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same leaf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초

들깻잎과 참깻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 비교분석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of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on) and Sesame (Seasamum indicum L.) leaf extracts)

  • 곽영은;기서하;노은경;신하늘;한영주;이유나;주지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41-248
    • /
    • 2013
  • 들깻잎은 독특한 향미가 있어 다양한 형태로 빈번히 식용되고 있는 반면 참깻잎은 특별한 향미가 없어 그 기호성이 낮아 거의 식용되지 않는 폐자원이다. 들깻잎의 경우 다양한 기능성이 보고된 바 있으나, 참깻잎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식품으로 이용되는 자원이 아니기 때문에 그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들깻잎과 참깻잎의 항산화 성분함량 및 활성을 비교하여, 참깻잎의 항산화 및 항암 기능성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식물성 식품에 널리 존재하는 대표적인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을 들깻잎과 참깻잎 추출물에서 측정한 결과, 참깻잎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들깻잎의 함량의 약 1.5-1.6배 수준이었으며(p<0.05), 참깻잎의 ABTS radical 및 DPPH radical 소거활성 또한 들깻잎 활성의 약 1.7-2배 수준이었다(p<0.01). 또한 참깻잎은 들깻잎보다 대장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참깻잎의 항암성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성 및 관련 작용기전을 규명하고, 나아가 참깻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참깻잎의 기호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조리과학적 연구 등과 같은 참깻잎의 식품학적 가치를 재조명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앞으로 종합적으로 수행된다면, 이제까지 폐자원으로 여겨졌던 참깻잎의 새로운 자원화를 통한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irst Record of Alternaria simsimi Causing Leaf Spot on Sesame (Sesamum indicum L.) in Korea

  • Choi, Young Phil;Paul, Narayan Chandra;Lee, Hyang Burm;Yu, Seung Hun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405-408
    • /
    • 2014
  • Leaf spot disease was observed in sesame (Sesamum indicum L.) during 2009 and 2010 in Korea. The pathogen was identified as Alternaria simsimi based on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morphological identification was well supported by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ribosomal DNA-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 A. simsimi isolates caused spot symptoms on leaves and stems of sesame plants 2 wk after artificial inoculation,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in the field. This is the first record of leaf spot disease in Korea caused by A. simsimi.

밀양 깻잎 농업의 총소득 극대화를 위한 적정 생산 규모 전망 (Prediction of Optimal Production Level for Maximizing Total Profit in Miryang Sesame Leaf Cultivation)

  • 조재환;정원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13-320
    • /
    • 2021
  • 본 연구는 경남 밀양 깻잎 농업의 수급 및 가격 모형을 개발하고 정책 실험을 통해 밀양 깻잎 생산 농가의 총 소득을 극대화하는 적정 생산 규모를 전망한다. 분석 자료는 밀양 깻잎 농업의 총 소득과 관련된 22개년 시계열 자료(1996~2017년)가 이용되었다. 분석 방법은 수요 함수와 평균 비용 함수 추정을 통하여 적정 생산량과 가격을 산출하고 이를 통해 적정 소득을 도출하였다. 또한, 시나리오 분석을 통하여 2030년까지 예상되는 밀양 깻잎 최적 생산량과 이에 해당하는 판매 가격, 총 수입, 총 비용, 총 소득을 전망하였다. 밀양 깻잎 생산 농가 전체를 대상으로 총 소득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2017년에 7천 톤 규모인 밀양 깻잎 생산량을 2030년까지 10~12.5천 톤으로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밀양 깻잎 농업에 귀속되는 총 소득은 133~213억 원 수준으로 전망된다. 앞으로 밀양 깻잎 생산자 단체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적정 생산 규모를 유지하여 농가에게 귀속하는 총 소득을 증대시키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깻잎 바이오 된장의 미생물 및 관능평가 (Microbiological and Sensory Evaluations on Sesame Leaf of Bio Soybean Paste)

  • 김창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8-222
    • /
    • 2006
  • 본 연구의 결과 각 깻잎 유산균(Bifidobacterium animalis DY 64) 바이오 된장은 실온에서 저장 30일 동안 Salmonella spy, Staphylococcus aureus 및 Escherichia. coli균에 대해 음성반응을 나타내었다. 호기성 미생물의 집락은 균일한 모양을 형성하였으며 잡균의 오염이 없고 콩 메주 속의 Bacillus spp.에 의해 숙성이 진행된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상온에 유지한 기능성 된장의 외관과 냄새에 대한 관능적 평가에서도 초기 제조 직후의 외관과 냄새를 유지하므로 서 품질열화에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깻잎 기능성 바이오 된장의 풍미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는 3-5% 깻잎 처리군은 깻잎 특유의 풍미생성으로 높게 등급 되었으며, 파란 색조는 외관상 신선미를 느낄 수 있었다고 기록하였다 깻잎은 특유의 독특한 향미 생성으로 저 농도의 수준에서 냄새와 풍미에 대해 높게 등급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고정화 유산균(Bifidobacterium animalis DY 64)등을 이용하여 제조한 유자와 깻잎 바이오 된장은 상온 저장 동안 미생물학적 저장 안정성과 냄새, 외관 및 풍미에 대한 기호성 향상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본 바이오 유가된장 및 깻잎 된장은 항산화 효과 및 고혈압억제 효과가 있음을 규명하였으며, 전통 발효식품인 재래된장의 기능적 품질향상 뿐만 아니라 관능적 품질에 대한 기호성 향상으로 내수 촉진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검토되었다.

단체급식소에서 제공되는 시금치 나물과 깻잎 나물의 생산단계 및 보관단계에 따른 리보플라빈 함량 변화(II) (Changes in the Riboflavin Content of Spinach Salad and Sesame Leaf Salad with Various Cooking and Holding Process in Foodservice Institutions)

  • 김혜영;박화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4-41
    • /
    • 2004
  • The retention rate of riboflavin in two cooked vegetable salads (spinach salad and sesame leaf salad) were examined at every cooking stage, holding temperature and holding time, with various cooking methods, and a better food preparation method developed. The riboflavin contents of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HPLC, with fluoresence detection. The changes in the pH and water contents of the samples were measured during the holding stage at various temperatures and tim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iboflavin contents during the various preparation and cooking processes, such as trimming, washing, boiling and parching etc. The retention rates of the riboflavin with the various holding methods and cooking temperature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The boiling process caused large losses of riboflavin: in the cases of spinach salad and sesame leaf salad these were 78% and 52% respectively. The pH and water contents showed faster change during 0-6 hours than during 6-12 hours.

The Incidence of Alternaria Species Associated with Infected Sesamum indicum L. Seeds from Fields of the Punjab, Pakistan

  • Nayyar, Brian Gagosh;Woodward, Steve;Mur, Luis A.J.;Akram, Abida;Arshad, Muhammad;Naqvi, S.M. Saqlan;Akhund, Shaist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6호
    • /
    • pp.543-553
    • /
    • 2017
  • Sesame (Sesamum indicum) is an important oil seed crop of Asia. Yields can be negatively impact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disease, particularly those caused by fungi which create problems in both production and storage. Foliar diseases of sesame such as Alternaria leaf blight may cause significant yield losses, with reductions in plant health and seed quality. The work reported here determined the incidence of Alternaria species infecting sesame seeds grown in the Punjab, Pakistan. A total of 428 Alternaria isolates were obtained from 105 seed samples and grouped into 36 distinct taxonomic groups based on growth pattern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Isolation frequency and relative density of surface sterilized and non-surface sterilized seeds showed that three isolates (A13, A47 and A215) were the most common morphological groups present. These isolates were further identified using sequencing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of ribosomal DNA (rDNA) and the Alternaria major allergen gene (Alt a 1). Whilst ITS of rDNA did not resolve the isolates into Alternaria species, the Alt a 1 sequences exhibited > 99% homology with Alternaria alternata (KP123850.1) in GenBank accessions. The pathogenicity and virulence of these isolates of Alternaria alternata was confirmed in inoculations of sesame plants resulting in typical symptoms of leaf blight disease. This work confirms the identity of a major source of sesame leaf blight in Pakistan which will aid in formulating effective disease management strategies.

전통조리법으로 제조한 연근, 김, 깻잎 부각의 지방질과 색소 특성 (Characteristics on lipid and pigments of lotus root, dried laver, and perilla leaf bugak (Korean fried cuisine) made by Korean traditional recipe)

  • 정이진;송영옥;정라나;최은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805-814
    • /
    • 2013
  • 찹쌀풀과 생참기름 또는 밀가루풀과 콩기름을 사용하여 제조한 연근, 김, 깻잎 부각의 텍스쳐, 지방질 산화, 색소를 평가하고 튀김유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찹쌀풀과 생참기름으로 제조한 연근, 김, 깻잎 부각이 밀가루풀과 콩기름으로 제조한 부각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경도를 나타냈으며, 기름 흡수량은 다소 높았으나 공액이중산값과 아니시딘값으로 평가한 지방질 산화는 적었다. 부각 지방질의 산화 정도는 튀김유의 산화에 의해 결정되었으며 부각의 지방산 조성은 튀김유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하였다. 김 부각과 깻잎 부각은 클로로필과 카로티노이드를 다량 함유하였으며 찹쌀풀과 생참기름 또는 밀가루풀과 콩기름 등 제조 방법은 부각의 색소 함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찹쌀풀과 밀가루풀 등의 튀김옷은 김과 깻잎 색소가 기름으로 용출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해 주었다.

식이섬유용 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발 및 이를 이용한 충북지역 중학생의 식이섬유 섭취 실태 (The Development of the Dietary Fiber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he Dietary Fiber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ungbuk Province)

  • 신나실;이인선;김향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9-557
    • /
    • 2012
  • In this study, the FFQ-50 questionnaire which composed of 50 food items frequently eaten as sources of dietary fiber, was developed and used to estimate the dietary fiber intak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ungbuk province. According to the survey, the average daily intakes of dietary fiber for the boys and girls were $23.3{\pm}12.3$ g (93.2%) and $20.8{\pm}11.5$ g (104.0%), respectively,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 The proportions of boys and girls who did not reach to the sufficient dietary fiber intake were 66.2% and 53.9% respectively. The major sources of dietary fiber were grain foods and vegetables, which measured at 77.24%, followed by fruits, seaweeds, tofu and tofu products, potato and starch, and mushrooms. The cooked white rice contributed the highest (17.81%), followed by baechu-kimchi, cooked brown rice, ramyeon (instant noodle), tangerine, sesame leaf jangajji (pickled sesame leaf), topokki (spicy rice cake stir-fry), blanched and seasoned bean sprouts, bread, and radish kimchi. The study showed that the cooked white rice was the major source of dietary fiber in the boys' diet followed by baechu-kimchi, ramyeon, cooked brown rice, tangerine, bread, strawberry, blanched and seasoned bean sprouts, sesame leaf jangajji, radish kimchi. Girls were taking in dietary fiber mostly from boiled white rice followed by baechu-kimchi, boiled brown rice, tangerine, ramyeon, sesame leaf jangajji, topokki, blanched and seasoned bean sprouts, radish kimchi, and boiled barley.

세척 깻잎의 선도 유지에 대한 세척수 온도와 포장 형태의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and Packing Type on Quality of Fresh-Cut Sesame Leaf)

  • 김병삼;장민선;박신영;차환수;권기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31-23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1 및 $5^{\circ}C$의 냉수와 $13^{\circ}C$의 지하수를 이용하여 세척한 후 PP film bag과 PETE tray로 포장하여 4 및 $10^{\circ}C$에서 9일간 저장하며 품질을 비교하였다. $1^{\circ}C$ 냉각수로 세척하고 PETE tray로 포장한 경우 0.25%로 감모율이 가장 낮았고 이는 같은 냉수로 세척한 후 PP film bag로 포장한 0.39%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호흡속도는 $1^{\circ}C$ 냉수세척 처리하여 PETE tray로 포장하고 4 및 $10^{\circ}C$에서 저장한 9일 후 각각 45.71 및 53.15 mg $CO_2/kg/hr$로 PP film bag으로 포장한 경우보다 낮은 호흡률을 나타내었다. 표면색 변화에 있어서는 L 및 b값이 크게 변하지 않았고 비타민 C의 경우 초기 35 mg% 내외에서 저장 9일째에 $12{\sim}20\;mg%$로 감소하였으며, 1 및 $5^{\circ}C$의 세척수 온도별 유의적인 차이는 5 mg% 정도로 크지 않았다. 저장 9일째 $4^{\circ}C$에서 $1^{\circ}C$ 세척 처리하고 PETE tray로 포장하여 저장한 깻잎의 총균수는 $6.25{\times}10^4\;CFU/g$, 대장균군수는 $5.95{\times}10^2\;CFU/g$로 미생물수의 증식속도가 가장 느렸다. $1^{\circ}C$ 냉수로 세척하고 PETE tray로 포장하여 $4^{\circ}C$로 저장한 경우 깻잎 고유의 초록색과 향을 유지하고 있어 저온냉수 세척과 tray 포장이 세척 청경채의 선도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Xanthomonas campestris pv. sesami에 의한 참깨의 세균성잎마름병 (Bacterial Blight of Sesame Caused by Xanthomonas campestris pv. sesami)

  • 이승돈;이정희;김용기;허성기;나동수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46-151
    • /
    • 2005
  • 2000년 수원, 홍천, 연천 지역의 참깨 포장에서 새로운 병해가 발견되었다. 처음에는 잎에 수침상의 작은 점무늬를 형성하다가 점점 커져 괴사가 일어나고 주위로 황화되었다. 심하게 감염된 경우는 병든 잎은 떨어졌다. YDC 배지에서 병원세균을 순수 분리 하였을 때 Xanthomonas 속 세균의 전형적인 특징인 노란색 색소를 띤 세균이 형성되었다. 분리된 세균을 $10^{8}cfu/ml$로 현탁한 후 3주 동안 자란 참깨 잎에 분무 접종하였을 때 처음과 같은 증상이 재현되었다. 분리된 세균은 대조균주 X. campestris pv. sesami LMG865와 지방산 조성 및 다양한 탄소원 이용정도를 이용하여 비교하였을 때 $100\%$의 가능성으로 X. campestris pv. sesami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병원균은 $18\~36^{\circ}C$에서 생장이 양호하였으며, $27^{\circ}C$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이 보고는 국내에서 참깨의 세균성잎마름병 최초 보고이며, P. syringae pv. sesami에 의한 세균성점무늬병과 외부적인 병징으로 구별하기가 매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