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rt-chain fatty acids

검색결과 171건 처리시간 0.024초

버섯 섭취와 장내 미생물 균총의 변화 (Changes in gut microbiota with mushroom consumption)

  • 김의진;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5-125
    • /
    • 2021
  • 버섯의 섭취는 버섯의 유용 성분에 의해 면역체계 및 장내미생물균총의 변화를 유발한다. 그중 많이 알려진 β-glucan 구조 기반 물질들은 염증매개물질의 분비는 억제하고 대식세포의 활성은 유발하여 면역력의 증진을 도와인체의 면역기능을 증진시킨다. 직접적인 유용 성분 이외의 다른 물질은 장내 미생물균총에 의해 단쇄지방산으로 변화되며, 변화된 단쇄지방산은 면역 및 다양한 질병의 완화를 유발하게 된다. 버섯이 포함하고 있는 성분은 β-glucan 외에도 장내미생물균총을 변화하게 유도하는 prebiotic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변화된 장내미생물균총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다양한 감염성 균의 감염을 막으며, 면역체계의 균형 유지를 도우며, 질병을 예방하게 된다. 국내 섭취 빈도가 높은 새송이, 표고, 느타리, 팽이, 목이, 양송이 버섯의 유용 성분의 탐색, 장내미생물균총의 변화 및 섭취 시 인체의 단쇄지방산 변화 연구는 추후 버섯의 유용 성분, 장내미생물 및 질병과의 인과관계를 풀어내는데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Fatty acids composition and lipolysis of Parmigiano Reggiano PDO cheese: effect of the milk cooling temperature at the farm

  • Piero, Franceschi;Paolo, Formaggioni;Milena, Brasca;Giuseppe, Natrella;Michele, Faccia;Massimo, Malacarne;Andrea, Summer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1호
    • /
    • pp.132-143
    • /
    • 2023
  • Objective: The aim was to study the influence of cooling milk at 9℃ at the farm versus keeping it at 20℃ on Parmigiano Reggiano cheese lipolysis. Methods: A total of six cheesemaking trials (3 in winter and 3 in summer) were performed. In each trial, milk was divided continuously into two identical aliquots, one of which was kept at 9℃ (MC9) and the other at 20℃ (MC20). For each trial and milk temperature, vat milk (V-milk) and the resulting 21 month ripened cheese were analysed. Results: Fat and dry matter and fat/casein ratio were lower in MC9 V-milk (p≤0.05) than in MC20. Total bacteria, mesophilic lactic acid and psychrotrophic and lipolytic bacteri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between the two V-milks. Regarding cheese, fat content resulted lower and crude protein higher (p≤0.05) both in outer (OZ) and in inner zone (IZ) of the MC9 cheese wheels. Concerning total fatty acids, the MC9 OZ had a lower concentration of butyric, capric (p≤0.05) and medium chain fatty acids (p≤0.05), while the MC9 IZ had lower content of butyric (p≤0.05), caproic (p≤0.01) and short chain fatty acids (p≤0.05). The levels of short chain and medium chain free fatty acids (p≤0.05) were lower and that of long chain fatty acids (p≤0.05) was higher in MC9 OZ cheese.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total and free fatty acids resulted in a clear separation among samples by seasons, whereas sligh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different milk temperatures. Conclusion: Storing milk at 9℃ at the herd affect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armigiano Reggiano, with repercussion on lipolysis. However, the changes are not very relevant, and since the cheese can present a high variability among the different cheese factories, such changes should be considered within the "normal variations" of Parmigiano Reggiano chemical characteristics.

쇠비름 즙액에서 얻은 항균성 지방산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fungal Fatty Acids from the Extract of Common Purslane(Portulaca oleracea L.))

  • 박종성;서촌정양;환무보오;편산정인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2-88
    • /
    • 1986
  • 오래 저장해 둔 쇠비를 즙액에서 5종의 항균성 물질이 분리되었으며 이들 물질이 isobutyric acid, butyric acid, isovaleric acid, valeric acid 그리고 caproic acid 등과 C4-C6의 저급지방산으로 동정되었다. 각각의 지방산은 실내실험에서 다소간에 배나무 검은무늬병균(Alternaria alternata Japanese pear pathotype)의 포자발아나 균사신장을 다같이 저해하였다. 포자발아에 대한 각각 지방산의 항균력은 예외없이 균사신장에 대한 그것보다 컸다. 예컨데 200PPM 이하의 농도에서 균사생장을 완전히 저해하는 항균성 지방산은 하나도 없었지만 caproic acid의 50ppm과 valeric acid의 200ppm은 포자발아를 완전히 억제하였다. 또한 생물검정의 결과에서 이들 지방산의 탄소시술의 길이가 길수록 더욱 높은 항균력을 보여주었으므로 탄소사슬의 길이가 항균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Tow-stage Extraction of Milk Fat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Sangbin Lim;Jwa, Mi-Kyung;Kwak, Hae-S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권3호
    • /
    • pp.202-206
    • /
    • 1997
  • To develop mil fat fractions with desirabl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hydrous milk fat (AMF) was fractionated by one- and two-stage extractions using supercritical $CO_2$(SC-$CO_2$). Tow-stage extraction of AMF was performed by first producing tow fractions, an extract and a residue at 4$0^{\circ}C$/241bar, which were subsequently used as the feed for an extraction at 6$0^{\circ}C$/241bar and 4$0^{\circ}C$/345bar, and separated into five and four fractions, respectively, based one extraction time. These fractions were quantified and analyzed for fatty acid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SHort-chain (C4~C8) fatty acids in extract fractions from an extract were 200~150% compared with those of the original AF. Long-chain (C14~C18) fatty acids in extract fractions from a residue were 118~141%. The ratio of unsaturated fatty acids in the residue fraction was 131%. Melting point ranged from 22 to 43$^{\circ}C$, iodine value 21.8 to 36.9, and saponification value 255 to 221 in the extract and residue fractions. SC-$CO_2$ fractionation of AMF by two-stage extraction offer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ractions with discrete fatty acid composition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melting point, iodine value and saponification value.

  • PDF

고콜레스테롤식에 홍화박의 첨가가 난소절제 흰쥐의 장 생리기능과 분변 Short-Chain Fatty Acid 함량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efatted Safflower Seed Powder on Intestinal Physiology and Fecal Short-Chain Fatty Acids in Overiectomized Female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s)

  • 최영선;조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28-534
    • /
    • 2001
  •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role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in preventing and treating osteroporosis recently. Although numerous studies were done on effects of safflower oil, no attention was given to the role of dietary fiber of safflower seeds.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physiological significance of defatted safflower seed as a source of dietary fiber. Sprague Dawley female rats were assigned one of 5 groups: ovariectomized control (Ovx-control) group and ovariectomized rats 15% (Ovx-ss15) and 30% defatted safflower seed (Ovx-SS30), sham-operated (Sham) group and a normal group. Cholesterol was supplemented to all diets at 0.5% except the normal diet. Ovariectomized rats were pair-fed isocalorically to the Sham group. Ovariectomy caused heavier body weight, but feeding 30% safflower seed brought back to the level of Sham group. Activities of disaccharidases of jejunal mucosa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Ovx-control group compared to those of Sham, and supplementation of safflower seed tended to increase the activities. Fecal weight of Ovx-SS15 and Ovx-SS30 were almost twice as those of Ovx-control Sham. Propionic acid and butyric acid concentrations per g of feces of Ovx-SS15 and daily excretion of these fatty acid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to those of Sham and Ovx-control. In concentration defatted safflower seed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fecal bulk and short chain fatty acid production in large intestine of rats.

  • PDF

휘발성 Branched-Chain과 n-Chain Fatty Acids가 육고기의 종을 결정하는 향기 성분으로서의 역할 (Role for Volatile Branched-Chain and Other Fatty Acids in Species-Related Red Meat Flavors)

  • Jeong-Ok Kim;Yeong L. Ha;Robert. C. Lindsay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00-306
    • /
    • 1993
  • 2-Methylbutanoic, 3-methylbutanoic, 4-methylpentanoic, 2-ethylhexanoic, 4-methylhexanoic, 4-methyloctanoic, 6-methyloctanoic, 4-ethylhexanoic. 4-methylhexanoic 및 2-ethylhexanoic acids를 포함하는 다수의 volatile branched-chain fatty acids(VBCFAs)가 쇠고기, 돼지고기, 염소고기(미국산 흰염소고기, 한국산 흑염소고기), 양고기로부터 분리, 동정되었다. 쇠고기 향은 amino acid, carbohydrate, 그리고 lipid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향기성분에 의해 이루어지는 기본 meaty flavor로 결정되어 지는 반면, 염소고기가 양고기의 경우는 쇠고기의 기본향에 4-ethyloctanoic acid와 4-methyloctanoic acid의 독특한 노린내가 더해지므로 염소고기나 양고기 특유의 향을 내었다. 돼지고기는 3-methylbutanoic acid 함량이 다른 세종류에 비해 높고 3-methylbutanoic acid 특유의 꼬린냄새는 돼지고기의 기름층으로부터 나는 unclean flavor 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염소고기는 C5-C7 chain length의 volatile branched 및 n-chain fatty acids를 적게 함유하고 있는 반면 4-ethyloctanoc acid는 염소고기의 노린내를 내는 결정적인 화합물이었다. 4-Methyloctanoic acid는 양고기의 sweaty-muttony flavor를 내는 중요한 화합물이었으며 염소고기와는 달리 C5, C6, 그리고 C7 branched-chain fatty acids 도 상당량 함유되어 있었다. 한국산 흑염소고기와 미국산 흰염소고기 중에 들어있는 VBCFAs의 종류는 같으나, 한국산 흑염소고기가 미국산 흰염소고기 보다 노린내가 강하며 4-ethyloctanoic 의 함량도 높았다.

  • PDF

The impact of cancer cachexia on gut microbiota composition and short-chain fatty acid metabolism in a murine model

  • Seung Min Jeong;Eun-Ju Jin;Shibo Wei;Ju-Hyeon Bae;Yosep Ji;Yunju Jo;Jee-Heon Jeong;Se Jin Im;Dongryeol Ryu
    • BMB Reports
    • /
    • 제56권7호
    • /
    • pp.404-409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ncer cachexia and the gut microbiota,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cancer on microbial composition. Lewis lung cancer cell allografts were used to induce cachexia in mice, and body and muscle weight changes were monitored. Fecal samples were collected for targeted metabolomic analysis for short chain fatty acids and microbiome analysis. The cachexia group exhibited lower alpha diversity and distinct beta diversity in gut microbiota,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Differential abundance analysis revealed higher Bifidobacterium and Romboutsia, but lower Streptococcus abundance in the cachexia group. Additionally, lower proportions of acetate and butyrate were observed in the cachexia group. The study observed that the impact of cancer cachexia on gut microbiota and their generated metabolites was significant, indicating a host-to-gut microbiota axis.

인유(入乳) 및 우유(牛乳)의 지방산 조성에 관하여 (Fatty Acid Composition of Human and Cow's milk)

  • 윤태헌;임경자;김을상;정우갑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5-20
    • /
    • 1982
  • 모유 영양에 관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초유 및 성숙유의 총 지방질 함량을 측정함과 아울러 그 지방산 조성을 gas liquid chromatography 로 분석하였으며, 비교로 시유의 지방산 조성도 분석하였다. 사람의 초유의 총 지방질 함량은 성숙유의 그것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인유 지방산 중 10 :0, 12 : 0, 14 : 0 등의 지방산은 수유 기간이 경과(초유에서 성숙유로)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0 : 2, 20 : 4, 22 : 5 등의 extra-long chain 고도불포화 지방산은 성숙유에서보다 초유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초유 및 성숙유에서 가장 많은 필수 지방산은 18 : 2였으며, 초유와 성숙유 간에 유의차는 없었고 10여년전 보고치보다 높았다. 시유의 지방산 조성을 인유(성숙유)의 그것과 비교하여 본 바 단쇄, 중쇄, 장쇄 지방산들이 유의하게 높은 경향이었고, 장쇄 불포화 지방산들은 유의하게 낮은 경향이었다.

  • PDF

식용 돼지췌장 리파제가 저급지방산 생성과 체다치즈 풍미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ood Grade Porcine Pancreatic Lipase on the Production of Short-Chain Fatty Acids and its Contribution)

  • 곽해수;전익준;박정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8-254
    • /
    • 1990
  • 식용 돼지췌장 리파제를 두 가지 함량으로 치즈제조시 혼합하여 $7^{\circ},\;13^{\circ},\;21^{\circ}C$에서 숙성시켰다. GC 분석결과 효소처리한 치즈에서는 Control에서 보다 훨씬 많은 양의 저급지방산이 생성되었다. 돼지췌장 리파제를 많이 넣어 $21^{\circ}C$에서 숙성시킨 치즈의 경우 1주 후에 medium flavor 치즈, 3주 후에 거의 sharp flavor 치즈가 특별한 결함없이 생산되었다. 또한 이 효소를 조금 넣은 치즈에서는 양호한 질의 치즈가 많았는데, $7^{\circ},\;13^{\circ},\;21^{\circ}C$에서 3주부터 15주의 숙성기간 중 medium과 sharp flavor 치즈가 생산되었다. 통계분석에 의하면 체다풍미와 caproic acid의 함량에서, 또 체다풍미와 butyric acid, caproic acid 혼합함량 상호관계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적합한 조건을 사용한다면 돼지췌장 리파제는 체다치즈의 숙성을 촉진시키는데 사용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식물병원균에 대한 몇가지 저급지방산의 항균특성 (Antifungal Properties of Some Short Chain Fatty Acids against Phytopathogenic Fungi)

  • 박종성;갑원계개;서촌정양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89-95
    • /
    • 1986
  • 쇠비름 즙액에서 얻은 5종의 저급지방산인 isobutyric(C-4), butyric(C-4), isovaleric(C-5), valeric (C-5), caproic(C-6) acids등이 그들 사이에 항균력의 차이는 있었지만 공시한 25종의 식물병원균의 포자발아나 균사생장에 대하여 폭넓은 항균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각각의 지방산의 항균력은 포자발아검정이나 균사신장검정에 있어서 공시균주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주었다. 포자발아검정에 공시한 17종의 병원균과 균사신장검정에 공시한 16종의 병원균은 그들의 포자발아나 균사신장을 제각기 완전히 저해하는 각각의 지방산의 최저저해농도(MIC)에 따라 3군으로 나눌 수 있다. 이밖에도 이 연구의 결과에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시할 수 있었다. 1) Caproic acid는 공시균의 균사신장보다 포자발아에 대하여 더욱 강한 독성을 보였으나 약간의 예외는 있었지만 그 밖의 지방산은 이와같은 독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2) 지방산의 사슬이 길수록 항균력도 강하다. 3) n-Butyric acid와 n-Valeric acid는 그들의 이성체보다 항균력이 강하다. 4) 각각의 지방산은 부생균의 포자발아나 균사신장에 대한 것보다 활물기생균이나 몇가지 조건적 기생균의 그것들에 대하여 더욱 강한 독성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