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028초

치자 열매에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3,4-Dihydroxybenzoic Acid의 분리 (Isolation of 3,4-Dihydroxybenzoic Acid, Which Exhibits Antimicrobial Activity, from Fruits of Gardenia jasminoides Ellis)

  • 임철근;문제학;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386-1391
    • /
    • 1999
  • 치자(Gardenia jasminoides Ellis) 열매의 methanol추출물은 Gram양성 세균, Gram음성 세균, 효모 등의 미생물에 대하여 항미생물 활성을 보여,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ODS column chromatography, HPLC등에 의해 얻어진 활성 물질을 MS, GC-MS, $^{1}H-NMR,\;^{13}C-NMR$ 그리고 2D-NMR 등의 기기 분석에 의해 3,4-dihydroxybenzoic acid는 동정하였다. 치자 열매에서 3,4-dihydroxybenzoic acid가 항미생물 활성물질로 분리 동정된 것은 처음으로 생각된다. 3,4-dihydroxybenzoic acid는 건조 치자열매에 g당 $32.7\;{\mu}g$ 정도 함유되어 있었다.

  • PDF

한국산 배 (Pyrus pyrifolia Nakai)로부터 polyphenol 화합물의 구조결정 (Chemical Structure of Polyphenol Isolated from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 장운빈;최희진;한호석;박정혜;손준호;배종호;성태수;안봉전;김현구;최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59-967
    • /
    • 2003
  • 한국산 배를 60% acetone으로 추출하여 Sephadex LH-20 gel column chromatography, MCI-CHP 20 gel column chromatography, Bondapack $C_{18}$ gel column chromatography을 이용하여 TLC와 HPLC로 순도를 검증한 후 4종의 polyphenol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Compound A와 B는 Sepadex LH-20 gel column chromatography에서 증류수상에서 용출되었고 compound C는 40% methanol상에서 용출됨을 보아 compound B와 compound C는 흡착성이 강한 polyphenol 화합물이라 추정되었다. 분리, 정제한 4종의 compound를 NMR, FAM-mass 및 FT-IR를 이용하여 화학구조를 결정한 결과 compound A는 (+)-catechin, compound B는 (+)-gallocatechin, compound C는 (-)-epigallocatechin이고 compound D는 procyanidin B-3-3-o-gallate로 밝혀졌다.

두릅수피에서 항미생물활성을 갖는 3,4- dihydroxybenzoic acid의 분리 (Isolation of 3,4-Dihydroxybenzo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Bark of Aralia elata)

  • 마승진;고병섭;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07-812
    • /
    • 1995
  • 두릅나무(Aralia elata $S_{EEMANN}$) 껍질의 MeOH 추출물이 세균과 효모, 곰팡이에 대해 항미생물 활성을 보여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adsorptio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silica gel partition chromatography, HPLC, TLC 등의 기법으로 주활성본체를 분리하였다. MS, GC-MS, IR, 1^H-NMR, 13^C-NMR 등의 기기분석을 통해 항미생물 활성의 본체구명을 시도한 결과 3,4-dihydroxybenzoic acid로 동정되었다. 3,4-dihydroxybenzoic acid가 항미생물 활성본체로서 분리된 것도 처음으로 생각되며 두릅에서 이 물질이 분리, 동정된 것도 처음으로 생각된다. 건조 두릅껍질 g당 3,4-dihydroxybenzoic acid의 함량은 0.869mg 정도이었다.

  • PDF

솔잎에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Cinnamic Acid 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innam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Needle of Pinus densiflora)

  • 국주희;마승진;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823-826
    • /
    • 1997
  •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 잎의 EtOAc 추출물이 세균, 효모, 곰팡이에 대하여 항미생물활성을 나타냈다. 활성물질은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등에 의해 정제되고 HPLC에 의해 분리되었다. 분리된 물질은 MS, $^{1}H-NMR,\;^{13}C-NMR$ 등의 기기분석에 의해 trans-cinnamic acid로 동정되었으며 이 물질은 솔잎 생체중량 g당 $9.27\;{\mu}g$정도 함유되어 있었다.

  • PDF

땅콩껍질에서 항미생물 활성을 지닌 pratensein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atensein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the Peanut Shells)

  • 위지향;문제학;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43-647
    • /
    • 2004
  • 땅콩껍질에 함유된 항미생물 활성물질의 탐색을 위해 땅콩껍질을 MeOH로 추출하고 이 MeOH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EtOAc 중성획분을 얻었다. 이 획분에 함유된 항미생물 활성물질을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ODS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한 다음 HPLC를 이용하여 1종의 화합물을 단리하였다. $^1H-NMR$, MS 및 NOESY 분석에 의해 땅콩껍질로부터 분리된 항미생물 활성물질은 pratensein으로 동정되었다.

솔잎에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benzoic acid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nzo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Needle of Pinus densiflora)

  • 국주희;마승진;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4-210
    • /
    • 1997
  •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arini) 잎의 ethyl acetate 추출물은 세균, 효모, 곰팡이에 대하여 항미생물활성을 나타내었다. 활성물질을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등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결정상 물질로 단리하였다. $MS,\;^{1}H-NMR,\;^{13}C-NMR$ 등의 기기분석에 의해 단리된 물질의 구조해석을 시도한 결과 benzoic acid로 동정되었다. Benzoic acid가 솔잎에서 분리, 동정된 것은 처음으로 생각되며 특히, 솔잎 생체중량 g당 0.608 mg이나 함유되어 있어, 타 식물체에 비하여 대단히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백두옹에서 항미생물 활성을 갖는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와 3,4-Dihydroxycinnamic Acid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 and 3,4-Dihydroxycinnam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Root of Pulsatilla koreana)

  • 이향희;마승진;문제학;박근형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2호
    • /
    • pp.191-196
    • /
    • 1998
  • 할미꽃 $(Pulsatilla\;koreana\;N_{AKAI})$ 뿌리인 백두옹의 MeOH 추출물이 세균과 효모 등의 미생물에 대해 항미생물 활성을 나타내자 백두옹에 함유된 항미생물 활성물질의 탐색을 시도하였다. MeOH 추출물을 생물검정법을 지표로 solvent fractionation,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등으로 정제하고, HPLC에 의해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두 활성물질은 MS, $^{1}H-NMR$, $^{13}C-NMR$에 의해 4-hydroxy-3-methoxycinnamic acid와 3,4-dihydroxycinnamic acid로 동정되었다.

  • PDF

개오동나무 잎으로부터 항산화 활성을 갖는 lignan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ignans as Antioxidant from loaves of Catalpa ovata G. $D_{ON}$)

  • 국주희;마승진;문제학;박근형
    • KSBB Journal
    • /
    • 제18권6호
    • /
    • pp.511-516
    • /
    • 2003
  • 개오동나무 (Catalpa ovata G. Don) 잎의 MeOH 추출물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냈으며, 이에 개오동나무 잎에 함유된 항산화물질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MeOH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EtOAc 가용 중성획분을 얻고,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로 정제한 다음 HPLC에 의해 3종의 활성물질을 단리하였다. 단리된 물질들은 HR-MS, 1H-NMR, 13C-NMR, 2D-NMR 등의 기기분석에 의해 piperitol, pinoresinol, lariciresinol로 동정하였다. 이들 물질들을 대상으로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조사한 결과, lariciresinol ($SC_{50}$/, 19$\mu\textrm{g}$/mL) > pinoresinol ($SC_{50}$/, 31$\mu\textrm{g}$/mL) > piperitol ($SC_{50}$/, 59$\mu\textrm{g}$/mL)의 순으로 항산화활성이 나타났다.

야관문(Lespedeza cuneata) 종자의 열수 및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Lespedeza cuneata Seeds)

  • 김선재;김두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32-335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야관문의 열수 및 ethanol추출조건에 따른 항산화활성의 변화를 비교평가 하고자 하였다. 야관문에 존재하는 항산화물질은 용매분획 과정 중에서 열수추출조건에 비해 ethanol 추출조건에서 항산화 성분이 잘 이행되었고, 열수추출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활성이 낮게 나타났다. Silica gel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상의 chloroform-methanol의 용매계에서 각 획분에 대해 DPPH-radical scavenging 효과를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한 경우는 methanol함량이 50% 부근을 중심으로 활성이 나타났다. 반면 ethanol 추출한 경우는 methanol함량이 50-60% 부근을 중심으로 활성이 나타나, 열수 추출물과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물질의 성질은 약간의 차이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Sephadex LH-20의 gel filtration으로 분획한 결과 두가지 처리조건 모두 bed volumn에 대한 elution volumn의 비(Ve/Vt)가 1.25-1.52의 용출범위(1.1-2.2 g)에 활성이 인정되었다. 열수추출 및 ethanol 추출 조건의 경우 항산화 활성물질의 HPLC retention time은 각각 7.25분 그리고 7.41분으로 나타났지만 두 peak의 HPLC상의 거동이 일치하여 동일한 성분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다제내성 Staphylococcus aureus에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CNU30122 균주가 생산하는 항생물질 (An Antibiotic against Multidrug-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Produced by Strain CNU30122)

  • 윤봉식;조수묵;김창진;유익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77-580
    • /
    • 1995
  • 다제내성 Staphylococcus aureus균주에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CNU30122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CNU30122균주의 배양액 추출물로부터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y, ethylacetate 추출, silica gel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HPLC 등에 의해 백색분말의 순수한 화합물을 분리정제 하였다. 본 물질의 구조분석을 위하여 $^1H$$^{13}C\;NMR,\;DEPT,\;^1H-^1H\;COSY,\;^1H-^{13}C\;COSY$ 및 HMBC spectrum을 분석한 결과 본 물질은 분자량 516, 분자식 $C_{31}H_{48}O_6$의 tetracyclic triterpenoic acid 계열인 fusidic acid로 동정 되었다. 본화합물은 streptomycin, pecicillin, kanamycin, tetracycline 등의 약제에 내성균주인 Staphylococcus aureus R209 균주에 선택적으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