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o-Nakdong River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8초

Preference of Physical Microhabitat on the $1^{st}$-class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naktongensis inhabiting the Gam Stream, Tributary of the Nakdong River

  • Seo, Jin-Won;Kim, Hee-Sung;Yi, Hye-Suk;Jeong, Sun-A
    • 생태와환경
    • /
    • 제42권4호
    • /
    • pp.495-501
    • /
    • 2009
  • The study was conducted in 2007~2008 in order to understand preference of physical microhabitat on the $1^{st}$-class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naktongensis inhabiting the Gam Stream, tributary of Nakdong River. The total number of fish caught from the study sites was 3,671 representing 7 families 24 species. There were 8 Korean endemic species including Odontobutis platycephala, and 2 introduced species (Carassius cuvieri, Micropterus salmoides) were found. According to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hysical microhabitat on Gobiobotia naktongensis caught in the Gam Stream, a total of 57 individuals were found at shallow depth (0.14~0.46 m) and run (0.239~0.585m $sec^{-1}$). As a result of sieve analysis, stream beds consisted of about 1% gravel and 99% sand (83.4% coarse sand, 15.6% find sand). Therefore, Gobiobotia naktongensis seemed to inhabit shallow-run with coarse sand bed than deep-pool microhabitat. The findings indicate preference of physical microhabitat on Gobiobotia naktongensis, and it is important to enhance efficiency of fish conservation and ecological restoration with understanding species-specific characteristics in microhabitat including protected species.

낙동강 수계에서의 자외선 차단제류 검출 특성 : 본류, 지류 및 하수처리장 방류수 (Occurrence of UV Filters in Nakdong River Basin : Mainstreams, Tributaries and STP Effluents)

  • 서창동;손희종;최진택;유평종;장성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472-479
    • /
    • 2015
  • 낙동강 수계에서의 자외선 차단제류 검출현황을 조사한 결과, 본류 및 지류 20지점 중 5지점에서 EHS, BP-3, 4-MBC, BZC 및 EHMC 5종이 검출되었으며, 본류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지류의 경우는 금호강 상류, 신천, 금호강 하류, 진천천 및 양산천에서 EHS가 ND~60.8 ng/L, BP-3가 ND~72.1 ng/L, 4-MBC가 ND~57.2 ng/L, BZC가 ND~60.1 ng/L 및 EHMC가 ND~85.2 ng/L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낙동강 주변에 위치한 11개 하수처리장 방류수들에서는 EHS, BP-3, 4-MBC, BZC 및 EHMC 5종이 각각 ND~89.3 ng/L, ND~90.8 ng/L, ND~88.1 ng/L, ND~118.5 ng/L 및 ND~104.4 ng/L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낙동강 수계 및 낙동강 주변에 위치한 11개 하수처리장 방류수들에서의 계절별 자외선 차단제류의 분포비율은, 6월과 9월에는 대체적으로 유사한 분포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4월과 11월에는 검출농도 뿐만 아니라 구성종 비율의 변화폭도 매우 크게 나타났다.

낙동강 수계에서의 유기인계 난연제류 검출 현황 : 본류, 지류 및 하수처리장 방류수 (Occurrence of Organophosphorus Flame Retardants (OPFRs) in Nakdong River Basin : Mainstreams, Tributaries and STP Effluents)

  • 서창동;손희종;최진택;류동춘;유평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396-403
    • /
    • 2015
  • 낙동강 수계에서의 유기인계 난연제류(OPFRs) 검출현황을 조사한 결과, 본류 및 지류 20지점 중 6지점에서 TCEP, TCPP 및 TBEP 3종이 검출되었으며, 본류에서는 고령에서만 TCPP가 ND~114.9 ng/L 및 TBEP가 ND~49.1 ng/L의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지류의 경우는 금호강 상류, 신천, 금호강 하류, 진천천 및 양산천에서 TCEP가 ND~1,865.3 ng/L, TCPP가 ND~519.2 ng/L 및 TBEP가 ND~210.4 ng/L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낙동강 주변에 위치한 11개 하수처리장 방류수들에서는 TBP, TCEP, TCPP 및 TBEP 4종이 각각 ND~458.5 ng/L, ND~2,932.7 ng/L, ND~1,320.7 ng/L 및 ND~655.2 ng/L의 농도로 검출되었다. 낙동강 수계 및 낙동강 주변에 위치한 11개 하수처리장 방류수들에서의 계절별 OPFRs 분포비율을 분석한 결과, 동일 지점에서도 채수시기에 따라 검출농도 뿐만 아니라 구성종 비율의 변화폭도 매우 크게 나타났다.

낙동강 하류부에서 Stephanodiscus속에 의한 수화 발생시 미생물먹이망 군집 동태 (The Community Dynamics of Microbial Food Web during Algal Bloom by Stephanodiscus spp.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 서정관;이혜진;정익교
    • 환경생물
    • /
    • 제28권3호
    • /
    • pp.172-178
    • /
    • 2010
  • 조사지점인 구포에서 발생한 규조류인 Stephanodiscus 속에 의한 수화현상은 본 연구 시점인 1월부터 관찰되었으며 4월 18일을 기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테리아 군집은 규조류 대증식 현상이 소멸한 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규조류 수화현상이 종결되면서 조류에 의한 분비물 및 세포 분해 산물(cell lysis)이 수중에 많이 공급되어 박테리아 증식이 용이해졌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박테리아의 주요 포식자로 알려진 미세편모충류 (heterotrophic nanoflagellate)는 박테리아 군집이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섬모충류는 미세편모충류의 군집증가 이후 수적인 증가가 관찰되었다. 규조류 대증식 현상이 약화되기 시작하여 종식되는 4월부터 5월까지는 Strombilidium속과 Tintinnidium속 이외에 근족충류에 속하는 Arcella sp.가 대량 증식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규조류 수화 현상이 종결되면서 수온이 상승하는 4월 중순 이후 급격히 늘어나는 현상을 보였으며, 대표적인 종은 윤충류인 Brachionous sp. 종으로 나타났다. 규조류 수화현상이 일어난 1월부터 3월까지 측정된 기초생산력은 월 평균 11,765.7 mgC $m^{-2}day^{-1}$으로 기온과 일사량이 낮은 동절기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규조류 대증식이 약화된 3월의 경우 식물플랑크톤의 순성장율이 0.007로 낮게 나타났고 수화현상이 보다 약화된 4월 조사에는 포식에 의한 치사율이 높아져서 순성장율이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낙동강하류에서 발생한 규조류 수화현상의 종결에 있어서 미생물먹이망을 구성하는 섬모충류등 원생동물과 동물플랑크톤에 의한 포식활동의 역할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화현상이 약화된 이후에 수체 내에 증가한 용존 유기물 등을 이용하기 위해 박테리아 개체군이 증가하였고 이와 관련되어 미생물먹이망 내 다양한 포식관계에 의해 미세편모충류, 섬모충류, 동물플랑크톤의 개체군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 모래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와 분포양상 (Faunal Composition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Macrozoobenthos in the Tidal Flat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 서진영;최진우;신경순
    •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1-91
    • /
    • 2020
  • 낙동강 하구 울타리섬 주변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저서동물의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2016년과 2017년 5월에 신자도, 진우도, 을숙도에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해역에서는 31~39종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고, 서식밀도는 789~1,644 ind.m-2의 범위를 보였다. 출현종수는 신자도에서 가장 높았으나, 서식밀도는 신자도에서 가장 낮았고, 진우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의 주요 우점종은 갑각류의 Gammaridae unid., 다모류의 Scoletoma heteropoda, Scoloplos armiger, Heteromastus filiformis, Prionospio japonica, 연체동물의 댕가리(Batillaria cumingii), Laternula marilina 등이었다. 세 지역 모두 갯벌의 상부지역에서는 갑각류와 연체동물의 비중이 높았고, 하부로 갈수록 다모류의 비중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육식자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으나, 니질 퇴적물의 함량이 높은 지역에서는 퇴적물 안정화에 기여하는 tube-builder가 속한 표층 퇴적물 식자의 비중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낙동강 하구 모래갯벌의 대형저서생물상은 국내 다른 하구 모래갯벌이나 조간대 모래갯벌의 생물상과 유사한 종조성과 분포양상을 보였다.

신경망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 하도유출 예측 및 홍수예경보 이용 (Real-Time Forecasting of Flood Runoff Based on Neural Networks in Nakdong River Basin & Application to Flood Warning System)

  • 윤강훈;서봉철;신현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145-154
    • /
    • 2004
  • 본 연구는 비선형성이 강한 강우-유출의 특성을 고려하여 홍수시 하도의 유출을 예측하고 하천유역의 홍수예경보에 이용하기 위하여 신경망 시스템의 모형화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신경망을 이용한 실시간 하도홍수 예측모형(Neural River Discharge-Stage Forecasting Mudel; NRDFM)은 낙동강 유역의 왜관 및 진동 지점의 홍수량 예측에 적용하였다. NRDFM에 의한 하도홍수량의 왜관 및 진동 지점 예측결과를 실측치와 비교$\cdot$검토한 결과 제시한 세 가지 모형 중 NRDFM-II의 예측성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NRDFM-I 및 NRDFM-II도 충분한 예측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은 실시간 홍수예경보로의 적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홍수를 통제 및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geoA 유전자를 이용한 사상형 남조류(Nostocales, Oscillatoriales)의 Geosmin 생성능 검출 (Detection of Geosmin Production Capability Using geoA Gene in Filamentous Cyanobacteria (Nostocales, Oscillatoriales) Strains)

  • 류희성;신라영;서경애;이정호;김경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61-668
    • /
    • 2018
  • Geosmin is volatile metabolites produced by a range of filamentous cyanobacteria which causes taste and odor problems in drinking water. Molecular ecological methods which target biosynthetic genes (geoA) are widely adopted to detect geosmin-producing cyanobacteri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production capability of 8 strains isolated from the Nakdong River. Ultimately, a suggestion for a genetical monitoring tool for the identification of geosmin producers in domestic waters was to be made. Geosmin was detected using solid phase microextraction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SPME GC-MS) in two strains of Dolichospermum plactonicum (DGUC006, DGUC012) that were cultured for 28 day. The highest concentrations during the experiment period was $17,535ngL^{-1}$ and $14,311ngL^{-1}$ respectively. Additionally, geoA genes were amplified using two primers (geo78F/971R and geo78F/982R) from strains shown to produce geosmin, while amplification products were not detected in any of non-producing strains. PCR product (766 bp) was slightly shorter than the expected size for geosmin producers. According to the BLAST analysis, amplified genes were at nucleotide level with Anabaena ucrainica (HQ404996, HQ404997), Dolichospermum planctonicum (KM13400) and Dolichospermum ucrainicum (MF996872) between 99 ~ 100 %. Both strains were thus confirmed as potential geosmin-producing species. We concluded that the molecular method of analysis was a useful tool for monitoring potential cyanobacterial producers of geosmin.

수리거동곡선 모형의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of the Hydraulic Performance Graph Model and its Application)

  • 서용원;서일원;신재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373-1382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하도의 수면곡선을 작성하고 통수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하도구간 사이의 배수위 영향 및 유출을 고려할 수 있는 수리거동곡선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낙동강 하도구간에 적용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본 모형 적용 결과, 수리거동곡선에 의한 수위 모의 결과가 기존 수위관측소 자료와 비교하여 잘 부합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널리 이용되고 있는 범용 모형인 HEC-RAS의 모의 결과와도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상구간 내 하나의 수위 관측소를 미계측 지점으로 가정하여 본 모형에 의한 수위예측치를 관측수위와 비교한 결과, 홍수기와 같이 시간에 따른 유량 변화가 크게 나타날 경우 상승기에는 과소 예측을 하고 하강기에는 과대 예측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책으로서 관측 지점과 예측 지점간의 홍수파 도달시간을 고려했을 경우, 수리거동곡선을 이용한 미계측 지점의 수위 예측 정확도가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VARIATE ANALYSIS에 의한 월류량에 모의발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THETIC GENERATION OF MONTHLY STREAMFLOW BY BIVARIATE ANALYSIS)

  • 서병하;윤용남;강관원
    • 물과 미래
    • /
    • 제12권2호
    • /
    • pp.63-69
    • /
    • 1979
  • The sequences of monthly streamflows constitute a non-statonary time series. The purely stochastic model has been applied to data generation of non-stationary time series. Tow different mothods--single site and multisite generation--have been used on the hydrologic time series. In this study the synthetic generation method by bivariate analysis, studied by Thomas Fiering, one of multi-site models, has been applied to the historical data on monthly streamflows at two sites in Nakdong River, and also for validity of this model the single site Thomas Fiering model appli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it has been shown that the performance of bivariate Thomas Fiering model was better than that of the other. By comparison of mean and standard deviaion between the historical and the generated, and cross correlogram interpretation, it has been known that the model used herein has good performance to simultaneously generate the monthly streamflows at two sites in a river has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