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x Determination

검색결과 226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 of Gender-Specific Adult Bovine Serum on Gene Expression During Myogenesis

  • Lee, Eun-Ju;Pokharel, Smritee;Kim, Jie-Hoe;Nam, Sang-Sup;Choi, In-Ho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4권3호
    • /
    • pp.219-226
    • /
    • 2012
  • Gender specificity in muscle growth and development is well known. Genesis of muscle is dependent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resident myogenic satellite cells (MSCs) present in muscle fibers. Multipotential capacity of forming myocyte, osteocyte, and adipocyte like cell makes MSCs a unique stem cell.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involved in determination of muscle quality due to difference in hormone concentration of different gender of animals, MSCs were isolated from bovine skeletal muscle and cultured in male, female, and castrated serum supplemented media. DNA microarray used consisted of 24,000 spots with 70 mer oligo in each spot. A total of 88 genes were up-regulated and 551 genes were down-regulated by more than two fold. Among up-regulated gene, 33, 34, and 21 genes were found up-regulated in cells grown in male, female, and castrated serum, respectively. Interestingly, male serum showed 4, female 11 and castrated male showed 4 genes expressed highly in each gender. Further study on the highly up-regulated gene may unfold the mystery of gender specificity found in muscle development. Also, the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gender-specific serum will add information on infrastructure of bovine genome research.

7~18세 청소년의 부정교합에 대한 인식과 교정치료 수요에 관한 연구 (RECOGNITION OF MALOCCLUSION AND ORTHODONTIC TREATMENT NEED OF 7~18 YEAR-OLD KOREAN ADOLESCENT)

  • 이신재;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67-394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elf perception of occlusal status and recognit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as well as the prevalence of orthodontic treatment need objectively and subjectively. 3979 (male 2107, female 1872) school students of age 7~18 were analyzed by questionnaire and clinical examination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Perception of occlusal status on one's own was more generous than that of orthodontist's and it was affected by the factors such as age, patterns of malocclusion. 2. Recogniuon of subjective need for orthodontic treatment was more generous than that of objective need for the treatment, and factors such as age and sex of patient, parents' age and rate of education, income, occupation,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and regional discrepancy were influenced. 3. Negative aspect of orthodontic treatment was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4. A survey of want for orthodontic treatment showed one's alteration in recognition of the occlusal status with age and esthetic component was much more emphasized than functional component. 5. The multivariate discriminanat analysis for orthodontic treatment group showed that mother's rate of education, classification of malocclusi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critical in the determination of treatment group. 6. Test of inter-examiner reliability showed moderate coincidence.

  • PDF

Assessment of maturation stages and the accuracy of age estimation methods in a Turkish population: A comparative study

  • Magat, Guldane;Ozcan, Sevgi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2권1호
    • /
    • pp.83-9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ssessed the associations between chronological age, dental maturation (DM), cervical vertebrae maturation (CVM), and hand-wrist maturation (HWM) in individuals aged 9-19 year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derive practical methods to evaluate the skeletal age using DM, CVM, or HWM for orthodontic, medical, and forensic purposes and to compare which of these 3 developmental parameters is more accurate for estimating the age of individuals in a Turkish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Panoramic, lateral cephalometric, and hand-wrist radiographs of 284 patients aged 9-19 year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DM, CVM, and HWM stages were determined. The Kolmogorov-Smirnov, kappa, Wilcoxon, Kruskal-Wallis, chi-square, and Spearman correlation tests and sim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was 0.05.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hronological age and DM, chronological age and CVM, and chronological age and HWM in both sexes (P<0.05). DM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P>0.05), but CVM and HWM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males and females (P<0.05). The DM-estimated age yielded more accurate values than the other methods. Conclusion: All correlations between skeletal and dental stag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ur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hronological age and DM-estimated ag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DM stages have the potential to be used for legal purposes.

Dental age estimation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Faezeh Yousefi;Younes Mohammadi;Mehrnaz Ahmadvand;Parnian Razaghi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3권2호
    • /
    • pp.91-99
    • /
    • 2023
  • Purpose: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chronological age and dental pulp volume in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Materials and Methods: The literature was searched in 4 databases(PubMed, Scopus, Web of Science, and Google Scholar). Within each study, the outcome of interest was the correlation (r) between chronological age and pulp volume. A random-effect meta-analysis was conducted. Subgroup analysi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sex and tooth type. Results: Of 5,693 identified studies, 27 fulfilled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selected for meta-analysis. These articles focused on single-rooted teeth (n=21), multi-rooted teeth (n=6), maxillary teeth (n=14), mandibular teeth (n=6), and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n=12).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ological age and dental pulp volume was examined in the entire population (r= -0.67), men (r= -0.75), and women (r= -0.77) in single- and multi-rooted teeth. The results of the total population analysis showed a relatively strong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age and pulp volum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CBCT is a reliable and repeatable tool for dental age estimation. A strong inverse relationship was observed between pulp chamber volume and age. Further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ronological age and pulp volume of multi-rooted teeth may be beneficial.

신품종 토종닭의 계통과 성별에 따른 성장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owth Pattern in a New Synthetic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 by Sex and Strains)

  • 김기곤;최은식;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29-237
    • /
    • 2022
  • 본 연구는 신품종 토종종계로부터 생산된 토종실용닭 4계통의 성장 특성을 규명하고 출하일령 추정에 적합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체중은 발생시부터 12주령까지 2주 간격으로 개체별로 측정하였으며 성장곡선의 추정은 Von Berteralanffy, Gompertz 및 Logistic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발생시 체중을 제외한 모든 주령에서 수컷이 암컷보다 무겁게 나타났고, 계통 간 체중은발생시, 2주령 및 6주령을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성장곡선 모형의 결정계수와 수정된 결정계수는 97.4~99.7로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성장곡선 모수 중성숙체중과 성장률은 수컷이 암컷보다 높게 나타났고, 성숙률은 암컷과 수컷이 비슷한 값을 보였다. 변곡점은 모형과 계통 별 차이가 있으나 암컷은 약 7주령, 수컷은 8~9주령으로 나타나 성별 간 10일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장곡선 모형의 거의 대부분은 실제 체중과 잘 일치하나, Von Bertalanffy 모형에서 수컷의 체중이 실제 체중과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출하일령 예측을 위한 회귀함수의 결정계수는 0.9583~0.9746으로 나타나 예측 값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성장 곡선과 회귀식을 사용하여 추정한 주령 별 체중 값은 8주령과 10주령은 회귀식을 이용한 추정 값이, 12주령 체중은 Logistic 모형으로 추정한 값이 실제 체중과 가장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성장곡선에 따른 토종닭의 2 kg 도달일령의 평균 예측일수는 수컷이 62.0~64.6일, 암컷은 74.9~78.6일로 추정된다.

Noninvasive Prenatal Diagnosis using Cell-Free Fetal DNA in Maternal Plasma: Clinical Applications

  • Yang, Young-Ho;Han, Sung-Hee;Lee, Kyoung-Ryul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1-16
    • /
    • 2011
  • 현재 사용되고 있는 침습적 산전진단법(양수천자, 융모막샘플링)은 1-2%의 태아 손실이 초래되어, 비침습적 산전진단법이 산전진단의 궁극적인 목표로 대두되어 왔다. 1997년 Dr. Lo에 의해서 임신부 혈장 내에 세포 유리 태아 DNA (cffDNA)의 존재가 발견된 후 비침습적 산전진단의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으며, 과거 10년간 이에 대한 연구의 많은 진전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에 cffDNA를 이용한 Hemophilia A와 듀센형 근이영양증 등 반성 유전병(X-linked disorders) 진단에 필수적인 산전태아의 성 판정과 RhD-음성 임신부에서 태아의 RhD유전자 핵형 분석 등이 이미 외국에서 임상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아직 실용화되지 않고 있다. CffDNA의 임상 사용에는 여전히 많은 제약점이 있으며, 이는 임신부 혈장 내 cffDNA 양에 비해 많은 양의 모태 DNA가 존재하고, 종래에 사용되었던 특이적인 Y염색체 유전자(Y-specific gene)는 남아 태아 임신 시에만 적용된다는 것에 기인한 다. 따라서 모든 태아에 적용할 수 있는 태아 성과 무관한 마커(sex-independent universal fetal marker as internal positive controls)가 요구되며, 이를 이용하여 정확한 태아 DNA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연구진은 국내 처음으로 임신부 혈장 내에 cffDNA를 이용하여 SRY 유전자, RhD-exon 7, 태아 성과 무관한 DNA마커(universal fetal DNA marker)로써 RASSF1A 유전자를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RT- PCR)을 사용하여 뛰어난 결과를 얻었다. 이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성공적으로 시도된 것이다. 연구결과에서 산전 태아 성 판별과 산후 태아의 성이 100% 일치하였으며, 임신 주기별 SRY 수치는 임신이 진행할수록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은 혈우병 A, 듀센형 근이영양증, 선천성 부신증식증과 연골 무형성증의 진단과 치료 상담에 이용할 수 있으며 50%에서 침습적인 방법을 줄일 수가 있다. 또한, RhD-음성 임신부 대상으로 태아의 성 판정과 RhD 태아 유전자형을 분석한 결과 RhD-음성 태아를 정확히 검출함으로써 앞으로 기존 양수천자 등 침습적 검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이는 치료가 필요 없는 RhD-음성 태아에서 RhD-면역글로불린의 예방적 치료를 사전에 막을 수 있어, 임신부 건강을 보호하고 의료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진다. 한국에서 최초로 시도된 임신부 혈장 내 cffDNA를 이용한 본 연구의 성공은 비침습적 산전진단 임상 적용의 새 길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를 각 유전질환의 산전진단에 유용하게 활용하는 것은 태아와 임신부의 건강 증진과 의료비용 절약 등 개인과 국가에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음주 측정의 신뢰도에 대한 분석 (혈액호흡 분배비율을 중심으로) (Analysis about the reliability of sobriety testing (focused on the Blood-Breath Ratios))

  • 이원영;고명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9-60
    • /
    • 2008
  • 본 연구의 목표는 음주운전 증거확보용 음주측정에서 혈액과 호흡의 알코올비율의 분산성을 평가하며 호흡 중 알코올 양의 확인 절차를 합리화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각각 남자 24명, 여자 24명 등 48명의 건강한 피험자를 대상으로 성(2), 주류(2;소주, 위스키), 음식물 유형(2;김치지게, 삼겹살), 알코올 섭취량(2; 몸무게 기준 0.35g/kg, 0.70g/kg) 등의 요인에 대해 직교표에 의한 24 요인 설계를 적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술은 3회에 걸쳐 나누어 마시게 했으며 0.70g/kg 집단은 45분, 0.35g/kg 집단은 30분에 걸쳐 마시게 했다. 호흡측정과 혈액측정은 음주 종료 후 각기 8회와 5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혈중알코올과 호흡알코올 측정치 간에는 r = 0.973의 높은 상관이 나타났다. 4원 변량분석 결과, 음식물 유형에 있어서 최대 BrAC의 차이(F (1, 43) =5.1, p<.029)가 드러났지만 술의 종류와 성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적인 혈액호흡비(BBR)는 2295${\pm}$403이었고, 95% 신뢰구간은 1489와 3101이었다. 이런 변산에도 불구하고, 호흡측정기에 2100;1의 분배비율을 적용하는 것은 합리적인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적어도 음주 후 30분이 지나면 대부분의 피험자가 2100:1 이상의 비율을 보이기 때문이다.

Schisandra nigra Max.에서 암그루에 연관된 SCAR 마커의 개발 (Development of a Female-associated SCAR Marker in Schisandra nigra Max.)

  • 한효심;정재성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37-542
    • /
    • 2021
  • 자웅이주 식물로 알려진 Schisandra nigra Max. (흑오미자)는 우리나라 제주도에 자생하고 있으며, 열매를 얻기 위해 일부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다. 열매 생산을 위해서는 수그루에 비해 암그루의 가치가 더 높기 때문에 묘목단계에서 일찍 성별을 아는 것은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S. nigra의 유전체에서 암그루에 특이적인 부위에 관련된 SCAR 마커를 개발하였다. 120개의 무작위로 구성된 RAPD 프라이머 중에서 OPB-03 프라이머가 암그루에서 749 bp의 밴드를 안정적으로 증폭시켰다. 암그루 특이적인 PCR 산물을 분리하여 클로닝한 뒤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이 암그루 특이적인 절편을 탐침으로 사용한 Southern hybridization에서 암그루에서만 양성반응이 나타나고 수그루에서는 잡종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749 bp의 DNA 절편이 암그루의 유전체에는 존재하지만, 수그루에는 없음을 시사하였다. RAPD 마커로부터 암그루에서만 436 bp를 증폭시키는 SCAR 프라이머를 설계하였다. 이 프라이머 쌍은 암그루와 자생지에서 수집한 4개의 자웅동주 식물에서만 예상되었던 크기의 DNA 절편을 증폭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SCAR 마커는 묘목 단계에서 암꽃이 피는 개체를 선발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선녀벌레 천적인 선녀벌레집게벌 대량사육 체계 (Mass rearing system for Neodryinus typhlocybae(Hymenoptera: Dryinidae)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of Metcalfa pruinosa)

  • 서미자;김정환;노현정;서보윤;조점래;박홍현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423-432
    • /
    • 2022
  • 미국선녀벌레 생물적 방제를 위한 기생성 천적인 선녀벌레집게벌 대량사육 체계를 구축하였다. 선녀벌레집게벌 고치 생산은 기주인 미국선녀벌레 약충밀도와 기주식물의 재식밀도에 따른 차이를 보였지만, 뽕나무 기주식물 잎당 평균 5~8개, 주당 평균 70~150개가 생산되었다. 선녀벌레집게벌 암컷 평균 고치 길이는 6.01~6.46 mm, 수컷은 4.20~4.62 mm로 암수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우화 전 고치상태에서의 암수 구분으로 선녀벌레집게벌을 효과적으로 방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야외조건에서 선녀벌레집게벌 기생률은 평균 13~17%로, 방사 마리수에 따른 기생률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방사 마리수가 많을수록 미국선녀벌레 개체군밀도증가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선녀벌레집게벌의 성비나 이화성은 기주의 영기에 따라 달라졌다. 기주의 영기가 낮을수록 이화성 비율이 증가했고, 4~5령 약충에 기생시 암컷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대량사육 시 개체조절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대졸 신규취업자 임금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employee's wage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

  • 박성익;조장식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65-75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전문대 및 4년제 대졸 신규취업자의 임금을 결정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개인수준의 인적특성 변수들과 업종수준의 특성변수들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개인수준의 임금이 개인수준의 인적특성 (1-수준)과 업종 수준의 산업특성 (2-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층구조 (multi-level)를 가지게 된다는 점을 주목하였다. 이와 같이 위계적 자료 특성을 가지는 복수의 분석단위 구조가 되면, 전통적인 회귀분석에서와 같이 개인수준의 임금이 독립이라는 가정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인수준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다층구조의 특성을 가진 변수들의 영향력을 보다 타당하게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위계선형모형 (HLM; hierarchical linear model)을 이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수준과 업종수준 변수들 모두를 포함한 다중대응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개인수준의 임금이 서로 다른 그룹에 대응되는 개인 특성 변수값과 업종 특성 변수값이 그룹별로 서로 상이하여 개인특성 변수만이 아니라 업종특성 변수도 개인수준의 임금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둘째, 개인수준과 업종수준 변수들 모두를 포함한 의사결정나무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개인수준의 임금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변수가 업종별 임금이고, 그 다음으로는 업종별 근로시간, 연령, 성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개인수준의 임금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업종의 특성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은 위계적 선형모형의 활용이 타당하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셋째, 개인수준의 인적특성과 업종 수준의 산업특성 변수들을 모두 포함한 모형이 다른 모형들에 비해서 모형 적합도가 가장 개선되어 위계적 선형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