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oul's Residential Area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초

비수도권 지역에 독립 거주 중인 미혼 청년 가구의 월세 부담 및 거주성 비교 분석 (Incongruence Between Housing Affordability and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of Young Renters Living Independently in Non-Seoul Metropolitan Area)

  • 이현정;남상준
    • 토지주택연구
    • /
    • 제15권1호
    • /
    • pp.1-22
    • /
    • 2024
  • 본 연구는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하는 비수도권 지역의 청년(19-34세) 월세 가구를 대상으로 거주지 2곳으로 나뉘어 거주실태와 주거소비수준을 비교하였다. 조사대상 주거 독립 청년은 대체로 20대 중반의 대졸 이상 고학력 임금근로자로 1인 가구였고, 특・광역시에 거주하는 청년 가구 중 고학력자가 많은 반면 비특・광역시에서 임금근로 자가 많았다. 청년 가구는 원룸형의 아파트가 아닌 주택에 2년 미만 거주해 오는 무부채 가구로 주거복지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다. 극소수만 이용 중인 주거복지서비스는 주로 공공임대주택과 주거복지 상담 및 정보 이용 서비스에 편향되었다. 또한 지역 주택시장의 차이로 비특・광역시보다 특・광역시 가구가 2배 더 많은 보증금과 약간 더 높은 임대료를 부담하였다. 주거비 지표 중 슈바베지수와 소득대비주거비에서 두 지역 모두 기준선(25%) 이상의 과부담 가구가 다수였고, RIR 30% 이상인 주거빈곤층도 상당수였다. 주거비 지표의 영향 변인으로 소득 증가와 주거 복지서비스 이용이 슈바베지수와 소득대비주거비를 감소시켰고, 추가로 비특・광역시에서 주택만족도를 증가시켰다. 한편 거주환경의 세부 요소들은 생활환경과 편의시설 요인으로 대별되었고, 생활환경 요인 중 치안 및 방범 상태, 주변 도로의 보행 안전, 대기오염 정도, 이웃과의 관계 4가지 요소만 지역 간 차이를 보여 특・광역시보다 비특・광역시에서 더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아울러 거주환경 지표로 주택 및 전체 주거환경 만족도는 생활환경과 편의시설에 만족할수록 상승하였으며, 공통 설명 변인으로 주택 만족도에서 주택규모와 노후주택 거주, 전체 주거환경에서 주택만족도가 추가되었다. 이처럼 주거 독립한 비수도권 청년에게 주거사다리의 첫 진입 단계인 월세 거주는 주거비 부담을 현저히 키우므로 이를 경감시키는 지원과 함께 생활환경과 편의시설을 개선하는 거주성 확보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물리적 도시공간구조가 상업용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Urban Space Structure on Commercial Real Estate Markets)

  • 김경민;신상묵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1-85
    • /
    • 2013
  • 본 연구는 개별 상업용 건물들을 중심으로 주변지역에 위치한 상업용 건물들과 주거지 개발패턴이 해당 건물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함으로써 물리적 도시공간구조가 부동산시장, 특히 상업용 부동산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GI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용도간 근접성을 체크하였다. 연구 결과, 용도혼합이 오프스 건물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뉴 어버니즘에서 강조하는 복합용도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GIS기술을 이용하여 기존 연구들이 경제사회변수와 같은 대리변수를 사용했던 한계를 극복하고, 공간구조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토지이용에 따른 2차원분석이 아니라, 각 건물의 높이를 계산하여 3차원 분석을 함으로써 공간의 이용과 함께 밀도까지 고려한 방법론을 사용한 의의가 있다.

  • PDF

청년층 가구의 주거실태 변화에 관한 종단 분석 (A Longitudinal Analysis of Residential Environment Quality and Housing Expense of Young Households)

  • 이현정;임태균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2호
    • /
    • pp.31-47
    • /
    • 2022
  • 본 연구는 청년층 가구의 주거실태 변화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전국 가구와 비교하고자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5차 웨이브(2010년)와 15차 웨이브(2020년)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청년층 가구 수는 조사 기간 중 절반 수준으로 급감하였고, 청년층 가구의 가구주는 주로 대졸 이상의 고학력 30대 초반 기혼한 남성 임금근로자였다. 10년 간 고학력자와 임금근로자의 비율이 크게 늘어나면서 소득도 향상되었으나 여성 가구주와 미혼 1인 가구의 증가가 두드러지면서 전국 평균 소득과의 격차가 줄어들었다. 청년층 가구는 대체로 비수도권 지역에 거주하였고, 침실 2실을 갖춘 중형 공동주택의 임차인이었다. 특히 아파트 외 공동주택에서 월세로 거주하는 가구 비율이 높아지면서 주거비 부담은 전국 평균을 웃돌았고, 주거비를 25% 이상 부담하는 가구의 증가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다만 청년층 가구의 수도권 거주 비율이 전국 평균을 상회하고, 조사 기간 동안 전국 가구에서 월세 거주 가구가 차지하는 비율에 변화가 없는 것과 달리 청년층 월세 가구 비율이 현저히 상승함에 따라 실제 청년층 차가 가구의 실질적인 주거비 부담은 더욱 커졌다. 또한 전국 평균을 밑도는 청년층 자가 비율과 함께 조사 기간 중 전국 자가 비율의 플러스 성장과 달리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인 청년층 자가율의 변화폭은 주거사다리의 진입이 어려워진 청년층 가구에게 비우호적인 주택시장 여건을 보여준다. 따라서 청년층 친화적인 주택시장 여건 조성을 위한 시책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아동과 어머니의 정서성에 대한 연구 - 가족생활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motionality of Child and Mother)

  • 이태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63-580
    • /
    • 1974
  • A Study of the Emotionality of Child and Mot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imarily to understand the emotional climate of child and mother, which is a significant factor in child study and the home life. A sample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1,592 of whom 796 are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their mothers. Of these 796 children 440 are fom private schools, 190 from public schools in Seoul. The rest are taken from a farming area, 100 kilometers from Seoul. The data was basically obtained through answers to a questionaire distributed in September 1973. In this study, the cross-sectional method, percentage calculation and chi-square test are adapted from factor analysis. With this limited amount of data special attention now,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analysis although special attention should be given in making any kind of generalization about the entire population. 1) Children's emotionality (a) There is a higher percentage of emotionally well-adjusted children as opposed to maladjusted children.(51%>11%) (b)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ality and the following factors: grade, sex, residential area, school records, and educational level of their mothers. 2) Mother's Emotionality (a) There are more mothers who consider themselves happy than unhappy.(49%>2%) On the other hand a higher percentage of mothers reported feelings of tension and insecurity as compared to those who had feelings of firm security(65%>5%) (b) There is a high correlationshionship between marital adjustment and marital happiness. In other words, the more adjusted, the happier. A high marital happiness has strong influence on the preference of sex, on children's adjustment to their friends, and their present living condition. (c)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high marital adjustment and the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being fond of fathers, homelife, and the acquaintance with many friends. In the same way, the positive emotionality of a mother in raising her children and their school records are also important. 3)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 and her chid There is a close bond of love and respect between a mother and her child. Moreover, a high frequence of close and open-minded communication exist between them in a family. It is evident that the emotional climate of the mother has a strong and powerful influence on her child.

  • PDF

교통흐름에 기인하는 미세먼지 노출 도시인구에 대한 시.공간적 분석 (Spacio-temporal Analysis of Urban Population Exposure to Traffic-Related air Pollution)

  • 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9-77
    • /
    • 2008
  • 자동차를 중심으로 하는 도로교통량이 크게 늘면서 교통에 기인한 다양한 피해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교통량이 집중되는 대도시에서는 교통에 기인한 도시민의 건강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에 기인한 미세먼지의 피해를 직접적으로 받는 도시인구는 미세먼지의 주 발생원인 교통흐름이 있는 도로변에 가까이에 노출되는 도시민들이라고 보고 도시 공간 내에서 교통흐름과 미세먼지, 그리고 도시 통행인구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기오염문제가 심각한 서울을 대상으로 교통에 기인한 미세먼지의 실태를 살펴보고, 서울을 둘러싸고 있는 경기도 일대에 대단위 주거지들이 밀집된 신도시들이 개발되면서 나타나는 인구분포와 통행패턴, 그리고 교통흐름 및 미세먼지 농도에 나타나는 공간적 변화와 이들 간의 공간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GIS를 적용하였다. 또한 교통카드 트랜잭션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마이닝기법으로 추출해낸 통행흐름 자료를 이용하여 통행시간별 통행인구분포도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통에 기인한 미세먼지에 직접 노출하게 되는 도시인구를 산정하는 시 공간적 모형개발을 시도하였다.

  • PDF

노인공동생활주택의 개발자 유형에 따른 개발과 관리 특성 선호경향 - 개발$\cdot$거주, 비용을 중심으로 - (Preferences 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Developer Type - Focused on Development$\cdot$Residence, Cost)

  • 서은미;홍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6호
    • /
    • pp.39-5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preferences 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senior congregat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ferred developer type. For social survey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1-20, 2004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 people in 40s-60s using questionnaire which distributed only to those having at least $60\%$ of positive interest in developing the senior congregate housing.'rho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ince majority of respondents wanted to have their old age from mid-60's after retirement more independently, the housing should be designed in a way for them to stay in the m's length of friends and community people. Residential spaces should be individually partitioned and various services should be provided in a semi-dependent manner. The location should be where the medical services were systematically available and ambient environment was agreeable. Second, the cohousing type developers preferred to develop the housing in a form of joint investment with the Potential residents, while the individual developers would like to sell or rent the housing thus would ask for the locations at the outskirts of big cities. In conclusion, most respondents had comparatively similar opinions in terms of the preferred types of development, residential aspects and cost features of the senior congregate housing.

경기도의 옥상녹화 가용면적 추정과 이의 정책적 함의 (Estimation of the Potential Area for Roof Greening in Gyeonggi-do and Its Implications)

  • 박은진;남미아;강규이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7-117
    • /
    • 2012
  • We estimated the potential area roof greening in Gyeonggi-do that will mitigate the heat island effect. The estimation was based on building age, roof shape, and building use which were recorded in the building register from "Sewoomteo, the Building Administration System in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he estimated potential roof greening area in Gyeonggi-do was approximately $102.5km^2$ assuming that the buildings for residence, public, education(school), office, shopping mall are appropriate for roof greening. The area occupied by apartment buildings over six-story was 76.3% of the potential roof greening area 10.2% for individual houses, 5.9% for under five-story apartment buildings, and 3.7% for school buildings. The result indicated that it is residential buildings that we need to pay attention for roof greening, especially high-rise buildings over six-story. Greening of the whole estimated area, $102.5km^2$, in Gyeonggi-do will result in the increase of green space per capita by $8.74m^2$. This is 1.65 times greater than the area of current urban parks, and 1.97 times greater than the total area of neighborhood parks, children's parks, and pocket parks. Greening of the estimated roof area will increase green coverage of urban area by twice, adding to current green coverage of the urban areas, 11.3%, in 10 major cities. In particular, the effect of roof greening would be remarkable in inceasing the green space of Anyang City, Gwangmyeong City, and Guri City where neighborhood park area falls short.

외국인 밀집지역에서의 문화적 성향과 건조환경에 관한 연구 : 대림2동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ltural tendency and Built Environment of Foreigner Cluster: for Daelim 2dong Chinatown)

  • 박찬영;최준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37-145
    • /
    • 2020
  • 본 연구는 중국의 문화 성향이 국내 중국인 집단거주지역에서 물리적 건조환경의 변화에 대한 영향과 두 요소간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국가의 문화를 정량적으로 정의하고 비교할 수 있는 호프스테드의 cultural dimension 이론을 활용하여 중국의 문화 성향을 조사하고, 선행연구를 통한 선정한 환경평가요소를 기준으로 대상지를 실증조사하고 문화 성향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인의 집단주의적이고 불확실성회피하는 성향이 대림2동의 중국인 집단거주지역의 건조 환경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주민 공동체의 문화 성향이 집단거주지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차이나타운을 포함한 다양한 이주민 공동체마다 적합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서울시 도시열섬현상 지역의 물리적 환경과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 탐색 (Exploring Physical Environments,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Areas in Seoul, Korea)

  • 조혜민;하재현;이수기
    • 지역연구
    • /
    • 제35권4호
    • /
    • pp.61-73
    • /
    • 2019
  • 도시의 개발과 고밀화는 도시공간의 기온이 주변지역보다 높아지는 도시열섬(Urban Heat Island)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도시열섬현상은 기후변화와 함께 그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여름철 도시의 대기온도가 상승할 때 소득이 낮은 계층, 고령인구, 건강에 문제가 있는 사회적 취약계층은 높아진 열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의 열섬지역을 공간통계 기법인 Hotspot 분석을 통해 도출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열섬지역의 물리적 환경과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서울시 423개 행정동을 대상으로 동별 평균 대기온도를 이용하여 도시열섬 Hotspot 분석을 실행한 결과, 서울시 중구, 종로구, 용산구, 영등포구에서 도시열섬 지역이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열섬지역의 물리적 환경 특성을 분석한 결과, 주거시설 연면적 비율, 상업시설 연면적 비율, 용적률, 불투수면 비율, 정규화식생지수(NDVI)가 열섬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열섬지역의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열환경 취약지역을 분석한 결과,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독거노인 비율, 기초생활수급을 받는 독거노인 비율 등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열섬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적 환경변수를 도출하고 사회적 취약계층의 공간적 분포와 도시열섬지역이 중첩되어 있는 지역을 판별함으로써 향후 취약계층을 고려한 도시 열환경 설계와 정책 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중학생의 시간관리 : 관련변수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The Time Management Practice of Middle School Students : Affecting Variables and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

  • 박은정;김외숙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2권1호
    • /
    • pp.41-5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variables affecting time management practi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ctic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Questionnaires including a time management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the survey data were taken from 352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e analysis wer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variables affecting student time management were gender, their standard of living, parental educational level and parental occupation. Religion and residential area were indicated as variables affecting several subscales of time management but the academic year of student had no effect on student time management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slightly positive. Developing programs for time management in the field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is also necessa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