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rimp

검색결과 914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 거문도 인근해역의 만새우, Parapenaeopsis tenella의 개체군 동태 (Population Dynamics of Smoothshell Shrimp, Parapenaeopsis tenella from the Coastal Area of Geomun-do, Korea)

  • 오택윤;차형기;최정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1호
    • /
    • pp.9-16
    • /
    • 2004
  •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 연안에 분포하는 민새우는 서해 북쪽으로는 영광에서 남쪽으로 거제도까지 널리 분포한다. 거문도 인근해역에서 채집된 민새우의 암 ${\cdot}$ 수 성비는 암컷이 48.6% 로 나타났고, 이 개체군은 7월과 8월에 성숙하고, 년 1 회 신생 가입군이 발생되었다. 교미한 개체는 7월과 8월에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갑각정 13mm 이상의 전 출현 암컷의 50% 이상이 교미한 것으로 나타났고, 성숙도지수는 7-8월에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암컷의 최소 성숙개체는 갑각장 11mm이고, 성 성숙과 교미율에 의한 군성숙도 ($CL_{50}$) 는 각각 갑각장 12.53mm와 12.28mm로 나타났다. 체장 빈도 자료에 의해 추정된 민새우의 수명은 암컷이 14-15개월로 나타났다. 변형된 von Bertalanffy 성장식에 의해 추정된 성장계수(K)는 암 ${\cdot}$ 수 각각 1.22/년과 2.00/년이고, 최대 갑각장 ($L_{\infty}$)은 암 ${\cdot}$ 수 각각 21.99mm와 15.00mm이였으며, 암컷이 수컷보다 성장이 빠르고,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성 신경괴사증 미감염 홍민어, Sciaenops ocellatus 의 종묘생산 (Nervous necrosis virus (NNV) -free seed production of red drum, Sciaenops ocellatus)

  • 김진도;정성주;오봉세;박성우;오명주;김영진;키타무라신이치;변순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5-72
    • /
    • 2006
  • 홍민어의 종묘 생산 중에 자어의 대량 폐사를 일으키는 nervous necrosis virus (NNV)의 감염에 의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NNV 미감염 친어의 선발에 의한 종묘 생산을 시도함과 동시에 수정란, 부화자어, 먹이생물, 사육 용수 등의 NNV 감염 여부를 확인하였다. RT-PCR법에 의한 홍민어 친어의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한 결과, 총 40마리의 검사어 중에서 양성인 개체가 18마리, 음성인 개체는 22마리였다. 시험어로부터 자연 산란된 수정란 및 경과 단계별 부화 자어로부터 PCR법을 이용한 NNV 감염 확인 결과, 미감염 친어로부터의 수정란에서는 바이러스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감염된 친어로부터의 수정란에서는 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되었다. 또한 자어의 먹이생물인 클로렐라, 로티퍼, 알테미아 및 사육 용수를 대상으로 한 NNV 검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부화 후 8주간의 감염 및 미감염 자치어의 사육 결과에 있어서는 초기 2주째까지의 생존율이 각각 80%, 85%로서 양호하였으나, 부화 후 25일째부터 폐사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감염 친어구의 경우 41일째에 100% 폐사한 반면, 미감염 친어구는 최종적으로 18.3%의 생존율을 보여, 이러한 결과는 친어에 대한 NNV 검사를 실시하여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홍민어 종묘를 생산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질병의 증상을 보이는 해수 양식 어류에서 분리한 비브리오속 세균 (Vibrios Isolated from Diseased Marine Culturing Fishes in Korea)

  • 김수미;원경미;우승호;이화;김은전;최광진;조미영;김명석;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3-14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2002년에서 2004년간 우리 나라 해수 어류 양식장에서 분리되는 세균 중 비브리오 속에 속하는 세균의 종 조성을 조사하였다. 질병의 증상을 보이는 어류로부터 166개의 비브리오속 세균 균주를 수집하였으며, 이들 균주는 넙치 (133 균주), 조피볼락 (8 균주), 참돔 (6 균주), 대하 (5 균주), 감성돔 (4 균주), 전복 (3 균주) 및 기타 해수 어류 (7 균주) 등에서 분리한 균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분리 균주에 대하여 각종 생화학적 성상을 조사하고 그 특성에 따라 분리 균주를 구분하였다. 각 생화화적 성상 group에서 대표 균주를 선정하여 16S rRNA 및 16S-23S rRNA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고 이들 결과를 종합하여 분리 균주을 동정하였다. 그 결과 14종 이상의 비브리오 종으로 동정할 수 있었으며, 그 종 조성은 V. ichthyoenteri (45 strains), V. alginolyticus (34 strains), V. harveyi (32 strains), Ph. damselae subsp. damselae (Formerly V. damsela, 10 strains), V. campbellii (6 strains), V. costicola-like (6 strains), V. fisheri (5 stains), V. fluvialis (4 strains) 및 Vibrio spp. (24 strains) 등이었다.

한국산 민물 새우류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 2. Palaemon modestua의 생태 (BIOLOGICAL STUDIES ON THE FRESH-WATER SHRIMPS IN KOREA 2. The Ecology of Palaemon modestua)

  • 정경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0-116
    • /
    • 1970
  • 낙동강산 민물 새우, Palaemon modestua의 성장, 산란 및 성비등의 생태에 관해 조사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산란기간은 $4\~9$월 사이이며, 주 산란기는 7월이다. 2. 만 1년만에 생식 행위를 하며, 산란 후 10월 말경까지는 대부분 사멸하는 것 같다. 3. 성비 (수컷/암컷$\times$100)는 일평균 $78.5\%(44.2\~95.5\%)$이며, 4월과 9월에는 $44.2\%,\;44.9\%$로 하락하였다. 4. 포란 개체의 최소의 크기는 체장 29mm, 체중 0.5gr, 갑장 7mm 내외였다. 5. 포란 미수의 출현이 가장 많은 체장은 $31\~41mm$ 내외이었다. 6. 체장(X)과 난수(Y)의 회귀 관계식은 $$Y=0.0000203937X^{3.5668}$$이었다. 7. 체장(X)과 체중(Y)의 회귀 관계식은 $$female\;:\;Y=0.099801X^{2.85407}$$, $$male\;:\;Y=0.004198X^{3.40614}$$이었다. 8. 두흉 갑장(X)과 체중(Y)의 회귀 관계식은 $$female\;:\;Y=5.56008X^{2.25503}$$, $$male\;:\;Y=5.09541X^{2.28875}$$이었다. 9. 두흉 갑장(X)과 체장(Y)의 회귀 관계식은 female : Y=5.07540+3.36057X, male : Y=4.90514+3.47791X이었다.

  • PDF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nse (De Haan) 유생의 탈피주기별 탄소수지 (Carbon Budget during the Molt Cycle of Macrobrachium nipponense (De Haan) larvae)

  • 신윤경;진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37-246
    • /
    • 1995
  • 담수산 징거미새우, Macrobrachium nipponeue의 유생을 수온 $25^{\circ}$, 염분 $7\%o$의 일정한 조건하에서 사육하면서 섭이율, 호흡률 및 성장률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생물에너지학적 효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든 유생기간 동안 탄소의 흡수 및 분배에 대한 탄소수지를 구명하였다. 생리적, 생화학적 자료로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발생변화의 양상과 섭이율, 성장률 및 호흡률 등을 회귀방정식으로 나타내었다. 일일 섭이율(F)과 비탄소섭이율(F/C)은 대체로 탈피후기에서 최소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장율(G, G/C)은 탈피주기 동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탈피주기 동안 탄소는 초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질소는 탈피전기까지 꾸준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단백질은 탈피전기의 중기에 다소 높은 축적을 보이면서 탈피전기의 말기까지 일정량을 유지하면서 체물질을 구성하는 우점성분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유생의 섭이(F), 성장(G), 호흡(R) 및 동화량(A)의 절대값은 탈피주기동안 뚜렷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탈피주기 가운데 탈피전기로 진행하면서, 성장률보다 호흡율이 더 커졌으며, 탈피주기 동안 변화하고 있는 호흡을 대사계수, 즉 호흡이 탄소로 전환되어 이화되고 있는 부분으로 나타내었다. 탈피후기에서 R/G<1, (R1, (R>G)로 변동하였다. 부화후부터 후기 유생단계까지의 누적탄소수지를 보면, 총섭이량은 $491.54{\mu}g\;C/ind$였으며, 동화효율은 $85.3\%$ 호흡율은 $47.7\%$ 그리고 성장율은 $37.6\%$였다. 그리고 총섭이량중 동화되지 않고 소실된 양은 $72.19{\mu}g\;C/ind$로서 $14.6\%$를 차지하였다.

  • PDF

옥천대 서남부 영암과 영산포 석영편암-규암의 지질시대 (Geologic Age of Quartz Schist - Quartzite from Yeongam and Yeongsanpo Areas around Southwestern Part of Ogcheon Belt)

  • 최성자;김동연;송교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49권2호
    • /
    • pp.155-165
    • /
    • 2016
  • 옥천대 변성퇴적암 분포지역과 영남육괴와 옥천대 경계부에는 석영편암-규암층준이 협재되어 있다. 이들 석영편암-규암의 층서는 조사자에 따라 다르게 분대되어 왔으며, 지질시대 또한 시대 미상, 선캠브리아 혹은 고생대로 보아왔다. 옥천대 서남부의 영암과 영산포 도폭 역의 석영편암-규암 저어콘 연령결과를 고생대 것과 비교 분석하여 영암과 영산포 지역에 분포하는 석영편암-규암의 지질시대를 규명하였다. 연구지역의 석영편암-규암에서 저어콘 연대 분포범위는 $${\geq_-}1.8Ga$$ 이고, 집중연령대는 신시생대의 2.5 Ga 와 고원생대의 1.8 Ga로 중원생대 이후의 저어콘 연대가 결여되어 있으나, 고생대 규암은 원생대에서 고생대까지 광범위한 연령분포를 보이고 집중연령대도 고원생대, 신원생대, 고생대등 여러 곳에서 보인다. 이와 같은 통계적 분석 결과에 의하여 영암과 영산포의 석영편암 내지 규암은 고원생대 이후의 원생대지층으로 해석된다.

Inclusion effect of soybean meal, fermented soybean meal, and Saccharina japonica in extruded pellet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Reeve 1846)

  • Yun, Ahyeong;Kim, June;Jeong, Hae Seung;Lee, Ki Wook;Kim, Hee Sung;Kim, Pil Youn;Cho, Sung Hwoa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1권9호
    • /
    • pp.26.1-26.8
    • /
    • 2018
  • Inclusion effect of soybean meal (SBM) and fermented SBM (FSM) in extruded pellet for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was compared in abalone farm. Dietary inclusion effect of the combined macroalgae (MA) (Undaria pinnatifida and Hizikia fusiforme) and a single Saccharina japonica on abalone was also compared. Three thousand six hundred juvenile abalone were purchased from a private hatchery and acclimated to the experimental conditions for 2 weeks. Six 5-ton flow-through raceway tanks were used, and abalone were randomly distributed into tanks (n = 600 per tank). Three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in duplicate. Fish meal, FSM, corn gluten meal, and shrimp meal and wheat flour and dextrin were used as the protein and carbohydrate sources, respectively, in the FSM diet. MA was also included in the FSM diet. FSM and MA in the FSM diet were substituted with SBM at the expense of wheat flour and S. japonica, referred to as the SBM and SJ diets. The experimental diets were pelletized by an extruded pelleter. Water stability of nutrients in the experimental diets was monitored at 12, 24, and 48 h after seawater immersion.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to abalone once a day to satiation with a little leftover for 120 days. The retained crude protein and lipid and ash content of the extruded pellets were changed over all period of time. Weight gain and specific growth rate (SGR) of abalone fed the SBM diet were greater than those of abalone fed the FSM and SJ diets. Weight gain and SGR of abalone fed the SJ diet were also greater than those of abalone fed the FSM diet. The longest shell length, widest shell width, highest shell height, and greatest soft body weight were obtained in abalone fed the SBM diet, followed by the SJ and FSM diets. Proximates of the soft body of abalone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experimental diets. In conclusion, SBM was a superior protein source to FSM in extruded pellet for growth performance of abalone. Dietary inclusion of a single S. japonica was superior to the combined inclusion of U. pinnatifida and H. fusiforme in the production of abalone.

Perception of native Korean Speakers on English and German

  • Kang, Hyun-Sook;Koo, So-Ryeong;Lee, Sook-hyang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0년도 7월 학술대회지
    • /
    • pp.86-87
    • /
    • 2000
  • In this paper, we discuss why two different surface forms appear in loanwords for English and German /${\int}$/ In Korean, a vowel is inserted into loanwords if a consonant cannot be properly syllabified. Therefore, /${\int}$/ in some positions of loanwords trigger vowel insertion. Interestingly, /${\int}$/s in the onset cluster of English and German words were borrowed in Korean as Iful with the inserted vowel [u] whereas If Is in the coda position of English and German words were borrowed as Ifil with the inserted vowel [i]. For example, 'shrimp' is adopted as [${\int}urimphi$] whereas 'rush' is adopted as [$ra{\int}i$]. In this paper, we attempt to find out the phonetic reason for the distribution of the surface forms of /${\int}$/. We assume that since the formant frequency of [i] is higher than that of [u], the peak frequency of /${\int}$/ with the surface form of [${\int}$i] in loanwords may be higher than that of /${\int}$/ with the surface form of [${\int}u$]. We also assume that duration may be another factor for the distribution of [${\int}i$] and [${\int}u$]. Since /${\int}$/ and /u/ use lip rounding whereas /i/ doesn't, the duration for [${\int}i$] might be longer than that of [${\int}u$]. German supports our assumption. /${\int}$/ in the onset cluster is longer than /${\int}$/ in the coda position. It also has higher peak frequency than that of /${\int}$/ in the coda position. In loanwords, ${\int}$ in the onset cluster is borrowed as [${\int}u$] as in Spiegel whereas /${\int}$/ in the coda position is borrowed as [${\int}i$] as in Bosch. English, however, does not support our assumption. Peak frequency of [${\int}$] depends on the preceding vowel, not on its position in the syllable structure. If the preceding vowel is front, then the peak freuency of the following of the following /${\int}$/ is high but if the preceding vowel is back, than the peak frequency of the following /${\int}$/ is low. The peak frequency of /${\int}$/ in the onset cluster seems to be in between. As we assumed, however, the duration of /${\int}$/ in the coda position is longer than of /${\int}$/ in the onset cluster. With the mixed results, we question whether Koreans really hear two different xounds for /${\int}$/ in English words. For the future experiment, we would like to perform the perception tet for /${\int}$/ in English words.

  • PDF

유통중인 생선초밥의 오염 미생물 분석 (Microbial Contamination Analysis to Assess the Safety of Marketplace Sushi)

  • 조선경;문보연;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34-338
    • /
    • 2009
  • 어패류에 의한 식중독 발생 감소를 위하여 시장에서 유통중인 생선초밥을 대형할인매장과 일식음식점에서 수집하여 미생물 위해인자의 오염을 분석하였다. 79개의 초밥의 생선부위에서 4-6 log CFU/g의 일반세균이 오염되어 있었고 밥부위에서는 3-5 log CFU/g 로 나왔으며 광어와 새우초밥이 높은 오염을 보여주었다. 대장균군은 생선부위에서 3-4 log CFU/g이 오염되어 있었고 밥부위에는 생선부위보다 1 log CFU/g정도 낮게 나타났고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식중독 세균은 생선부위에서 Staphylococcus aureus가 17%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Bacillus cereus group은 10%로 검출되었고 밥부위에서는 S. aureus가 11%시료에서 검출되었고 B. cereus group가 8%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그리고 Salmonella와 Listeria monocytogenes도 검출되었으나 Vibrio parahaemolyticus, Clostridium perfrigens, Yersinia enterpcolotica 등은 검출되지 않았다. 생선초밥 생산유통 업체 분석에 의하면 대형할인매장의 시료에서는 B. cereus group이 13%시료에서 검출되었고, 일식음식점의 경우는 S. aureus가 30%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일반적으로 어패류 식품의 경우 V. parahaemolyticus의 오염을 우려하지만, 유통 초밥시료를 채취하여 실험한 결과 B. cereus group과 S. aureus의 오염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V. parahaemolyticus와 아울러 B. cereus group과 S. aureus의 위해 관리가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젓갈의 종류 및 첨가수준에 따른 배추 김치의 발효기간 중 특성변화 (Changes in Propertie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and Levels of Salted and Fermented Seafoods during Fermentation)

  • 김광옥;김원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24-330
    • /
    • 1994
  • 소금만으로 짠맛을 낸 김치를 대조군으로 하고 염도가 동일하도록 소금과 새우젓 또는 멸치액젓을 각각 두 수준으로 첨가하여 배추 김치를 제조하여 $20^{\circ}C$에서 발효하는 동안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의 pH는 감소하고 총산함량은 증가하다가 후기에는 그 정도가 완화되었다. 특히 발효 초기에 새우젓군의 pH 감소가 현저하였다. 환원당 함량은 전 발효기간을 통해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고젓가군, 저젓갈군의 순서로 감소되었고,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발효기간이 연장됨에 따라 malic acid와 succinic acid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증가하였다. 전 발효기간을 통하여 lactic acid는 젓갈군이 대조군보다, 고젓갈군이 저젓갈군보다 그리고 새우젓군이 멸치젓군보다 측정치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총균수와 Leuconostoc속 미생물 수는 발효가 계속될수록 증가하다가 4일 이후에는 감소하였으며, Lactobacillus plantarum의 수는 계속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 중 탄산미, 짠맛, 신맛, 군덕내는 발효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김치군이 점점 더 강하고 경도와 아삭아삭한 정도는 점점 더 약하게 평가되었으며, 젓갈군의 신맛이 대조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약간 강한 경향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