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oot

검색결과 2,998건 처리시간 0.027초

고구마의 액아배양에서 생장조절물질이 기관분화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Regulators on the Organ Differentiation and the Growth from the Axillary Bud of Sweetpotatoes in Vitro Culture)

  • 장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1-408
    • /
    • 1984
  • 우리나라에서 고구마 장려품종인 홍미와 신미를 액아배양시 explant의 크기 NAA, BA 및 kinetin의 농도가 기관분화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저 본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5mm되는 explant 배양이 2mm explant 배양보다 기관분화 및 생육이 좋았으며 홍미는 MS 배양에 NAA 0.1mg/$\ell$와 kinetin 1mg/$\ell$을 조합처리할 때 신미는 MS배지에 NAA 0.1mg/$\ell$와 kinetin 1mg/$\ell$을 조합처리할 때와 kinetin 1mg/$\ell$, BA 0.1mg/$\ell$을 단독처리할 때 shoot의 분화가 좋았다. 2. 뿌리분화는 홍미와 신미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NAA 0.lmg/$\ell$와 kinetin 1mg/$\ell$을 조합처이한 배지에서 뿌리수와 뿌리길이가 증가하였다. 3. BA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정상 식물체의 출현이 많았으며 한 개의 explant에서 여러개의 shoot의 길이가 짧았다. 4. 이차계대배양에서 shoot의 분화 및 생장은 NAA 0.1mg/$\ell$와 kinetin 1mg/$\ell$가 첨가된 배지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고 뿌리의 분화는 0.1 mg/$\ell$ BA에 첨가된 배지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Efficient Micropropagation of Pear Germplasm Using Soot Tips and Nodal Explants

  • Yi, JungYoon;Lee, GiAn;Chung, JongWook;Lee, YoungYi;Gwag, JaeGyun;Lee, SeokYoung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90-696
    • /
    • 2015
  • We micropropagated pear (Pyrus species) using shoot tips and nodal explants from three pear genotypes. The ability to establish shoot tip cultures, proliferate shoots, induce rooting, and acclimatize the resulting plantlets are all elements of in vitro micropropagation. Shoots were induced from shoot tips on Murashige and Skoog medium (MS) with five different plant growth regulator combinations. The highest shoot formation rates were achieved for the three genotypes using MS supplemented with 1.0 mg/L N6-benzyladenine (BA) and 0.1 mg/L gibberellic acid (GA3). The maximum shoot number and shoot length for the three cultivars were recorded with 2.0 mg/L BA and 0.2 mg/L indole-3-butyric acid (IBA) in multiplication medium using nodal explants produced from microshoots. Nodal explants with one or two axillary buds cultured for three weeks initiated roots on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1-naphthaleneacetic acid (NAA) or/and IBA in half-strength MS medium for adventitious rooting. The highest rooting response was with the combination of 0.2 mg/L NAA and 0.2 mg/L IBA. A combination of NAA and IBA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rooting ratio over NAA or IBA alone. In this medium, the root formation rate according to ranged from 68.9% for the BaeYun No. 3 genotype to 51.8% for the Hwanggeum genotype. We also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concentration the polyamine phloroglucinol in rooting medium. For all three genotypes, the highest rooting ratio, longest root length, and greatest root number were observed in the treatments with 75-150 mg/L phloroglucinol. Most rooted plants were acclimatized successfully.

한라산 구상나무림 복원을 위한 묘목식재시험 (Experimental Planting of the Seedlings for the Restoration of Abies koreana forest in Hallasan)

  • 김갑태;추갑철;고정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07-212
    • /
    • 2001
  • 구상나무의 묘목을 이식하여 활착률을 높이는 방법을 찾고자, 한라산국립공원 어리목대피소(해발 900m)에서 양묘된 2~6년생 묘목을 식재시기별(하기와 춘기), 지표처리별(코이어 매트. 코이어 네트 및 무처리)로 시험식재하고 활착률과 신초생장량을 조사.비교하였다. 하기식재의 경우 묘목의 연령이 높을수록 활착율이 높았으며, 지표처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춘기식재의 경우에는 묘목의 연령이 낮을수록 활착률이 높았으며, 지표처리 및 차이는 없었다. 하기식재된 구상나무 묘목의 신초생장에 있어서는 지표처리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인정되었다. 코이어 매트를 처리한 시험구가 평균 2.11mm로 가장 많이 성장하였고, 대조구는 평균 1.47mm 성장하는 데 그쳤다. 묘령은 신초생장에 영향이 없었으며. 상대적으로 3년생 묘목을 코이어 매트 처리한 경우가 2.26mm로 가장 잘 자랐다. 춘기식재된 구상나무 묘목의 신초생장에 있어서는 지표처리나 묘령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 PDF

Comparison of the rheological and diffusion properties of some gelling agents and blends and their effects on shoot multiplication

  • Dobranszki, Judit;Magyar-Tabori, Katalin;Tombacz, Etelka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5권4호
    • /
    • pp.345-352
    • /
    • 2011
  • The rheological and diffusion properties of blends of agar/guar gum, agar/Phytagel and Phytagel/guar gum were analysed and compared to those properties of agar or Phytagel applied alone at two different gelling concentrations. Moreover, their effects on the shoot multiplication of the apple scion Galaxy and two black locust clones (SF63, SF82) were studied, and their cost benefits over agar were calculated. Elastic hydrogel formation was demonstrated for each blend by rheological measurements, but the gel strength depended on the types and concentrations of the applied gelling agents and blends. Guar gum was able to speed the diffusion in the different blends, and diffusion was independent of gel strength. The rate of shoot multiplication increased (to 8.9 shoots per explant) and the percent of hyperhydrated shoots decreased (to 12%) when the blend of agar/guar gum was used for the shoot multiplication of apple. Similarly, the highest multiplication rates of black locust clones (between 3.9 and 4.1) were obtained on media solidified by blends containing guar gum. The best shoot performance with the lowest percent of hyperhydrated shoots (11-12% in SF63 and 2-23% in SF82) was achieved using agar alone or the agar/guar gum blend. The shoot multiplication was improved of both species and the production cost was reduced by 42% by using the agar/guar gum blend.

Rapid Micropropagation by Axillary Buds Cultures of Smilax china

  • Song, Hyun-Jin;Sim, Seon-Jeong;Jeong, Mi-Jin;Heo, Chang-Mi;Kim, Hak-Gon;Jeong, Gwon-Yong;Heo, Su-Yeoung;Choi, Yong-Weon;Park, Geun-Hye;Yang, Jae-Kyung;Moon, Hyun-Shik;Choi, Myung-Suk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39-44
    • /
    • 2010
  • An efficient method for the rapid propagation of Smilax china from axillary buds was established. Plants with thick leafage were selected from Korea native S. china population. Axillary buds of S. china collected from selected plant and were cultured in various culture media (2MS, MS, 1/2MS, WPM, B5 and SH medium). Shoot was induced from axillary bud on MS basal medium after 4 weeks of culture. 1/2MS medium showed a higher growth rate than those of the others, while the lowest shoot growth was obtained in 2MS medium. Among the sucrose concentrations, 5% sucrose was the optimum level for shoots growth from axillay buds. Among cytokinins, $0.5mgL^{-1}$ 6-benzylaminopurine (BAP) treatment showed the best performance on shoot multiplication, yielding average shoot multiplication forming about 2.4. Rooting was induced directly near the base of the shoot on 1/2MS medium containing with three-auxins ${\alpha}-napthalene$ acetic acid (NAA), indole acetic acid (IAA) and ${\beta}-indolebutyric$ acid (IBA) (0.5 and $1.0mgL^{-1}$). The $1.0mgL^{-1}$ IBA treatments induced earliest rooting with maximum of root number and root growth. These rooted plantlets were successfully transferred to pots for 4 weeks hardening process, and were transferred to soil with above 90% survival rate.

Physiological Response to Salinity Stress of Japonica/Indica Lines Tolerant to Salt at Seedling Stage

  • Ko, Jong-Cheol;Lee, Kyu-Seong;Kim, Ki-Young;Choi, Weon-Young;Kim, Bo-Kyung;Shin, Woon-Cheol;Ko, Jae-Kwon;Yum, Song-Joong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391-398
    • /
    • 2011
  • Physiological responses to salinity stress were evaluated in six rice genotypes differing in their tolerance to salinity at the seedling stage. Susceptible genotypes ('Dongjingbyeo', 'Hwayeongbyeo', and 'IR29') showed salt injury symptoms (mean 8.8) and higher visual score under salt stress than that of tolerant ones ('Pokkali', 'IR74009', and 'IR73571'). As salinity affects growth and physiological parameters, the six genotypes thu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because of salt stress. Tolerant Japonica/Indica bred lines ('IR74009', 'IR73571') showed lower reduction, 33.9%, 34.5%, and 50%, respectively, in plant seedling height, dry shoot weight and dry root weight than those of the susceptible Japonica varieties ('Dongjingbyeo', 'Hwayeongbyeo'), and the highest reduction under salt stress was observed in dry root weight, followed by dry shoot weight and seedling height, respectively. Shoot $Na^+$ concentration of IR74099 and IR73571 was lower than that of the susceptible varieties, 'Dongjinbyeo' and 'Hwayeongbye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enotypes in root $Na^+$ concentration. Shoot $K^+$ concentration showed a reverse tendency compared to shoot $Na^+$ concentration. IR74009 and IR73571 had considerably lower ratio compared to 'Dongjinbyeo' and 'Hwayeongbyeo' in $Na^+/K^+$ ratio of their shoot and was not different the tolerant check, 'Pokkali'.

헛개나무의 캘러스 형성 및 multiple shoot 유기 (Callus formation and multiple shoot induction of Hovenia dulcis Thunb.)

  • 엄승희;강원희;신동용;허권;최원철;이현용;유창연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37-24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헛개나무 조직 배양에서 체세포배 유토 및 식물체 재분화를 위한 적절한 배지, 생장조절물질, 탄소원 그리고 배양 환경을 조사하였으며 대량 번식 시스템을 위해 체세포 배로부터 식물체로 재분화 하기전 세포 동조화와 건실한 유묘 생산에 최적인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다. 강원도 양양 헛개나무 자생지에서 채취한 종자를 배배양하여 기내 발아시킴으로 기내 식물체를 얻었으며 이를 본실험에 이용하였다. 기내 발아후 7-14일 된 식물체의 자엽과 잎 절편을NAA를 처리한 배지에 배양했을 때 callus 상태를 거치지 않고 직접 shoot가 유기되었는데 NAA 0.5mg/에서 43.6%로 형성율이 가장 높았으며 절편체 당 shoot의 수도 2.8개였다. NAA와 BA 조합처리 하였을 때 BA 0.1mg/ + NAA 1mg/에서 38.1%의 형성율을 보였으며 절편체 당 shoot의 수는 4개 이상으로 유기 되었다. 체세포배는 NAA와 2,4-D의 단독처리 또는 BA와의 조합처리에서 발생하였으며 직접 체세포배 또는 배발생 캘러스가 형성하였다. BA 0.1mg/ + 2,4-D 1mg/ 또는 BA 0.1mg/ + NAA 1mg/ 에서 발생한 배발생 캘러스의 생장과 성숙 및 발아에 최적 배양 조건을 조사하였을 때 GA3 1mg/ 을 처리하여 배 발아를 촉진시켰으며 자엽은 발달하지 못하고 하배축이 신장하여 유근이 발생한 형태의 유묘를 생산하였다.

마늘종의 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y of Garlic (Allium sativum L.) Shoots)

  • 강민정;윤환식;신정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4호
    • /
    • pp.129-139
    • /
    • 2012
  • 마늘종의 영양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생 마늘종과 데친 마늘종의 이화학적 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생 마늘종의 수분은 $85.14{\pm}0.35%$, 조단백 및 조지방은 $0.79{\pm}0.26%$$2.96{\pm}0.03%$였으며 비타민 C는 생 마늘종이 $7.07{\pm}0.84mg/100g$으로 더 높았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데친 마늘종에서 더 높아 각각 $17.89{\pm}1.46$$8.68{\pm}0.24mg/100g$이었다. 총 클로로필 함량은 생 마늘종이 $6.86{\pm}0.60mg/100g$이었으며 데친 마늘종에서는 $6.70{\pm}0.46mg/100g$으로 유의차가 없었다. Total pyruvate는 생 마늘종이 $24.63{\pm}1.59mM/g$으로 데친 마늘종에 비해 높았고 thiosulfinate는 생 마늘종이 $183.76{\pm}26.56mM/g$으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알리신 함량은 데친 마늘종이 생 마늘종에 비해 45%나 높게 측정되었다. 무기물 중 칼륨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총량은 생 마늘종에서 더 높았다. 마늘종의 생리활성 규명의 일환으로 생 마늘종과 데친 마늘종으로 물과 주정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여 각 추출물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한 결과, 총 페놀 화합물은 $3.49{\pm}0.11{\sim}3.75{\pm}0.29mg/100g$으로 유의차가 없었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79{\pm}0.01{\sim}3.68{\pm}0.01mg/100g$으로 데친 마늘종의 물 추출물이 가장 높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데친 마늘종 물 추출물의 소거능이 $85.09{\pm}0.28%$로 가장 높았다. 항균활성은 생 마늘종 물 추출물이 가장 높아 실험된 4종의 균주 모두에 항균활성이 있었으나 다른 추출물에서는 활성이 미약하거나 없었다.

휴면 정도 및 탄소 함량이 '후지' 사과나무 과대지의 내동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ormancy Level and Carbon Concentration on Freezing Hardiness in Bourse Shoot of 'Fuji' Apple Tree)

  • 권헌중;박무용;송양익;사공동훈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1-161
    • /
    • 2016
  • 본 시험은 휴면 정도 및 탄소 함량이 사과나무의 과대지 내동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실시하였다. 시험재료는 M.26과 M.9에 접목된 성목기 '후지' 사과나무의 과대지였다. 과대지의 휴면 정도는 자발휴면기(1월말), 자발휴면 타파 초기(2월초), 자발휴면 타파 후기(2월말), 발아기(3월말) 및 개화기(4월말)로 구분 하였다. 저온처리 범위는 $0^{\circ}C$부터 $-40^{\circ}C$ 사이였다. 탄소 함량의 차이에 따른 내동성은 갈색무늬병에 의해 낙엽이 심하게 발생한 '후지'/M.9 사과나무(낙엽구)와 과다결실에 의해 평균 신초장이 20cm 이하였던 '후지'/M.9 사과나무(수세가 약한 시험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과대지의 내동성은 자발휴면 타파 후에 약해졌다. M.9와 M.26에 접목된 '후지' 사과나무 과대지의 탄소 함량의 차이는 없었으며, M.9과 M.26 대목에 접목한 사과나무 과대지의 내동성 차이는 없었다. 건전구에 비해 낙엽구의 과대지는 C/N율이 낮았고, 수세가 약한 시험구는 탄소 함량이 낮았다. 이러한 결과에 의해 낙엽구와 수세가 약한 시험구의 내동성은 건전구보다 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