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system

검색결과 809건 처리시간 0.029초

쓴 맛 물질의 표면 장력과 쓴 맛의 상관 관계 (Research on the Correlation of the Surface Tension and Sensory Quality of Bitter Substances)

  • 김정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46-651
    • /
    • 1995
  • 순수 물질 수용액의 표면장력치 측정과 JND를 통한 맛 관능 분석에 의해 쓴 맛 물질의 표면 장력과 쓴 맛 간의 상관성을 연구한 결과, 모든 쓴 맛 물질 수용액은 용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표면 장력이 감소되어 Szyszkowski 방정식과 Techplot program으로 표면 장력 감소 곡선을 수학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고 또한 관능 분석에 의한 JND 맛 곡선도 같은 방법으로 묘사하여 상호 비교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측정된 모든 쓴 맛 성분들에 대하여 표면 장력 곡선으로부터 상수 a, b 값을, 맛 곡선으로부터 상수 A, B 값을 계산하여 쓴 맛 인지역치 $log\;C_{1}$과 평형 상수 b 값 간의 음의 상관 관계식을 구하였다. 또한 쓴 맛 인지역치 농도 $log\;C_{1}$과 기계적인 측정치로 산출된 parameter들의 상관성을 PV-wave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3차원적으로 비교한 $log\;C_{1}$/a/b와 $log\;C_{1}$/A/B간의 상관관계는 주목할 만하며 이는 용액과 기체간의 계면 system에서의 계면 흡착 모델이 구강 내에서의 조직과 용액 간의 관능적 모델에도 적용됨을 나타내며 나아가 표면장력치의 측정이, 신경자극 전달 측정을 위한 Beidler의 이론과 Szyszkowski 방정식을 이용하여 쓴 맛을 기계적으로 측정하는 독립적인 방법을 개발하는데 응용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 PDF

후각신경세포의 손상 및 재생 연구모델의 융합연구 (Animal Model for Regeneration of Olfactory Sensory Neurons)

  • 정윤미;박종수;김철희;유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61-67
    • /
    • 2016
  • 후각기관은 주변 환경의 다양한 화학물질을 감지하는 기관으로 생존, 종족번식에서 감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유전적, 환경적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후각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일시적인 경우에는 약물치료 등으로 회복될 수 있지만, 신경세포에 문제가 생긴 영구적인 손상의 경우는 치료가 어렵다. 따라서, 신경세포의 사멸을 억제하거나 재생을 유도하는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후각신경세포 특이적으로 GFP 형광단백질을 발현하는 형질전환동물을 제작하여 생체 내 후각신경세포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양한 화학물질을 처리하여 후각신경세포 손상을 인위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고, 후각신경세포의 손상 및 재생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확립된 후각신경세포의 손상 및 재생 모니터링 시스템은 향후 후각신경세포 재생 메커니즘 연구 및 치료제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디지털 학습자료에 대한 교육신경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Education-neurological Understanding of Digital Learning Material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

  • 조주연;김미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539-550
    • /
    • 2020
  • 이 연구는 뇌과학과 교육을 접목하는 교육신경학의 관점에 기초한 연구이다. 이 관점에 기초하여 디지털 학습자료 활용의 뇌과학적 근거를 확인함과 아울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결론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학습자료를 통한 다양한 감각 자극은 다중감각신경, 상구 심층부 등을 거치며 협동적 정보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디지털 학습자료로 인한 간접경험은 거울신경계를 거쳐 학습 내용을 생생하게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셋째, 디지털 학습자료들이 일으킨 긍정적인 감정은 도파민, 망상활성체계, 전두 선조체, 대뇌 피질 등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시되는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디지털 학습자료를 선정할 때 표현 양식, 학습 내용, 수업의 흐름 및 역기능 측면까지 고려해야 한다. 둘째, 수업 장면에 따라 다양한 디지털 학습자료를 호기심과 즐거움의 유발, 흥미와 노력의 유지, 학습한 내용에 대한 복습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수업 효과를 위해 바람직하다.

녹차분말 첨가량에 따른 절편과 설기떡의 기호도 및 품질 특성 (The Sensory and Texture Characteristics of Julpyun and Sulgidduk in according to Concentrations of Greentea Powder)

  • 김향희;박금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54-461
    • /
    • 1998
  • 전통적인 백설기와 절편에 영양적 가치와 약리적 효능이 우수한 녹차분말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녹차설기떡과 절편을 제조한 후 관능검사와 조직감의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절편은 녹차분말 농도의 3%에서 가장 좋게 평가되었으나 설기떡에서는 녹차분말의 농도가 높을수록 기호도도 높아져서 7%일 때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기계적 측정에서 녹차절편은 경도, 응집성, 검성, 씹힘성은 녹차분말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낮아졌으며, 녹차설기떡도 경도, 탄력성, 검성, 씹힘성에서 녹차분말 농도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유의적(p<0.001)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녹차절편에서의 탄력성, 녹차설기떡의 응집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색도는 녹차절편의 명도(L)와 적색도(a)는 무첨가군이 가장 높았고 황색도(b)는 무첨가군이 가장 낮았다 녹차설기떡의 명도(L)와 적색도(a)는 무첨가군, 황색도(b)는 녹차 첨가량 3%에서 가장 높았다. 녹차절편의 관능검사와 기계적 측정의 상관관계에서는 관능검사의 향미는 기계적 측정의 명도(L)와 부적 상관관계, 황색도(b)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녹차설기떡은 관능검사의 맛의 기호도와 기계적 검사의 탄력성과 부적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 PDF

감각통합치료효과에 대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과 질적 수준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Level of Single Subject Researches in the Sensory Integration Therapy Field of Korean Occupational Therapy)

  • 곽성원;심제명;노효련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5-36
    • /
    • 2014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통합치료효과에 대한 단일대상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한작업치료학회,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 누리미디어(DBpia),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도서관의 원문제공 서비스를 이용하여 2002년부터 2013년 까지 발간된 논문 중 '감각통합', '단일대상연구', '응용행동분석'을 주요검색용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17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을 선별하여 연구방법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설계 방법으로는 반전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총 회기와 연구기간, 중재시간은 다양하였고 중재 장소는 작업치료실과 감각통합실에서 이루어졌다. 대상자는 지적장애가 가장 많았다. 질적 수준은 모든 연구들이 중간수준이상으로 나타났다. 결론 :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수준은 어느 정도 보장되고 있었으나 연구방법에 대한 논의와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우유와 커피 모델 시스템에 적용된 저열량 감미 소재의 감미도와 감미질 (Relative Sweetness and Sweetness Quality of Low Calorie Sweeteners in Milk and Coffee Model System)

  • 최지혜;김광표;정서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54-762
    • /
    • 2013
  • 본 실험에서는 바나나향 우유와 커피시스템에 저칼로리 감미료를 첨가할 때 설탕 대비 상대감미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바나나향 우유와 커피시스템에서 유지방과 식물성크림이 각 시스템의 관능적 특성에 끼치는 영향을 함께 보고자 하였다. 감미료의 종류는 설탕과 더불어 대체감미료로 tagatose, xylose, erythritol, sucralose, 그리고 효소처리 stevia를 분석하였다. 바나나향 우유의 경우 설탕 5% 첨가 수준을 기준으로 이전 연구에서 도출된 수용액상의 상대감미도를 적용하여 각 대체 감미료의 농도를 이에 맞게 첨가하였으며 커피시스템의 경우 설탕 5.9% 농도 수준으로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각 감미료 별 적용된 설탕 대비 상대감미도는 다음과 같다: Tagatose 0.83배, xylose 0.63배, erythritol 0.60배, sucralose 556배, 그리고 stevia 64배이다. 각 감미료가 바나나향 우유시스템과 커피시스템에서 발현되는 단맛강도와 기타 관능적인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묘사분석 전문 패널 10명을 활용하여 묘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바나나향 우유시스템의 경우 stevia를 제외하고는 일반수용액상의 상대감미도와 동일하였으며 stevia는 상대감미도가 감소하였다. 식물성크림 첨가 커피도 동일한 경향을 보였으나 블랙커피의 경우 stevia 외에 xylose와 tagatose의 상대감미도 또한 감소하였다. 바나나향 첨가 우유시스템의 경우 설탕 첨가 시료와 감미질이 유사한 시료는 tagatose와 sucralose 첨가 시료였던 반면 커피시스템의 경우 tagatose와 erythitol첨가 시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함량에 따라 바나나향 우유와 커피시스템의 관능적 특성은 매우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용액상 도출된 감미도가 적용되는 식품시스템에 따라 새롭게 조정되어야 하며 설탕을 대체할 최적 감미료는 적용되는 식품시스템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노인의 균형유지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Related to Balance Ability in Healthy Elderly)

  • 김원호;이충휘;정보인;조상현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1-33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scertain differences of the sensory system, central processing system, effector system, and balance abil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ex, fall experience, and age), and to identify the contributions of the sensory, central processing, and effector system to balance ability in 83 healthy elderly subjects. The subjects were elderly (over 60 years) who live in Wonju City.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six tests (position sense test, visual acuity, vestibular stepping test, Mini-Mental Status Exam-Korea, strength of dorsiflexors, and Berg Balance Test).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six tests according to sex showed that vestibular function was significantly better in women than in men. But visual acuity, cognitive function, strength of dorsiflexors, and balance ability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men than in women (p<0.05).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on sense, visual acuity, vestibular function, cognitive function, strength of dorsiflexors, and balance ability between fallers and non-fallers (p>0.05). 3. However, the results of the six tests according to age (group A: 60-69 years, group B: 70-79 years, group C: 80-89 yea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ve tests. In the Scheff$\acute{e}$ test, position sense, visual acuity, and cognitive function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t results between in group A and group C: the strength of the dorsiflexo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group A and group B, and balance 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 group A and group C, and between in group B and group C (p<0.05). 4. Cognitive function and position sens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alance ability. Their power of explanation regarding balance ability was 38% (p<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function and position sense play an important role in balance ability. This would seem to suggest that programs for evaluation or improvement of elderly's balance ability in the elderly should consider cognitive function and position sense.

  • PDF

Realization of Sensory-Based Biped Walking

  • Lim, Hum-Ok;Yu, Ogura;Takanishi, Atsuo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3년도 ICCAS
    • /
    • pp.197-202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realtime walking based on sensory information. In this study, a biped robot having a trunk is considered. The motion of the trunk balances the whole body of the biped robot while the legs locomotes on the ground. How to calculate the motion of the trunk is proposed using the ZMP concept. Also, an online walking pattern is discussed which is generated in realtime on the basis of walking parameters selected by visual and auditory sensors. In order to realize biped walking, we have constructed a forty-three degrees of freedom biped robot, WABIAN-RV (WAseda BIped humANoid robot-Revised V). Its height is 1.89[m] and its total weight is 131.4[kg]. Various walking experiments using WABIAN-RV are conducted on the plane, and the validity of its mechanism and control is verified.

  • PDF

Anomaly Detection in Smart Homes Using Bayesian Networks

  • Saqaeeyan, Sasan;javadi, Hamid Haj Seyyed;Amirkhani, Hosse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4권4호
    • /
    • pp.1796-1816
    • /
    • 2020
  • The health and safety of elderly and disabled patients who cannot live alone is an important issue. Timely detection of sudden events is necessary to protect these people, and anomaly detection in smart homes is an efficient approach to extracting such information. In the real world,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 occupant's behaviour and the order in which appliances are used in the home. Bayesian networks are appropriate tools for assessing the probability of an effect due to the occurrence of its causes, and vice versa. This paper defines different subsets of random variables on the basis of sensory data from a smart home, and it presents an anomaly detection system based on various models of Bayesian networks and drawing upon these variables. We examine different models to obtain the best network, one that has higher assessment scores and a smaller size. Experimental evaluations of real dataset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