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vice metric measurement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초

Exploratory Study to Develop Customers' Experience Measurement Scale of H&B Store

  • NOH, Eun-Jung;CHA, Seong-Soo
    • 산경연구논집
    • /
    • 제11권7호
    • /
    • pp.51-60
    • /
    • 2020
  • Purpose: Recently, Korean cosmetics distribution market has been reorganized with the H&B store. In the domestic cosmetics distribution market, existing brand road shops are decreasing, and multi-shops are leading the H & B stores, which have greatly improved their experience and content. In these environmental changes, the offline distribution channels are turning into the multi-editing shops that have introduced products of various brands and greatly enhanced experiences and contents. Nevertheless, most studies of factors and measurement items for measuring customer experience in the H&B store use Schmitt (1999)'s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SE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asure that is practicable through consideration of the in-store customer experience components of the H&B sto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Based on Schmitt's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SEMs), which are widely used in customer experience marketing, the metric pool was constructed through customer and literature research on H & B store managers. Since then, 101 preliminary surveys and 211 main surveys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propose a dimension of customer experience and refine the metrics.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H&B store's customer experience was derived from a measurement model consisting of 19 measurement items in total of five dimensions: environmental experience, intellectual experience, behavioral experience, tech experience, and relationship experience. This study analyzed that compared to the existing Schmitt's Strategic Experience Modules (SEMs), (1) emotional experience expanded to environmental experience, (2) Cognitive and relationship experiences are maintained (3) behavioral experience was subdivided into physical and technical experiences. In particular, the environmental experience has been proposed as a major component is an important point because the H&B store recently opened a large flagship store and is competitive in constructing a differentiated space. Conclusions: Related experience was seen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customer experience in the offline store, but in the process of refining the scale, interaction items with employees of the H&B store were removed, and rather, participation in the APP or SNS channel of the company, event Participation, interaction with other customers, etc. appear to be important, while suggesting the practical implications.

와이브로를 통한 음성서비스의 품질과 무선 채널 품질과의 통계적 상관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quality of voice service and the quality of the wireless channel over a WiBro network)

  • 김범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719-726
    • /
    • 2014
  • 본 논문은 사용자 체감 품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관적인 측면을 포함하는 사용자 체감 품질을 어떻게 객관적인 방법으로 평가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은 현재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와이브로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음성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 다양한 품질 지표들의 값의 변화를 실제 측정하고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음성 서비스의 사용자 체감 품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와이브로를 통한 음성 서비스의 사용자 품질은 네트워크 계층에서 측정되는 전송 지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다시 전송 지연은 무선 채널의 RSSI와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Metrics to Measure Reusability of Services of IoT Software

  • Cho, Eun-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151-158
    • /
    • 2021
  • 인터넷을 기반으로 실세계에 존재하는 여러 사물들과 가상 세계에 있는 사물들이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초연결 사회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사물 인터넷 기술은 디바이스, 네트워크, 플랫폼, 서비스를 아우르는 융합 기술이기 때문에 여러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 중에 IoT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들에 관한 연구는 아직 많이 미흡한 실정이다. IoT 소프트웨어는 사물인터넷이 가지는 하드웨어 부분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기술, 임베디드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특징, 네트워크의 특징 들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IoT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 메트릭을 정의하는 요소로 활용된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IoT 소프트웨어 품질 측정 관련 메트릭들에서는 이러한 특징들을 고려하고 있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IoT 소프트웨어의 여러 가지 품질 요소 가운데 재사용성 측정을 위한 메트릭을 제시한다. 특히 IoT 소프트웨어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를 통해 활용되기 때문에 IoT 소프트웨어 내 서비스가 변경이나 교체 또는 확장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야 하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메트릭이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oT 소프트웨어의 서비스들에 대한 재사용성을 측정 및 평가할 수 있는 변경성, 교체성, 확장성이라는 3가지 메트릭을 제시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제시한 메트릭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메트릭을 통해 IoT 소프트웨어의 서비스 품질 검증이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들의 서비스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실시간 모바일 IPTV의 열화 컨텐츠 평가를 위한 효율적 QoE 인지형 전송 스트림 측정 스키마 (An Efficient QoE-Aware Transport Stream Assessment Schemes for Realtime Mobile IPTV's Distorting Contents Evaluation)

  • 김진술;윤장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2B호
    • /
    • pp.352-360
    • /
    • 2010
  • IPTV나 Mobile IPTV 같은 IP 기반의 방 통 융합형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사용자 인지적 QoE가 보장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절실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Mobile IPTV 서비스시 다양한 IP망의 조건에 따라 발생하는 에러의 영향으로 열화된 컨텐츠의 손상 정도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QoE를 고려한 실시간 전송시 측정을 위해서 손상된 프레임의 효율적 정합 및 측정 방법을 보여 주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실시간 전송 스트림의 각 프레임으로 부터 디지털화된 컨텐츠의 밝기 정보를 추출하여 분석하며 블러, 블록, 에지 비즈니스, 컬러 에러 등 QoE 요소들을 RR 기반의 측정 파라메터로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제안된 방안의 정확성을 증명하기 위해서 원 소스 컨텐츠와 손상된 컨텐츠를 비교 분석하였다.

Infrastructure Component Assessment Using the Condition Index System: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

  • Amani, Nima;Nasly, M.A.;Samat, Roslida Abd
    •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제2권1호
    • /
    • pp.27-34
    • /
    • 2012
  • Recent requirements in component management of building systems have focused on the requirement for improving methods and metric tools to support component condition assessment and appropriate decisions for infrastructure owned facilities. Although engineers and researchers have focused on developing methodologies for component assessment in recent years but there is not enough attention dedicate to facilities and components that have been constructed. This paper is a literature study of scientific papers within the topic of component condition index system (CCIS) in the period 1976 to 2009. Infrastructure component condition index had existed for some 40 yea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CCIS to identify the suitable method for component condition assessment during its service life. This paper finds that the focus of CCIS, surveyed in several aspects during the 40 years that have been investigated, from technology to measurement and from assessment function to component maintenance as an integrated part of the infrastructure component management. This study offers help to researchers in understanding the selection of an appropriate method for component condition assessment in building and non-building systems.

HEVC over DVB-T2 기반 지상파 4K-UHDTV 방송을 위한 양시청 기준값 실험실 테스트 결과 (Laboratory Measurement to Provide Threshold of Visibility for Terrestrial 4K-UHDTV Broadcasting based on HEVC over DVB-T2)

  • 전성호;김상훈;함상진;임중곤;서영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06-51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HEVC로 인코딩된 스트림을 6MHz 대역폭 DVB-T2 시스템을 통해서 전송하는 우리나라 지상파 4K-UHD 실험방송 환경에서, 상용 수신기 3종에 대해서 양시청 최소 신호 대 잡음비(ToV C/N)와 양시청 수신기 최소 입력 전계 레벨(Sensitivity)을 실험실 테스트를 통해서 측정하였다. 26.37Mbps 전송률을 기준으로, ToV 평균 C/N=18.8dB 정도로 측정되었고, 수신기 Sensitivity는 최소 -84.2dBm에서 최대 -80.0dBm으로 측정되었다. 이로부터, 수신기 노이즈 바닥(Floor)은 평균 -100dBm 가량으로 계산되었다.

클라우드 교육 시스템의 SLA 보장을 위한 오픈소스기반 요소 성능 분석 (Analysis of Component Performance using Open Source for Guarantee SLA of Cloud Education System)

  • 윤준원;송의성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67-173
    • /
    • 2017
  • 클라우드의 사용이 보급화 됨에 따라 가상화 기술에 다양한 요구사항이 접목, 적용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표적인 특징은 사용자가 원하는 자원 요구사항에 따라 최적화 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나아가 확장성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런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분산컴퓨팅 분야에 클라우드 컴퓨팅이 적용,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환경의 성능 안정성을 보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구축된 클라우드 교육 시스템 테스트베드 환경에서 시스템의 성능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요소성능(metric) 측정을 오픈소스 기반의 툴들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 메모리, 캐시, 네트워크 등 가상화 환경에 영향을 주는 요소 성능을 구분하고, 그 성능을 호스트머신(Host Machine) 및 가상머신(Virtual Machine)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이로서 시스템의 상태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문제점을 빠르게 진단하여 가용성을 증대시키고 나아가 클라우드 컴퓨팅의 SLA(Service Level Agreement) 수준을 보장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위한 MCDT (Multiple-Class Dynamic Threshold) 알고리즘 (Multiple-Class Dynamic Threshold algorithm for Multimedia Traffic)

  • 김상윤;이성창;함진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12호
    • /
    • pp.17-24
    • /
    • 2005
  • 현재 사용되고 있는 Internet상의 트래픽은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수준의 QoS 요구조건, 즉, Delay, Loss 그리고 Throughput성능에 대한 요구조건을 오청하고 있다. TCP protocol을 사용하는 ETP서비스나 E-Mail 등의 서비스는 Delay나 Loss 성능보다는 Throughput성능에 대한 요구가 높은 편이기 때문에 앞의 두 성능악화의 반대급부로서 Throughput성능을 보장받곤 한다. 반면에, 대부분 UDP protocol을 사용하는 real-time streaming 어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IP telephony, Video conferencing, 혹은 network games등의 어플리케이션은 여타의 것들에 비하여 Throughput 보다는 delay나 loss에 대한 성능을 상대적으로 높게 요구한다. 하지만 현재의 AQM들은 best-effort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throughput 성능을 위하여 delay나 loss성능을 희생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힘들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어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QoS 성능을 고려하여 어플리케이션들을 세 가지 클래스로 분류한 뒤 적합한 QoS 요구조건을 고려한 새로운 AQM 알고리즘을 제안한 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다른 AQM 알고리즘과 비교 분석하고 그에 대한 결론을 도출한다.

IPTV 서비스에서 패킷손실에 의한 비디오품질 열화 모니터링 방법 (A Nobel Video Quality Degradation Monitoring Schemes Over an IPTV Service with Packet Loss)

  • 권재철;오승준;서창렬;진영민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73-58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전송 중에 패킷손실에 의해 열화되는 IPTV 셋탑박스(STB: Set-Top Box) 재생영상의 화질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인 VR-VQMS(Visual Rhythm based Video Quality Monitoring Scheme)를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인코딩된 영상의 비쥬얼리듬(VR) 정보와 STB 재생영상의 비쥬얼리듬 정보를 특징정보로 사용하는 감소기준법 기반의 영상품질 측정 방법이며, 특히 영상품질관리 측면에서 패킷손실에 의한 화질열화를 정량화한 것이다. 화면열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PSNR(peak-to-peak signal-to-noise ratio)을 수정한 NPSNR(Networked PSNR)이라는 새로운 품질척도를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객관적 및 주관적 열화 척도를 정의하였으며, 온라인 VR-VQMS와 오프라인 VR-VQMS 두 가지의 화질열화 모니터링 방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사용하면 화질열화가 발생된 시간과 지속시간, 발생횟수, 평균열화량 등에 대한 통계정보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청자의 주관적 체감화질까지 측정할 수 있으며, VR 정보를 사용하기 때문에 눈으로도 직접 이들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모의실험 결과를 통하여 VR 정보로 추정한 NPSNR 을 이용하여 계산한 화질열화 척도값이 2D 재생영상에 대해 계산한 화질열화 척도값을 매우 근사적으로 추정하고, 시청자의 주관적 화질까지도 상당히 정확하게 추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안된 방법은 IPTV 사업에서 개별 고객들의 시청품질을 평가하는 품질관리 솔루션의 일부로 적용가능하며, 복잡한 연산은 품질관리서버가 수행하고, STB는 작고 가벼운 에이전트 프로그램만 탑재하면 되기 때문에 실용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해기사 직무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Mobile Application for Ship Officers' Job Stress Measurement and Management)

  • 양동복;김주성;김득봉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66-274
    • /
    • 2021
  • 해기사의 과도한 직무스트레스는 신체적, 정신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한 이직은 원활한 해기인력 수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기사의 체계적인 직무스트레스 측정 및 관리를 위한 도구로써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품질평가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인 Waterfall 모델에 따라 수행되었다. 요구분석 단계에서는 현직 해기사 및 해상직원 인사담당자 각 5명을 대상으로 Brain Storming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설계에 반영하였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요구사항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JSP와 Spring Framework를 활용하여 기능을 구현하였다. 애플리케이션의 작동 Test를 수행한 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입력한 직무스트레스, 정신건강, 진로적응성 등 입력 데이터에 따른 정상적인 출력 결과가 도시되었으며, 관리자 인터페이스에도 응답자의 입력 결과가 정상적으로 도시되고,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됨을 확인하였다. 요구사항 분석 참여 집단을 대상으로 ISO/IEC 9126-2 메트릭 기반의 5점 척도 품질평가를 시행한 결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4.70점, 관리자 인터페이스 4.72점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요구를 반영한 지속적인 개정 및 보완이 필요하며, 향후 수집된 Data의 분석 및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