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y profile

검색결과 420건 처리시간 0.021초

단축감각프로파일의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Validity of Short Sensory Profile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y)

  • 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0
    • /
    • 2004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internal reliability and internal validity for Short Sensory Profile(SSP) and to suggest the useful criteria for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in Korean culture. Methods : The Short Sensory Profile(SSP) was completed by mothers of 304 children typically developing between 3 to 10 years of age in those preschool,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located Seoul and Gyeonggi-do. The total agency for this study was 14 facilities and the period of study was from July, 2002 to June, 2003. Kim Mi Sun(2001) translated and modified the Short Sensory Profile that Macintoshi developed and the tool for the study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reliability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Results : 1. Internal reliability of the total tests and sections was estimated by calculating Cronbach's Alphas. Reliability value of the total tests was .889. 2. For internal validity the correlations range from .131 to .575 in magnitude, suggesting that the sections of the Short Sensory Profile tap relatively unique constructs and support the factor structure developed. 3. The total score of the Short Sensory Profile(SSP) range from 118 to 190, mean and SD was 163.12, 14.87. 4. Of 403 children represented by the survey, 32 children(10.5%) met criteria for sensory processing disorders based upon parental perceptions. 5. Cut scores were determined by computing the raw score cut scores for -1 SD and -2 SD. The normal group of sensory processing abilities had score which range from 190 to 149, the probable problem group had score which range from 148 to 134, and the definite problem group had score which range from 133 to 138. Conclusion : Findings from the above study suggest that Short Sensory Profile be the screening tool for sensory processing disorders within Korean cultur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mpare with children with the various sensory processing disabilities(PDD, LD, CP ect,).

  • PDF

촉각탐지과제를 통한 촉각역치 값과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점수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cores of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and Tactile Threshold From Tactile Detection Task)

  • 주유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9
    • /
    • 2012
  • 목적 : 감각처리기능은 지각 및 인지기능 뿐만 아니라 작업수행을 위해서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다. 아동의 경우 감각처리 문제로 인해 두드러지는 기능장애를 나타내지만 성인의 경우 살아가면서 감각에 적응하거나 그냥 무시한 채 지내기 때문에 흔히 감각처리기능을 간과하게 된다. 하지만 감각에 대한 생리적 특질은 변하지 않는 것이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불편한 감각자극으로 인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기 위해 본인의 감각처리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은 일상생활에 기반을 둔 감각처리기능을 설문형식으로 평가한다. 하지만 이런 설문형식의 평가는 응답자의 주관이나 그 외 다양한 요인들로 인해 결과의 타당도가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 처리영역 점수와 촉각탐지과제를 통해 측정한 촉각역치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이 평가도구의 일부 영역 (촉각 처리영역)의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처리영역의 네 가지 항목(저등록, 감각민감, 감각추구, 감각회피)의 점수를 촉각탐지과제를 통해 얻어진 개인의 촉각역치 값과 비교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처리영역 중 저등록 및 감각추구 항목은 촉각역치 값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반면 감각민감 및 감각회피 항목의 경우 촉각역치 값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특히나 촉각의 역치가 높을수록 저등록 항목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결론 : 촉각의 촉각역치가 높을수록 감각등록이 적으며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촉각처리영역의 저등록 관련된 설문문항이 촉각탐지과제를 통한 촉각역치 측정값과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설문문항의 타당도가 높음을 보여주었다.

  • PDF

성인용 감각처리 평가도구의 필요성 및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의 소개 (The Necessity for Adult's Sensory Processing Evaluating Tool and the Introduction of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 박미희;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28
    • /
    • 2006
  • The person's behaviors are interactive with sensory processing ability. So sensory processing ability is very important. Most of tools which evaluate sensory processing are developed for the child. But sensory integrated problems are not restricted to the child. It is possible for sensory integrative problems to happen independent of the intellectual level and the social stratum. And sensory integrative problems are distributed in all age. Adults who have a sensory defensiveness use various coping strategies. But it does not solve a basic sensory defensive problem. Previous studies reported the fact that the sensory integrative treatment has a high treatment effect in these people.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necessity for adult's sensory processing evaluating tool. We introduces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 to be translated into Korean. It will discriminate adults who have sensory defensiveness from adult. It will provide these people with the suitable help.

  • PDF

Estimation of Sensory Pork Loin Tenderness Using Warner-Bratzler Shear Force and Texture Profile Analysis Measurements

  • Choe, Jee-Hwan;Choi, Mi-Hee;Rhee, Min-Suk;Kim, Byoung-Chu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7호
    • /
    • pp.1029-1036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gree to which instrumental measurements explain the variation in pork loin tenderness as assessed by the sensory evaluation of trained panelists.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sensory tenderness variables, such as softness, initial tenderness, chewiness, and rate of breakdown. In a regression analysis, WBS could account variations in these sensory variables, though only to a limited proportion of variation. On the other hand, three parameters from texture profile analysis (TPA)-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sensory evaluation variables. In particular, from the result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PA hardness alone explained over 15% of variation in all sensory evaluation variables, with the exception of perceptible residue. Based on these results, TPA analysis was found to be better than WBS measurement, with the TPA parameter hardness likely to prove particularly useful, in terms of predicting pork loin tenderness as rated by trained panelists. However, sensory evaluation should be conducted to investigate practical pork tenderness perceived by consumer, because both instrumental measurements could explain only a small portion (less than 20%) of the variability in sensory evaluation.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 연구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ensory Profile for Children with Congenital Cerebral Palsy)

  • 유두한;홍덕기;황선정
    • 재활복지
    • /
    • 제18권4호
    • /
    • pp.315-330
    • /
    • 2014
  • 본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만 3~10세 뇌성마비 아동 87명의 감각처리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보호자를 대상으로 동의 후에 평가용지와 평가지침서를 우편 또는 방문을 통해 작성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Winstep 3.81을 통해 라쉬분석을 실시하여 항목과 대상자의 적합성, 항목의 난이도, 평정척도의 적합성, 대상자와 항목의 분리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87명의 뇌성마비 아동 중에 4명의 아동이 부적합 대상자로 나타났다. 부적합한 대상자를 제외한 83명의 대상자로 항목의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15개 항목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항목의 난이도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뇌성마비 아동의 감각처리능력에 비해 낮은 난이도의 평가항목들로 구성되어 있어 높은 평가항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각프로파일의 평정척도 분석결과에서는 5점 척도보다는 3점 척도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점 척도의 항목과 대상자에 대한 분리신뢰도는 0.90 이상 값으로 우수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난이도가 높은 새로운 평가항목의 개발과 3점 척도의 점수체계 변환으로 타당도가 검증된 감각프로파일의 임상적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감각처리 영역이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nsory Processing Areas on the Parenting Stress of Parents)

  • 최정실;이미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3-42
    • /
    • 2004
  • Objective : To evaluate the sensory processing ability in relation to parenting stress and find the sensory modulation areas affecting the parenting stress in disabled children Methods : Parents of 124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tween 3 to 7 years receiving occupational therapy in Seoul and Gyeonggi-do made out the questionnaire and in items of questionnaire, Short Sensory Profile and Parenting Stress Index of short form was included. Results : Among general information, parenting stress of parent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isability and correlation with the lower level 2 of Parenting Stress Index. The more sensory processing disability was increased, the more parenting stress was increased. Parenting stress show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ovement sensitivity area and under-responsiveness/behaivor area seeking specific stimulation among sensory processing areas and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actile sensitivity and auditory filtering. Sensory processing areas which affect the most the Parenting Stress were movement sensitivity and under-responsiveness/behaivor area seeking the specific behavior among sensory control disabilities. Conclusion : The parenting stress of parents with the disabled children had the correlation with sensory processing ability. The difficulty of sensory processing increased the parenting stress. Hence,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sensory processing ability, the appropriately coping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the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improvement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of children will be necessary.

  • PDF

감각방어를 가진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이 감각조절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례보고 (The Effect of Sensory Diet Home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Have Sensory Defensiveness: Case Report)

  • 허소영
    • 재활치료과학
    • /
    • 제4권1호
    • /
    • pp.63-73
    • /
    • 2015
  • 목적 : 본 연구는 감각방어를 가진 자폐 범주성 아동을 대상으로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시행하여 감각조절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연구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자는 감각방어를 가진 만 12세의 자폐 범주성 아동 1명이었다. 보호자 인터뷰와 평가를 통해 대상 아동에게 맞는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만들었고, 보호자 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가정에서 총 23일간 하루에 3번 30분씩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 중재 전 후에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과 사회성숙도검사가 시행되었고 아동의 감각증상목록이 작성되었다. 결과 :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 중재 후, Adolescent/Adult Sensory Profile검사의 Low Registration, Sensory Sensitivity, Sensation Avoiding영역이 정상범주에 속하게 되었으며, 사회성숙도검사 결과 사회연령과 사회지수가 향상되었다. 결론 : 감각식이 가정프로그램을 통해 아동의 감각방어가 완화되었으며 감각조절과 감정의 조절이 향상되었지만 한 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은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골덴하르 증후군(Goldenhar syndrome)아동에 대한 감각통합치료 평가와 중재: 사례연구 (Sensory Integration therapy Evaluation and Intervention in Clients With Goldenhar Syndrome : A Case Report)

  • 정희승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86-295
    • /
    • 2011
  • 본 연구는 전반적인 발달지연, 감각 예민성, 촉각 방어와 작업수행의 문제를 가진 골덴하르 증후군 아동에게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하여, 골덴하르 증후군 아동의 감각통합 치료적 중재 개입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증례 아동은 만 7세 10개월 남아로 학교와 일상생활에서, 놀이와 학습에 대한 어려움, 운동발달 지연을 주 호소로 하여 검사가 의뢰되었다. 감각통합치료를 위한 평가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시 바른 자세로 한글 읽고 쓰기가 첫째 작업수행 목표로 나타났고, 단축 감각프로파일(Short Sensory Profile) 과 감각 인터뷰에서는 감각 예민성과 촉각 처리영역에서 확연한 차이로 감각통합치료 중재가 요구되었다. 발달 프로파일 -3(Developmental Profile -3)은 5개 발달영역에서 전반적인 발달 지연이 나타났고, 운동 숙련도 검사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에서 운동발달 수준이 평균 이하로 나타났다. 본 증례 아동에 대한 감각통합 치료를 통해 전반적인 발달, 감각예민성, 촉각방어와 같은 감각조절 기능이 향상되고, 작업수행이 개선되는데 도움이 되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서 국내 골덴하르 증후군 아동의 감각통합치료 접근법에 기초 자료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감각조절장애 아동을 위한 가정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Home-based Program For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 이성아;김지연;조은희;박경영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5-37
    • /
    • 2003
  • Objective :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f home-based outcomes in child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Methods : This study used the simple case study. The subjects were three children diagnosed as developmentally delayed who 14 month and 26 month males and a 15 month female. After initial evaluation, parents were educated on sensory diet and Wilbarger protocol method for 30 minutes twice for home-based treatment and asked to make out daily treatment planning. To measure improvement of children, we used for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I(DDST II), 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WeeFIM), hand function, functional ability, oral motor function, Sensory Profile(Dunn, 1999). Results : After the home-based program, the scored of the Denver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II(DDST II), We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WeeFIM), hand function, functional ability, oral motor function, Sensory Profile(Dunn, 1999) were higher rather than initial evaluation after the home-based program. Conclusion : The home-based program is effective for children with sensory modulation disorder but parents had to be educated by therapist specific evaluation and treatment in sensory integration.

  • PDF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에 대한 단축형 감각 프로파일-2(Short Sensory Profile-2)의 구성타당도 연구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hort Sensory Profile-2 (SSP-2)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박아름;유두한;홍덕기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5-28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단축형 감각프로파일-2(Short Sensory Profile-2; SSP-2)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120명을 대상으로 SSP-2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원자료는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SSP-2의 대상자 및 항목 적합도, 난이도, 평정척도, 분리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연구 대상자 중 감각처리 영역은 7명, 행동반응 영역은 8명이 부적합 판정을 받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항목 적합도 분석에서는 모든 항목이 적합한 기준을 충족하였다. 감각처리 영역에서의 난이도 분석은 13번 항목(.48 logit)이 높았으며, 10번 항목(-.54 logit)이 낮았다. 행동반응 영역에서는 25번 항목(1.58 logit)이 높았으며, 30번 항목(-.68 logit)이 낮게 분석되었다. 평정척도 분석에서는 5점 척도 보다 3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리신뢰도는 감각처리 영역 .90, 행동반응 영역 .95로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SSP-2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임상에서 자폐스펙트럼 장애 아동에게 유용한 평가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