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ttlement prediction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44초

점증 재하를 고려한 선행재하 공법 적용 연약지반의 현장 계측을 통한 침하량 예측 방법의 개발 (Prediction Method of Settlement Based on Field Monitoring Data for Soft Ground Under Preloading Improvement with Ramp Loading)

  • 우상인;윤찬영;백승경;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452-461
    • /
    • 2008
  • Previous settlement prediction method based on settlement monitoring such as hyperbolic, monden method were developed under instantaneous loading condition and have restriction to be applied to soft ground under ramp loading condition. In this study, settlement prediction method under ramp loading was developed. New settlement prediction method under ramp loading considers influence factors of consolidation settlement and increase accuracy of settlement prediction using field monitoring data after ramp loading. Large consolidation tests for ideally controlled one dimensional consolidation under ramp loading condition were performed and the settlement behavior was predicted based on the monitoring data. As a result, new prediction method is expected to have great applicability and practicability for the prediction of settlement behavior.

  • PDF

기존기법과 ARIMA기법을 활용한 최종 침하량 예측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diction of the Final Settlement Using Preexistence Method and ARIMA Method)

  • 강세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10호
    • /
    • pp.29-38
    • /
    • 2019
  • 연약지반 안정 및 침하관리에 있어 침하예측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공사비 절감과 정확한 토지사용 시기를 확인하는데 활용하고 있으나, 기존 예측방법인 쌍곡선법, Asaoka법, Hoshino법 등은 많은 계측기간이 경과되어야 정확한 침하예측이 가능하여 압밀초기 신속한 예측이 어려운 실정이다. 기존 예측방법이 침하곡선으로부터 산정한 기울기의 비례성 가정을 통해 장래침하량을 추정하는 사유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분석기술 중 ARIMA 기법을 도입하여 기존예측방법과 비교 분석하였다. ARIMA 기법은 지반조건 구분 없이 예측 가능하였으며, 기존방법과 유사한 결과를 조기에 예측(최종침하) 할 수 있었다.

데이터마이닝을 이용한 관측적 침하해석의 신뢰성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of Observational Settlement Analysis Using Data Mining)

  • 우철웅;장병욱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83-193
    • /
    • 2003
  • Most construction works on the soft ground adopt instrumentation to manage settlement and stability of the embankment. The rapid progress of the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he digital data acquisition on the soft ground instrumentation has led to the fast-growing amount of data. Although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behaviour of the soft ground may be hiding behind the data, most of the data are used restrictedly only for the management of settlement and stability. One of the critical issues on soft ground instrumentation is the long-term settlement prediction. Some observational settlement analysis methods are used for this purpose. But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is remained in vague. The knowledge could be discovered from a large volume of experiences on the observational settlement analysis. In this article, we present a database to store settlement records and data mining procedure. A large volume of knowledge about observational settlement prediction were collected from the database by applying the filtering algorithm and knowledge discovery algorithm.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the reliability of observational settlement analysis depends on stay duration and estimated degree of consolidation.

Prediction of Settlement Based on Field Monitoring Data under Preloading Improvement with Ramp Loading

  • Woo, Sang-Inn;Yune, Chan-Young;Chung, Choong-Ki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436-452
    • /
    • 2008
  • In this study, the settlement prediction method based on field monitoring data under preloading improvement with ramp loading is developed. Settlement behavior can be predicted with field monitored settlement throughout the entire preloading process including ramp loading followed by constant loading. The developed method is verified by comparing its predicted results with results from physical model tests and field monitoring data.

  • PDF

점증 선행 하중으로 개량하는 연약지반의 계측기반 침하량 예측방법 개발 (Prediction Method of Settlement Based on Field Monitoring Data for Soft Ground Under Preloading Improvement with Ramp Loading)

  • 우상인;윤찬영;백승경;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0호
    • /
    • pp.83-91
    • /
    • 2008
  • 현장계측 자료를 이용하여 연약지반의 향후 침하거동을 예측하는 기존의 방법들은 모두 즉시재하 조건을 가정하고 개발된 방법으로써 실제로는 연약지반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점증재하가 이루어지는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약층의 두께, 성토하중 크기, 선행압밀하중, 배수거리, 성토속도 등의 다양한 영향인자를 고려하였으며 점증재하가 완료된 이후의 지반개량 기간에도 지속적으로 예측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계측기반 침하거동 예측기법을 개발하였다. 점증재하 과정에서의 예측방법과 성토완료 이후의 예측방법이 개발되었으며, 성토 완료 이후의 예측방법은 기하학적 보정을 이용한 정확도 향상기법과 확률론적 보정을 이용한 정확도 향상기법 두 가지를 제안하였다. 대형압밀시험 결과를 이용한 예측기법의 적용성 검증 결과, 기존의 예측기법을 적용할 수 없는 점증재하 초기에도 비교적 적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침하거동을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성토완료이후에도 기존 예측기법과 제안된 방법의 비교, 분석 결과 최종침하량과 RMSE에서 모두 제안된 방법이 기존의 예측기법에 비하여 우수한 예측결과를 보였다.

유기질층을 포함한 고소성 실트질 연약지반의 침하 예측 (Prediction of Settlement for the Highly Plastic and Silty Soft Ground Contained of the Organic Deposits)

  • 유남재;김겸;유창선
    • 산업기술연구
    • /
    • 제31권B호
    • /
    • pp.91-98
    • /
    • 2011
  • In this thesis, from the results of settlement measurement performed at the site where embankment earthwork was carried out on the ground consisting of highly plastic and silty soft soils interlayered with organic deposits, various methods of predicting the embankment settlement such as Hoshino's method, Asaoka's method, hyperbolic method, ${\sqrt{s}}$ method and Monden's method were used to investigate their applicability and the inverse method of finding the soil parameter related to consolidation was used to predict the consolidation behavior in the future. It was confirmed that reliable prediction of consolidation behavior under various conditions could be done to estimate soil parameter related to consolidation such as the consolidation index and consolidation coefficient by the inverse method of comparing the measured settlement with the predicted value by the settlement prediction methods.

  • PDF

신선한 쓰레기 매립지의 장기 침하 예측에 대한 분해효과 평가 (Evaluation of Decomposition Effect in Long-term Settlement Prediction of Fresh Refuse Landfill)

  • 박현일;이승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6호
    • /
    • pp.127-138
    • /
    • 1998
  • 신선한 쓰레기 매립지에서는 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는 유기물의 분해로 인하여 장기간에 걸쳐 상당한 양의 침하가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신선한 쓰레기 매립지들의 침하자료에 대하여 기존에 제안된 몇몇 침하모델들을 적용하였으며. 얻어진 침하예측곡선과 장기침하량을 분석함으로써 분해로 의한 침하양상이 장기침하량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사용된 모델과는 상관없이 선정된 모델변수 값들이 분해효과를 포함하지 않는 한 장기침하를 적절히 평가할 수 없었다. 몇몇 예측방법 가운데 Gibson & Lo 모델과 쌍곡선 모델은 쓰레기 매립지의 장기침하 거동특성을 비교적 타당성 있게 예측한 반면에 power creep law는 상당히 과다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반 진동에 의한 주변침하 예측기법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Prediction Technique of Vibration Induced Settlement -On the Basis of Case Studies)

  • 김동수;이진선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2권5호
    • /
    • pp.103-116
    • /
    • 1996
  • 교통하중이나 건설 작업에 의해 야기되는 지반진동은 인접구조물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중요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최근 문헌에 의하면 도심지에서 구조물 손상의 주요 원인은 진동파의 직접 전달에 의한 손상보다 지반다짐으로 야기되는 부등침하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덕 논문에서는 지반진동에 의한 주변침하 예측기 법을 사례 연구를 충심으로 소개하였다. 실험실에서 개발된 침하예측모델의 현장적용기법을 설명하였으며, 사례연구에서 계측된 침하량과 모델에서 예측된 침하량을 비교하였다. 모델에서 예측한 침하량은 실제침하량과 비교적 잘 일치하였다. 전형적인 도심지 상황에서 영향요소 연구를 수행하여 침하예민요소들을 살펴보고 현장에서의 신뢰성있는 진동 계측 및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사직토 지반에서 진동에 의한 침하평가 및 예측을 위해 개발된 모델의 사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 PDF

피압수압을 고려한 연직배수공법의 압밀해석 (Consolidation Analysis of Vertical Drain Considering Artesian Pressure)

  • 김상규;김호일;홍병만;김현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연약지반처리위원회 학술세미나
    • /
    • pp.62-70
    • /
    • 1999
  • Artesian pressure exists in Yangsan site, the maximum value of which has been measured as high as 5 t/m$^2$. This paper deals with the prediction of consolidation settlement for the site with artesian pressure. The consolidation settlement at the site has been accelerated using vertical band drains. Since the artesian pressure gives lower effective stress than a static condition, its effec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ettlement prediction. This case study shows that the prediction of settlement and pore pressure dissipation agrees well with the measurements, when considering the artesian effect.

  • PDF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의 침하 특성 (Settlement Characteristics of Nanji -Island Refuse Landfill)

  • 박현일;라일웅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2호
    • /
    • pp.65-76
    • /
    • 1997
  •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 뿐만 아니라 대도시 주변 매립지의 사후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이 점차로 고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에서 2년여간 계측된 침하자료를 분석하여 침하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침하분석결과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의 침하양상은 미국내 24개 매립지에 대해 분석된 침하경향과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계측된 침하자료에 대한 해석을 근거로 할 경우, Bjarngard와 Edgers의 침하모델이 난지도 매립지의 장기침하량 예측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10년 후 장기침하량을 예측할 때 Bjarngard와 Edgers의 침하모델은 Power Creep Model과 상당한 예측의 차이를 보였다. 난지도 쓰레기 매립지 침하양상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단지 기존의 침하모델만을 사용하는 것은 장기침하량 예측시 상당한 오류를 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