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rious bacterial infection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31초

신증후군에서 의료방임으로 발생한 복부농양 1례 (A Case of Peritoneal Empyema in a Patient with Nephrotic Syndrome due to Medical Neglect)

  • 신윤혜;허준;이강균;임현이;배기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1호
    • /
    • pp.108-111
    • /
    • 2005
  • 세균성 복막염은 신증후군 환아의 생명을 위협하는 중요한 감염성 합병증으로 초기에 광범위한 항생제 병용치료가 이루어져야한다. 저자들은 신증후군 진단 후 치료가 지연된 환아에서 발생한 복막염 및 복부농양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외접근 비교정술 후 발생한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 치험례 (Herpes Simplex Virus Infection after Corrective Rhinoplasty through External Approach: Two Case Reports)

  • 김홍일;황소민;안성민;임광열;정용휘;송제니퍼김;정재용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8-71
    • /
    • 2012
  • Purpose: Eczema herpeticum, caused by herpes simplex virus, is an infectious disease involving skin and internal organs. Varieties of physiologic, psychosocial, or environmental stress reactivate reservoir virus which exists in the trigeminal nerve ganglia. Authors report rare cases of nasal eczema herpeticum following corrective rhinoplasty. Methods: First case, 22-year-old female underwent corrective rhioplasty through an external approach in a local clinic. She developed progressive and painful erythema, nodules and vesicles on nose on the 9th day postoperatively. This unfamiliar lesion lead to a misdiagnosis as a bacterial infection, and had accelerated its progress to the trigeminal innervation of the nasal unit. Second case, a 23-year-old female underwent corrective rhinoplasty by external lateral osteotomy. Ten days after the surgery, disruption occurred on the external osteotomy site, and the ulceration gradually worsened. The surgeon misdiagnosed it as secondary bacterial infection and only an antibacterial agent was applied. Results: Both cases were healed effectively without any complication with proper wound dressing and antiviral therapy, and show no sequelae during an 8-month follow-up period. Conclusion: Eczema herpeticum is rare in the field of plastic surgery, but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secondary bacterial infections may lead to serious complications such as full-thickness skin loss. Thus, acknowledgement of the patient's past history regarding perioral or intraoral lesion may provide the surgeon with the possible expectancy of eczema herpeticum. Thus, if anyone develops eczema herpeticum, following facial plastic surgery, early diagnosis and immediate proper antiviral therapy will allow fast recovery without serious complications.

어린 영아의 요로 감염에서 관습적인 요추 천자의 필요성에 대한 단일 기관 연구 (A Single Center Study of the Necessity for Routine Lumbar Puncture in Young Infants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 이창호;이계향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4권1호
    • /
    • pp.54-59
    • /
    • 2017
  • 목적: 생후 3개월 이하 어린 영아에서 심각한 세균 감염 가운데 요로 감염이 가장 흔하다. 요추 천자는 발열의 평가 시 기본 검사에 포함되어 시행되는 경우가 많지만, 요로 감염 환자에서 수막염을 진단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시행해야 하는 뚜렷한 지침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어린 영아의 요로 감염에서 동반되는 세균성 수막염 및 무균성 뇌척수액 백혈구증가증의 유병률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6년 5월 사이 대구가톨릭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요로 감염으로 입원하여 요추 천자를 시행한 생후 29일부터 99일 미만 영아 80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분석 변수로는 대상 환자들의 인구학적 특징, 임상 증상, 검사 결과 및 치료를 조사하였고, 뇌척수액 백혈구 증가증을 보이는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80명의 환자 가운데 34명(43%)에서 뇌척수액 백혈구증가증이 관찰되었다. 뇌척수액에서 세균이 배양된 경우는 없었다. 뇌척수액 장바이러스 중합효소연쇄반응은 56명(70%)에서 시행하였고, 뇌척수액 백혈구증가증이 나타나지 않은 환자들 중 2명에서 양성이었다. 뇌척수액 백혈구증가증을 보이는 군과 그렇지 않는 군 간에 인구학적 특징, 검사실 소견, 영상검사, 치료 및 경과에 있어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신생아기 이후 어린 영아의 요로 감염에서 동반되는 뇌척수액 백혈구증가증은 흔하지만, 이의 원인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가능성은 아주 낮다. 전신 상태나 검사실 소견을 종합하여 요추 천자의 적응증을 개별적으로 평가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Multiple brain abscesses treated by extraction of the maxillary molars with chronic apical lesion to remove the source of infection

  • Jung, Ki-Hyun;Ro, Seong-Su;Lee, Seong-Won;Jeon, Jae-Yoon;Park, Chang-Joo;Hwang, Kyung-Gyu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1권
    • /
    • pp.25.1-25.5
    • /
    • 2019
  • Background: Brain abscess is a life-threatening condition that occurs due to complications during a neurosurgical procedure, direct cranial trauma, or the presence of local or distal infection. Infection in the oral cavity can also be considered a source of brain abscess. Case presentation: A 45-year-old male patient was transported with brain abscess in the subcortical white matter. Navigation-guided abscess aspiration and drainage was performed in the right mid-frontal lobe, but the symptoms continued to worsen after the procedure. A panoramic radiograph showed alveolar bone resorption around the maxillary molars. The compromised maxillary molars were extracted under local anesthesia, and antibiotics were applied based on findings from bacterial culture. A brain MRI confirmed that the three brain abscesses in the frontal lobe were reduced in size, and the patient's symptoms began to improve after the extractions. Conclusion: This is a rare case report about multiple uncontrolled brain abscesses treated by removal of infection through the extraction of maxillary molars with odontogenic infection. Untreated odontogenic infection can also be considered a cause of brain abs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possibility that untreated odontogenic infection can lead to serious systemic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brain abscess. Throug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diagnosis and treatment, physicians should be encouraged to consider odontogenic infections as a potential cause of brain abscesses.

소함흉탕(小陷胸湯)의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활성 연구 (Antibacterial Effect of Sohamhyung-tang Against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염대열;백동기;송용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886-893
    • /
    • 2012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 cephalosporin and beta-lactam antibiotic-resistant strain. In most cases, MRSA is spread from infected patients and infection rates are growing increasingly. Furthermore, increased resistance to antibiotics is causing serious problems in the world. Staphylococcus aureus is responsible for both nosocomial and community-based infections that range from relatively minor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to life-threatening systemic infections.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lternative antimicrobial drugs for the treatment of infectious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timicrobial activity of oriental medicine prescription against MRSA.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Sohamhyung-tang water extract against S. aureus strains ranged from 500 to 2,000 ${\mu}g/mL$, so we have it confirmed that a strong antibacterial effect. Also, the combinations of Sohamhyung-tang water extract and conventional antibiotics exhibited improved inhibition of MRSA with synergy effect. We suggest that Sohamhyung-tang water extract against MRSA have antibacterial activity, it has potential as alternatives to antibiotic agent. We suggest that the Sohamhyung-tang water extract lead the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 to solve the resistance and remaining side-effect problems that are the major weak points of traditional antibiotics.

열이 있는 3개월 이하의 영아에서 세균성 감염의 예측에 대한 연구 (Study of Serious Bacterial Infections in Febrile Infants Younger than Three Months of Age)

  • 전명원;이지영;장영택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0권2호
    • /
    • pp.215-222
    • /
    • 2003
  • 목 적 : 3개월 이하의 영아가 열이 있는 경우에 세균성 질환의 가능성이 크고 단순한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과 감별이 어려워 여러 가지 검사 및 입원 치료를 하게 되는데,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을 분류하여 불필요한 검사와 치료를 줄이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통일된 방법은 없었다. 따라서 저자들은 열이 있는 3개월 이하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심각한 질환과의 관련성 및 치료 방향을 살펴보려고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1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전주 예수병원에 발열(항문 체온 ${\geq}38.0^{\circ}C$)을 주소로 내원한 3개월 이하의 영아들을 대상으로 내원 당시 검사기록을 기준으로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을 분류하고 이에 따른 심각한 세균성 질환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총 378명의 환아 중 고위험군 216명(57.1%), 저위험군 162명(42.9%)이었고,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항목 중에서는 말초 혈액 검사 이상이 100명(26.2%), 소변 검사이상이 99명(26.3%), 뇌척수액 검사 이상이 75명(22.3%)이었다. 2) 심각한 세균성 질환이 105명(27.8%), 심각한 질환이 172명(45.5%) 발생하였다. 이중 요로 감염이 98명(25.2%), 패혈증 10명(2.6%), 세균성 수막염 2명(0.6%), 무균성 수막염 77명(22.8%)이었다. 3) 고위험군 중 76명(35.2%)이 심각한 세균성 질환이었고 저위험군 중 29명(17.9%)이 심각한 세균성 질환이었다. 따라서 위험 예측기준의 민감도는 72.4%, 특이도는 48.7%, 음성 예측치는 82.1%, 양성 예측치는 35.2%이었다. 결 론 : 3개월 이하의 발열이 있는 영아를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분류하는 것은 심각한 세균성 질환을 예측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나, 본 병원에서는 저위험군에서도 상당수의 심각한 세균성 질환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저위험군이라 하여 외래에서 추적 관찰만 하는 것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단일기관에서 시행한 생후 100일 미만 영아에서 발생한 국소 증상 없는 발열에 대한 임상적인 특징에 관한 연구 (Clinical Characteristics of Fever without Localizing Sign in Infants Younger than 100 Days of Age in a Single Center)

  • 이현석;이계향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2호
    • /
    • pp.128-136
    • /
    • 2016
  • 목적: 세균성 백신의 도입으로 인해 세균성 감염의 빈도가 감소하고, 바이러스 질환의 진단법이 발달함에 따라 어린 영아에서 발생하는 발열의 원인에 대한 진단적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생후 100일 미만의 원인 불명 발열 환자들의 임상적인 특징을 조사하여 향후 대상 질환의 새로운 지침 수립을 위한 기초적인 국내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5년 9월 사이 대구가톨릭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발열로 입원한 생후 100일 미만 영아 183명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체온이 $37.8^{\circ}C$ 이상이며, 병력 및 신체 진찰에서 원인 병소가 뚜렷하지 않고, 이전에 특이병력 없이 건강한 만삭아를 선정 기준으로 하였다. 분석변수로는 대상 환자들의 인구학적 특징, 임상 증상, 검사 결과 및 치료를 조사하였다. 심각한 세균감염(serious bacterial infection, SBI) 군과 바이러스 감염 및 국소 증상 없는 발열 증후군을 non-SBI 군으로 분류하여 양군을 비교하고 SBI의 위험 인자를 알아보았다. 결과: 총 183명의 환자들 가운데 뇌척수액 검사는 181명(98.9%)에서 시행되었고, 뇌척수액 백혈구 증가증은 65명(35.9%)에서 관찰되었다. 이 중 28명(43%)은 요로 감염에서 동반되었다. 바이러스가 원인인 경우에는 장바이러스가 13명(30%)으로 가장 많았고, 계절적으로 여름에 호발하였다. 세균 중에서는 Escherichia coli 가 53명(70%)으로 가장 많았다. 진성 균혈증은 2명(1.1%)으로 각각 B군 사슬알균 수막염과 Staphylococcus aureus 요로 감염 1명에서 세균이 검출되었다. 초기 경험적 항생제는 cefotaxime과 ampicillin 병합투여가 132명(72.1%)로 가장 많았다. 최종 진단명은 국소 증상 없는 발열 증후군이 47명(25.7%)으로 가장 많았고, 요로 감염 41명(22.4%), 무균성 수막염 37명(20.2%) 순이었다. 39명(21.3%)에서는 중복 진단이었던 바 요로 감염과 무균성 수막염의 조합이 25명(13.7%)으로 가장 많았다. SBI는 77명(42.1%)으로, 세균성 수막염 1명을 제외하고 요로 감염이 76명(99%)를 차지하였다. 출생 체중, 말초 혈액 백혈구 수, 적혈구 침강속도, C-반응 단백 및 입원기간은 SBI군에서 non-SBI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남자(OR 4.93, 95% CI 1.60-15.24)와 농뇨(OR 18.88, 95% CI 6.76-52.76)가 SBI의 위험 인자로 나타났고, 형제가 있는 경우(OR 0.30, 95% CI 0.11-0.83)는 SBI의 위험이 낮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어린 영아의 심각한 세균 감염은 대부분 요로 감염이었고, 무균성 수막염이 동반되는 경우는 흔하지만, 세균성 수막염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변 검사를 통해 요로감염이 의심되는 어린 영아에서 요추 천자는 시행하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토마토 궤양병 신속 진단을 위한 Clavibacter michiganensis의 PCR 검출법 (PCR Detection Method for Rapid Diagnosis of Bacterial Canker Caused by Clavibacter michiganensis on Tomato)

  • 박미정;백창기;박종한
    • 식물병연구
    • /
    • 제24권4호
    • /
    • pp.342-347
    • /
    • 2018
  • Clavibacter michiganensis는 토마토에 궤양병을 일으키는 식물병원성 세균으로 인공배지에서 자라는 속도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감염조직으로부터 병원균을 분리 배양하는 방법을 통해서는 진단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토마토 궤양병균은 식물체 내에서 오랜 잠복기를 거친 후에 병징을 나타내기 때문에 방제하기 어려운 세균병 중에 하나이므로 발병 시 신속한 진단을 통해 빠른 방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마토 궤양병균의 검출을 위한 특이 프라이머를 제작함으로써 감염 식물체의 direct PCR을 통해 토마토 궤양병에 대한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새로 개발된 CmmF와 CmmR 프라이머 세트로 PCR을 수행했을 때, 토마토 궤양병균의 16-23S ribosomal RNA intergenic spacer 영역에서 약 165 bp의 단일 밴드가 특이적으로 증폭되었다. 반면에 토마토 궤양병균과 유연관계에 있는 고추 궤양병균이나 다른 Clavibacter 종 세균에서는 전혀 증폭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방법은 감염 식물체로부터 DNA를 추출하지 않더라도 감염조직의 즙액에서 바로 토마토 궤양병균의 DNA 증폭이 가능하고 총 진단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토마토 궤양병의 진단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urrent Challenges of Streptococcus Infection and Effective Molecular, Cellular, and Environmental Control Methods in Aquaculture

  • Mishra, Anshuman;Nam, Gyu-Hwi;Gim, Jeong-An;Lee, Hee-Eun;Jo, Ara;Kim, Heui-Soo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6호
    • /
    • pp.495-505
    • /
    • 2018
  • Several bacterial etiological agents of streptococcal disease have been associated with fish mortality and serious global economic loss. Bacterial identification based on biochemical, molecular, and phenotypic methods has been routinely used, along with assessment of morphological analyses. Among these, the molecular method of 16S rRNA sequencing is reliable, but presently, advanced genomics are preferred over other traditional identification methodologies. This review highlights the geographical variation in strains, their relatedness, as well as the complexity of diagnosis, pathogenesis, and various control methods of streptococcal infections. Several limitations, from diagnosis to control, have been reported, which make prevention and containment of streptococcal disease difficult. In this review, we discuss the challenges in diagnosis, pathogenesis, and control methods and suggest appropriate molecular (comparative genomics), cellular, and environmental solutions from among the best available possibilities.

반하 및 차나무의 기내배양시 발생하는 세균의 동정 및 항생제 감수성 검정 (Identification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of Bacteria from In Vitro Cultures of Pinellia ternata and Tea Plant)

  • 김행훈;조규택;윤문섭;윤주원;조은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189-194
    • /
    • 2003
  • Contamination of bacterial infection is one of serious problems in in vitro culture system of root crops. From the contaminated tubes over 140 of petiole cultures of Pinellia ternata, a medicinal plant, 4 genera 8species 48 strains of bacteria, including Aeromonas and Pseudomona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nd another 8 strains were not fully identified. Most of them were motile Gram positive bacteria as in common in early stage of in vitro cultures. Six strains of bacteria, 5 of Gram negative, including Enterobacter, and 1 of Gram positive, were identified from the embryonic axes cultures of tea plant. From the susceptibility test to pre-screened 5 antibiotics, all of the bacteria except for 2 species of Pseudomonas were susceptible to cefotaxime 60∼100mg/L. While 60mg/L erythromycin only was effective to Pseudomonas. Combination of erythromycin 20mg/L and cefotaxime 60mg/L totally suppressed the growth of all bacterial strains tested. Susceptibility test of bacteria from tea embryonic axes cultures showed similar results. Combination of erythromycin 35mg/L and cefotaxime 60mg/L was effective to 15 bacterial strains and partially effective to 1 unident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