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allow Water Fish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초

삼중자망에 의한 삼천포 신수도연안 천해어류 군집의 구조 (Fish assemblage collected by gill net in the coastal shallow water off Shinsudo, Samchonpo)

  • 김종관;강용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9-110
    • /
    • 1991
  • 본 연구는 연안생물군집에서 먹이 그물과 영양단계간 물질의 이동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경상남도 삼천포시 신수도 연안에서 1차적으로 어류군집의 구조를 파악한 것이다. 어류는 1984년 2월부터 1985년 1월 사이에 삼중자강으로 해월 1회이상 채집하였다. 조사해역에서 동정된 어종수는 32종이며, 월평균 출현종수는 11종이었다. 이 중 연중 출현하면서 풍도가 높은 어종은 노래미, 쥐노래미, 볼락 및 농어이었고, 기타 어종은 특정 계절에 국한하여 일시적으로 출현하였다 어류군집에서 이들 4종이 차지하는 연평균 조성비는 개체수에서 $73.9\%$, 중량에서 $78.1\%$였다. 채집시기중 5월에 출현량이 가장 많았고, 1월에 가장 적었다. 월평균 종다양도 지수는 1.856이었고, 종다양도 지수가 가장 높은 달은 10월(H'=2.255), 가장 낮은 달은 4월이었다(H'=1.340). 그리고 우점 4종의 연령조성을 보면, 노래미와 볼락은 0세부터 4세까지, 쥐노래미는 0세부터 3세까지, 농어는 0세부터 2세까지이다.

  • PDF

The Field Observations on the Littoral Swarming of Cladocera (Scapholeberis kingi Sars 1903) and the Correlation with Environmental Factors

  • La, Geung-Hwan;Jeong, Hyun-Gi;Kim, Myoung-Chul;Kim, Hyun-Woo;Joo, Gea-Jae
    • 생태와환경
    • /
    • 제40권4호
    • /
    • pp.581-585
    • /
    • 2007
  • Swarm formation of Scapholeberis kingi Sars 1903 was observed in a shallow reservoir on 27 May 2007 (Dongpan Reservoir) for the first time. Dense swarms composed of asexual females, only occurred during daytime (13:00-17:00, local time) at the littoral zone. Correlation between density of S. kingi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ater temperature and density of juvenile fish were positively significa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swarming of S. kingi seems to be induced for predator avoidance than increase of mating chance, and water temperature may affect their swarming behavior.

Diel Pattern of Littoral Swarming in Moina macrocopa and Impact of Juvenile Fish Density

  • Jeong, Hyun-Gi;La, Geung-Hwan;Kim, Hyun-Woo;Jang, Min-Ho;Jeong, Kwang-Seuk;Yoon, Ju-Duk;Joo, Gea-Jae
    • 생태와환경
    • /
    • 제43권4호
    • /
    • pp.513-517
    • /
    • 2010
  • The diel swarming of Moina macrocop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were evaluated in a shallow reservoir. The littoral density of Moina macrocopa maintained low from night to noon, reached maximum density at the afternoon with compact swarms at the waters' edge, and dispersed after sunset. The recruitment of Moina macrocopa and changes of water temperature (r=0.709, p<0.001) and juvenile fish density (r=0.511, p=0.002) in the littoral zon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After the induction of diel horizontal migration toward littoral zone, therefore, direct juvenile fish predation pressure should be induced Moina macrocopa swarming.

천수만 어류의 종조성 변화 3. 부어류 (Change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honsu Bay 3. Pelagic Fish)

  • 이태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654-664
    • /
    • 1998
  • 1992년 3월에서 1993년 1월 사이 만입구에 설치된 소형정치망 어획 자료를 수집하여 천수만 부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고, 1981$\~$82년 자료와 비교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63종의 어류가 출현하였고, 멸치(Engraulis japonicus), 까나리 (Ammodytes penonatus), 횐베도라치 (Enedrias fangi) 및 밴댕이 (Sardinella zunasi)가 우점하였다. 봄에는 횐베도라치의 치어와 멸치, 까나리, 밴댕이 등의 성어가 대량 가입되었으며, 이 어종들은 이른 여름에 그 수가 감소하였다. 8월부터 봄에 산란부화한 부어류들의 유어가 가입하여 높은 생체량을 보였으며, 늦가을부터는 이 어류들이 월동하기 위하여 외해로 빠져나가 생체량이 감소하였다. 본 조사의 종조성의 계절변동은 1981$\~$82년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양적으로는 1981$\~$82년에 비하여 높았다. 이것은 1992년 봄과 가을에는 평년 수온에 비하여 약 $2^{\circ}C$ 정도가 높은데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주둥치 (Leiogathus nuchalis)의 증가는 수질의 변화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충주호에서의 쏘가리와 메기의 이동범위 및 행동 (Movement range and behavior of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and catfish (Parasilurus asotus) in Chungju Lake)

  • 강경미;신현옥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6권2호
    • /
    • pp.148-15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the habitat environment of mandarin fish (Siniperca schezeri) and catfish (Parasilurus asitus) with acoustic telemetry method in Chungju Lake, Korea. Mandarin fish tended to stay within 1km from the release points in downstream, and had a strong diurnal behavior. They approached to the lakefront at night. They also preferred to stay at deep water off the lakefront. The average swimming speed was faster at night (0.4BL/s) than during a day (0.2BL/s). They swam the shallow water area at night. Catfish frequently moved between upstream and downstream. Catfish tended to act during a day. The average swimming speed was faster during a day (0.3BL/s) than at night (0.2 BL/s). The average swimming depth was 14.3m, and they tended to float about 4m during a day.

아산만 천해역 수심에 따른 어류 종 조성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with Depth in Asan Bay)

  • 황학빈;이태원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2-61
    • /
    • 1999
  • 1997년 10월부터 1998년 8월까지 2개월 간격으로 아산만 입구 입파도 부근에서 수심 1. 5m 이하인 정점 1에서는 갓후리그물로, 수심 5~7 m인 정점 2와 15 m 이상인 정점 3에서는 beam trawl로 어류를 채집하여 수심에 따른 종 조성의 계절 변동을 분석하였다. 총 43종이 채집되었으며, 정점 1에서 13종, 정점 2에서 28종, 정점 3에서 30종이 채집되었고, 밀도도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정점 1과 2에서는 날개망둑(Favonigobius gymnauchen)이 전체 개체수의 55.7%, 38.9%를 차지하였고, 여름철에 출현 총수와 개체수가 많았으며, 대부분이 유어들이었다. 정점 3에서는 흰베도라치 (Pholis fangi)와 쉬쉬 망둑 (Chaeturichthys stigmatias)이 개체수 면에서 우점하였고, 주로 성어와 크기가 큰 개체들이 채집되었다. 이 정점에서도 난수기에 밀도가 낮았으나, 겨울에 상대적으로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주성분 분석의 결과 종 조성은 깊은 곳과 얕은 곳이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아산만 어류는 서해 다른 해역에 비하여 출현 종수와 밀도가 낮았고, 아산만 내에서도 모래뻘질인 조사해역의 종 조성은 뻘로 구성된 내부해역과도 차이가 있었다.

  • PDF

남해 도암만에서 새우조망에 채집된 어류의 종조성 (Fish Assemblages Collected using a Beam Trawl in a Sheltered Shallow Water of Doam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김종빈;강창근;장대수;김영혜;조규대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8권3호
    • /
    • pp.307-316
    • /
    • 2003
  • 천해 내만 해역인 남해 서부의 도암만 어류군집 조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1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조망어구(beam trawl)를 이용하여 매월 중순경 최간조시에 어류를 채집하였다. 조사기간동안 총 33과 53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도화망둑(Chaeturichthys hexanema), 주둥치(Leiognathus muchalis),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의 3종이 전체 채질개체수의 67.4%를 차지하였으며, 생체량에서는 꼼치(Liparis tanakai), 문절망둑(Acanthogobius flavimanus), 도화망둑(Chaeturichthys hexanema)이 50.8%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다. 채집 개체수와 생체량은 가을과 겨울에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던 반면, 출현종수와 다양도 등의 일변량 지수값들은 대체로 봄과 여름에 높았다. 주요 14종의 월별 출현빈도에 의한 종간 집괴분석 결과 이 해역의 어류군집이 계절별로 출현양상을 달리하는 3개의 무리로 구분될 수 있음을 보였다: 1)계절에 관계없이 연중 출현하는 주거종에 속하는 도화망둑, 문절망둑, 개서대(Cynoglossus robustus) 및 반지(Setipinna taty)와 가을에 높은 출현 빈도를 보인 비늘양태(Onigocia spinosa), 돛양태 (Repomucenus lunatus), 주둥치, 2) 여름에 높은 출현빈도를 보인 노랑촉수(Upeneus japonicus), 갈치 (Trichiurus lepturus) 및 실망둑(Cryptocentrus filifer), 3) 겨울과 봄에 주로 출현하는 종으로 꼼치(Liparis tanakai), 풀미역치(Erisphex pottii), 두줄망둑(Tridentiger trigonocephalus) 및 동갈양태 (Repomucenus richardsottii). 어류군집의 계절에 따른 뚜렷한 분리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회유종들의 계절에 따른 일시 출현이 나타난다 하더라도, 전체 어류군집 조성이 출현 개체수에서 높은 점유율을 보이는 주거종에 의해 크게 지배를 받아 비교적 안정된 군집을 형성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Food Habits and Ecological Interactions of Alaska Plaice, Pzeuronectes quadrituberculatus, with Other Flatfish Species in the Eastern Bering Sea

  • ZHANG Chang Ik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0-160
    • /
    • 1988
  • Food habits of Alaska plaice, Pleuronectes quadrituberculatus, and ecological interactions of this species with yellowfin sole, Limanda aspera, and rock sole, Lepidopsetta bilineata, in the eastern Bering Sea were studied. Alaska plaice mainly feed on polychaetes regardless of sex and size of fish. However, it was shown that food differed by sampling area. Feeding did not occur at night. Food competition seems to be negligible among the three shallow water fiatfish species inhabiting the eastern Bering Sea due to differences in food spectra or spatial distribution.

  • PDF

부영양호의 enclosure내에서 어류의 밀도조절이 수질 및 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cking and Removal of Silver Carp on Plankton Communities in a Shallowhypertrophic Lake)

  • 최민규;황수옥;;김백호
    • 생태와환경
    • /
    • 제33권4호통권92호
    • /
    • pp.358-365
    • /
    • 2000
  • 백련어의 도입 및 제거가 부영양호의 수중생물군집과 환경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생물조작을 위해 호수연안에 6개의 enclosure를 설치하고, 5월 22일부터 7월 23일까지(전기), 7월 23일부터 9월 18일까지(후기) 두 가지 밀도(고, 저)의 어류를 투입 및 제거하였다. RIA(${\alpha}$=0.05)의 결과는 어류도입 및 제거가 대부분의 생물군집 및 환경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enclosure의 환경요인에 대해 어류투입은 투명도, 용존산소, 수소이온농도, 큰분획엽록소(>40 ${\mu}$m) 등의 감소와 질소화합물, 소형분획엽록소(<2 ${\mu}$m)의 증가를 유도하였으며, 어류제거는 정반대 현상을 보였다. 한편, 수중생물군집에 있어서, 어류투입은 picocyanobacteria이나 섬모충(<20 ${\mu}$m) 같은 소형 플랑크톤의 증가가 뚜렷하였고, 어류제거에 의해 다시 유의하게 회복하였다. 그러나 크고, 군체를 형성하거나 긴 사상체 남조나 규조등은 두 가지 어류조작에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어류제거시만 Diaphanosoma, Cyclopoida, naupli 등 동물플랑크톤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실험기간 동안 강한 바람과 호수바닥으로부터 지속적인 인의 공급 등으로 인하여 결과해석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어류도입 및 제거가 enclosure내 플랑크톤군집과 환경요인에 대해 서로 상반되는 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 PDF

여름철에 우점하는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1년생 백연의 먹이습성 (Feeding Behavior of One-year-old Silver Carp, Hypophthalmichthys molitrix, on Dominant Phytoplankton During a Summer in the Enclosure of Shallow-hypertrophic Lake)

  • 최민규;;김백호
    • 생태와환경
    • /
    • 제33권4호통권92호
    • /
    • pp.319-327
    • /
    • 2000
  • 수심이 얕은 부영양호수에서 우점하는 식물플랑크톤에 대한 1년생 백련어의 섭식특성을 조사하고자, 1997년 5월 23일부터 9월 18일까지 호수의 연안에 4개의 enclosure를 설치하고, 어류투입 이후의 각 enclosure수중과 어류의 장 내용물 중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조사기간동안 각 enclosure의 수온, 플랑크톤의 총생물량, 어류 아가미의 여과공 등은 시간에 따라 른 변화가 없었으며, 어류성장은 주로 투입된 어류의 밀도에 의존되었다. 어류의 내용물에 의하면, 저밀도 투입 enclosure에서 수중과 어류 전장간의 플랑크톤군집의 유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전체적으로 모든 enclosure에서 크기가 큰(>$100,000{\mu}m^3$) 식물플랑크톤-Oscillatoria, Anabaena, Melosira등은 어류투입이후 크게 감소되지 않았다. 어류의 먹이선택지수(${\alpha}$)와 플랑크톤의 크기 (Ingestion unit)사이에도 매우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r = 0.001, p>0.5). 식물플랑크톤의 분석결과, 백연은 남조나 녹조에 비해 규조를 더 선호하였는데, 이는 규조의 세포벽이 다른 조류에 비해 소화과정동안 쉽게 파괴되지 않고, 저배율의 현미경적시야에서도 간단히 확인된다는 점 등,선택지수를 과대평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백련어의 먹이습성에 대한 방법론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