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p recycling conven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8초

IMO 선박재활용협약과 관련 당사자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akeholders' Strategies toward IMO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Environmentally Sound Ship Recycling)

  • 고현정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45-352
    • /
    • 2009
  • 인도, 방글라데시 동의 저개발 국가에서 해체되고 있는 선박에 의해 해양환경 및 근로자의 안전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오랫동안 제기 되어 왔다. 이에 따라 IMO는 선박 재활용 관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8년부터 노력해 왔으며 최종적으로 올해 상반기에 국제적 강제수단인 선박재활용협약을 채택할 계획이다. 주요 내용은 선박의 운향효율과 무관하게 친환경적 선박의 설계 구조 운항, 근로자의 안전 및 친환경적 재활용시설의 운영, 그리고 선박재활용을 위한 강제기준을 설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친환경적으로 선박을 재활용하는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협약의 주요내용 및 발효시점과 관련 당사자들이 이행해야 할 사향을 분석함으로써 사전에 충분히 검토되어 효과적으로 이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박 재활용에 관한 국제동향 및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International Trend and Korean Measures regarding Ship Recycling)

  • 윤종휘;국승기;임재동;하민재;문정환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69-75
    • /
    • 2007
  • 국제적으로 재활용에 관한 지침서들이 채택되고 있다. UNEP는 바젤협약을 채택하여 친환경적인 시설의 이용과 권고사항 들을 제공하며, IMO에서는 선박재활용 지침서를 채택하여 작업자의 안전, 오염물질의 배출방지 방안, Green Passport 등을 소개하고 있으며, 향후 채택될 IMO협약 초안 또한 준비중이며, IMO는 선박재활용시 안전과 건강에 관한 지침서를 채택하여 작업자에 대한 안전관리체계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이러한 국제적 흐름에 역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국내의 기준 또한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해체되는 선박의 재활용에 관한 국제적인 동향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고, 선박재활용에 관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선박 재활용에 관한 국제동향 및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International Trend and Korean Measures regarding Ship Recycling)

  • 윤종휘;임재동;하민재;박영남;국승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21-226
    • /
    • 2009
  • 국제적으로 선박의 재활용에 관한 지침서들이 채택되고 있다. UNEP는 바젤협약을 채택하여 친환경적인 시설의 이용과 권고사항들을 제공하며, IMO에서는 선박재활용 지침서를 채택하여 작업자의 안전, 오염물질의 배출방지 방안, Green Passport 등을 소개하고 있으며, 향후 채택될 IMO협약 초안 또한 준비중이며, ILO는 선박재활용시 안전과 건강에 관한 지침서를 채택하여 작업자에 대한 안전관리체계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이러한 국제적 흐름에 역행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국내의 기준 또한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해체되는 선박의 재활용에 관한 국제적인 동향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고, 선박재활용에 관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echnological and economic study of ship recycling in Egypt

  • Welaya, Yousri M.A.;Abdel Naby, Maged M.;Tadros, Mina Y.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4권4호
    • /
    • pp.362-373
    • /
    • 2012
  • The ship recycling industry is growing rapidly. It is estimated that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s (IMO) decision to phase-out single hull tankers by 2015 will result in hundreds of ships requiring disposal. At present, the ship recycling industry is predominantly based in South Asia. Due to the bad practice of current scrapping procedure, the paper will highlight the harm occurring to health, safety and environment. The efforts of the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Committee (MEPC) which led to the signing of the Hong Kong International Convention are also reviewed. The criteria and standards required to reduce the risk and damage to the environment are discussed and a proposed plan for the safe scrapping of ships is then presented. A technological and economic study for the ship recycling in Egypt is carried out as a case study. This includes the ship recycling facility size and layout. The equipment and staff required to operate the facility are also evaluated. A cost analysis is then carried out. This includes site development, human resources, machineries and equipment. A fuzzy logic approach is used to assess the benefits of the ship breaking yard. The use of the fuzzy logic approach is found suitable to make decisions for the ship breaking industry. Based on given constraints, the proposed model has proved capable of assessing the profit and the internal rate of return.

선박재활용 협약의 국내법상 수용방안 연구 - 해양경찰 업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eption of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 and Environmentally Sound Recycling of Ships in Korea Law - Focusing on Coast Guard's Duties -)

  • 최정호;정연부;오정우;국승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59-470
    • /
    • 2010
  • 국제해사기구의 선박재활용 국제협약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부분을 연구하고, 해양경찰의 현 실태를 분석하여, 선박재활용 분야에서 해양경찰이 새로이 담당하여야할 업무 부분을 중심으로 국내법상 수용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해양경찰은 해양환경의 보호와 직접적이면서도 밀접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므로, 해양경찰이 담당할 업무의 법적근거를 마련함으로써, 새로운 업무영역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양환경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담당자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동북아 역내의 지속가능한 선박해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ip Recycling in Northeast Asia for Sustainable Future)

  • 김성국;이진욱
    • 무역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1-140
    • /
    • 2021
  • The ship recycling or scrap is a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vessels life cycle has ended in the shipping industry. Scrap are greatly affected by freight rates due to ship demands. Not only that, environmental regulation and economic scale vessel demand are processes that must exist in the shipping industry as they obtain management for existing vessels. In the past, shipbreaking yard had tried to work without protection for poverty, without poor working conditions and facilities to prevent the emission of harmful substances. However, the issue of environmental pollution has been raised the Basel and Hong Kong Convention have been adopted, and a new replacement of the ship scrap that induces serious pollution is required. In this study, 165 countries were analyzed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determining the ship solu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which is a measure of environmental regulation,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f ship scrapped volume. The determinant of whether lower labor cost can be secured is more correlated with population than GDP per capita.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mean that if environmental regulations for ship scrap of the future are strengthened, the status of Bangladesh and Pakistan, which currently account for half of the world's ship recycling, may change.

환경적으로 건전한 선박 재활용에 관한 국제 동향 (International Trend in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f Ships Recycling)

  • 윤종휘;국승기;임재동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1-17
    • /
    • 2008
  • 우리나라는 국적외항상선의 수가 2006년 1월 기준으로 546척, 13,716,733 G/T에 이르는 세계 제 8위의 해운강국이다. 선박은 건조시로부터 25년에서 30년 정도 운항하면 그 수명을 다해 다른 용도로 변경되어야한다. 수명이 다 된 노후 선박의 처리방법으로 재활용이 가장 나은 방범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환경적 규제와 노동 규제에 의해 현재 선진국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가 않고 비교적 법규제가 느슨한 개발도상국으로 옮겨지고 있으나 국제적으로는 선박도 하나의 폐기물로 보고 국가간 이동을 금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해체산업현장의 열악한 작업환경과 환경피해의 심각성 해결을 위한 국제적인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나. IMO, UNEP, ILO 에서는 선박의 해체 작업에 참여하는 작업자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 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박내의 유해물질을 목록화하여 유해물질을 관리하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선박의 재활용과 관련한 바젤협약, IMO Guideline, ILO Guideline, IMO Convention Draft를 통해 세계적인 추세를 알아보았다.

  • PDF

선박에서의 석면사용금지와 관련 당사자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y of Parties Concerned with regard to the Ban of the Use of Asbestos on Ships)

  • 하원재;김종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79-185
    • /
    • 2014
  • 선박에서의 석면사용은 SOLAS 규정에 의거 2011년 1월 1일부터 전면 금지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선박설비기준에서도 동일한 내용으로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규정의 내용이 선언적이며 구체적으로 사용된 석면의 발견, 제거 및 확인에 대한 방안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선박재활용협약, IMO 회보 및 육상에서의 석면안전관리법의 내용을 검토하여 각 관련당사자들의 대응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정부 및 선급단체는 조사대상 선박의 지정, 석면관리 기준 및 석면처리 전문가의 지정 등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여야 하며, 조선소 및 기기 제조자는 그들의 제품에 석면이 사용되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이를 문서화하여야 한다. 또한 선주 및 선박관리자는 선박의 안전경영시스템에 석면의 선내 사용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