellowed eye sight. For this, this study was composed of two steps. First, an experimental simulation on aged vision using Spectrophotometer(CM-2600d, Minolta) attached Y-2 filter as a quasi lenses of the aged eye. The color data of 120 color chips of the aged vision was measured and analyz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color perception of the age. The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color chips and 8 interior color schemes. They participated in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level of identification among the color chips of 11 tones of R, G, PB, as well as a survey of the preference color scheme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 1) The range of color perception on hue narrowed into YR, Y, GY, G. Especially, the aged have failed perception of B${\cdot}$PB${\cdot}$P${\cdot}$RP(short wave length of light) by yellowed eye sight. 2) The level of identification among the color chips of 11 tones of R,G,PB are different by each color. But Very Pale, Pale, Strong, Vivid are fractionated similarly in almost color. 3) In the preference of interior color scheme of the aged, preference color harmony scheme Is the complementary color scheme that is easy for identification, rather than analogous color scheme. The preferred dominant color is warm color rather than cool color.

시간의 노화에 따른 Yellow와 Blue에 대한 색지각 특성 (Characteristics of Color Perception about Yellow and Blue with Human Lens Coloration)

  • 이윤재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8-172
    • /
    • 2006
  • With the progress of the aging society into the aged society, the planning of senior housing is inevitably required. Among the factors of planning, color appeals to people's vision which mostly accepts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 so age-related color vision changes should be studi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color perception focused on yellow and blue with advancing of the yellowed eye sight in the old age.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Regardless of gender, losses of color perception in sensitivity is occurred as aging is proceeded. But the rate of reduction is mitigated compared with the ex-research in Japan because of the promotion of physical health. (2) Human lens coloration was not common until 85 years old and the hue of yellow and red was easily perceived by the older subjects. (3) Yellow is more preferred to other colors by the elderly and accuracy of yellow-color perception is higher than that of blue-color. (4) It is especially hard for the elderly to perceive the difference between pure blue and mixture of blue-green. Therefore blue and blue-green should not be adopted simultaneously in senior housing environment. Except for the space which specially requires carefulness, various color preferred by the elderly should be applied to the senior housing environment to satisfy their psychological condition and provide the vitality of life.

  • PDF

노인의 색지각적 특성을 고려한 유료 노인주거 실내공간의 설계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Guide of Fee Charging Residential Facility for the Elderly reflected in Color Perception Characteristic)

  • 송춘의;김문덕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47-256
    • /
    • 2007
  • 본 연구는 인간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눈이 노화되어 감으로서 노인의 시각 노화과정에서 보이는 시지각과 관련된 정보습득 및 해석상의 색지각을 통한 특징을 반영하여 노인의 주 생활환경인 유료 노인주거 시설의 실내 공용공간의 설계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시각과 70세와 80세 후반까지를 모의 수정체를 이용하여 각 세대별 시지각을 통한 색채의 오류판단을 파악하였다. 노화에 따른 노인의 황변화 및 색지각 특성을 바탕으로 실내 공용공간의 색채 설계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인지 배색으로 유사조화 보다 대비조화를, 한색보다 난색계열을 사용함를 파악하였으며, 노인의 황변화에 따른 색지각 특성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 PDF

식음 공간의 도입부를 통한 현상의 전이적 지각 체험에 관한 연구 (Study on transitional perception experience of phenomenon through the introductory parts of eating and drinking spaces)

  • 유한희;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0-45
    • /
    • 2004
  • From 20th century, the perception of the problem on self-loss originated from philosophy and emerged in the pursuit of study on humans in real life, not from metaphysical questions. In particular, Phenomenon theory originating from Husserl has been unfolding around, above all, body concepts about human experiences. This is the part where Phenomenon theory finds its meaning as an analytical method of real space concepts. In addition, subjects' perception of situation is done through sense organs not only with sight but also with space-sensible aspects. And since these perceptions are done in consecutive and procedural times, they are done in the experience which shows transitional attributes. The experience elements of transitional senses in situation should be considered more about perception experience of human beings than other spaces, and classify into physical and program elements the introductory parts of eating and drinking spaces where the movements of active perceptionists and the flow of spaces can be felt. And this grants experimental, not usual, characteristics

  • PDF

존 러스킨의 미학에서 '본다는 것'의 의미 (The Meaning of Seeing in John Ruskin's Aesthetics)

  • 임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2호
    • /
    • pp.303-308
    • /
    • 2021
  • 본고는 존 러스킨의 미학이론에서 '본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를 논한다. 러스킨에게 '본다는 것'은 도덕적 통찰력을 규정하는 핵심적 열쇠이다. 그렇기에 러스킨의 도덕적 사유에서 '보기'의 배움과 자연에서의 '보기'의 기쁨이 서로 어떻게 관계를 맺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현대 화가들』을 비롯하여 「할키온 이야기」, 「빛의 과학에 관하여」, 『프로세르피나』, 『프레테리타』 등 러스킨의 주요 강연과 텍스트들을 분석한다. 본론의 제1절에서는 러스킨의 도덕적 생태학의 구성요소인 기쁨, 사상, 보기의 상호 관련성을 규명하고, 이어서 제2절에서는 인간 존재의 도덕적 지각으로서의 보기 개념이 형성되는 이론적 논리를 추적한다. 그리고 제3절에서는 자연과 신의 신비를 향한 배움으로서의 보기 개념을 이루는 보기의 방식과 기쁨의 미적 체험 사이의 조응을 논증한다. 이러한 이론적 검토 과정에 따라, 마지막으로 본고는 존 러스킨의 '본다는 것'은 인간-자연-신의 위계적 구성의 우주에서 발생하는 도덕적 지각의 발전과 상응하는 생태적 감수성의 형성 요소임을 주장한다.

고속도로 연결로상 연속 분류지점 간의 이격거리 검토 (Determining Ideal Distance between Consecutive Exit Ramps)

  • 이성관;이기영;장정화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D호
    • /
    • pp.65-72
    • /
    • 2011
  • 고속도로 분기부 연결로상에서는 연속되는 유출형태가 나타나게 되어, 주행상의 안전성을 고려한 1차, 2차 분류지점 간 적정 이격거리(L)를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도로설계 지침에서 제시한 240m라는 동일한 설계기준을 적용하는 대신에, 동 구간에서 운전자에게 필요한 인지반응시간과 차로변경시간을 고려한 적정 이격거리를 산정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특히 인지반응시간과 관련하여 정지시거 계산에 활용되는 기존의 2.5초와 더불어 기하구조 상의 특성을 고려한 판단시거 계산에 활용되는 보다 긴 인지반응시간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였다. 더불어 적정 이격거리 산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고속도로 분기점 중 사고가 잦은 네 개의 분기점을 대상으로 교통사고 발생현황을 조사하여, 본 연구에서 검토한 적정 이격거리 산정방법을 적용하여 최소 이격거리를 도출하여 보았다. 연구 결과, 현재의 기준치가 정지시거를 중심으로 할 때는 충분한 최소 이격거리를 제시하고 있지만 판단시거를 중심으로 할 때는 충분하지 못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고가 잦은 현장에서 조사한 차량들의 실제 주행속도가 설계속도와 비교해 월등히 높은 점을 감안한다면, 지침에서 제시하는 것과 같은 획일적인 이격거리의 적용보다는 예상되지 못한 상황을 가정하여 적정 이격거리를 구하게 되는 판단시거를 중심으로 한 이격거리 계산과 설계가 오히려 더 설득력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고령자의 시지각에 관한 문헌연구 : 국내학술지를 중심으로 (A Literature Study on the Elderly's Visual- Perception : Focusing on the Domestic Research Papers)

  • 최미향;김현진;안옥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8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학술지의 논문 중 고령자의 시지각에 관한 연구내용을 분석하여 고령자의 시지각 특성에 맞는 생활환경조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DBPIA의 고령자(노인)에 관한 연구 537편과 시지각에 관한 연구 40편, 그리고 한국노년학회지에 게재된 663편의 논문, 총 1,240편의 학술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고령자의 시지각과 관련된 내용(노인, 고령자, 색채, 조명, 시각, 시지각)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령자와 관련된 연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나 고령자 시지각과 관련된 연구는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고령자의 시지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며, 고령자가 자립적인 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나 생활환경의 디자인의 필요성을 박히는 바이다.

석굴암의 신화 분석과 건축공간 복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ythological Analysis and Architectural Space Restoration of the Seokguram Grotto)

  • 윤재신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4호
    • /
    • pp.7-18
    • /
    • 2023
  • Recognizing that the debate on the original form of the Seokguram Grotto is closely related to the mythologization of the Seokguram Grotto, which is far from factual understanding, this paper is prepared to restore the Seokguram Grotto based on scientific facts. To this end, we will first analyze its active meaning and fiction from three directions: the founding legend, the rediscovery story, and the concept and discourse of the Line of sight for Buddha statue (對佛像視準線), which have contributed to the mythologization of the Seokguram Grotto. The original restoration of the Seokguram Grotto should be based on a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Seokguram space. However, past debates and restoration attempts have been based on imagination and not on scientific knowledge. Therefore, Chapter 3 attempts a scientific analysis of the light environment of thr Seokguram Grotto and critically examines the existing errors and realistic mythological images to correct the public's spatial perception of Seokguram's architecture and to propose a rational restoration of Seokguram's architectural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