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sor data

검색결과 7,230건 처리시간 0.036초

파워 빔 구조에서 GTS 기반 센서 데이터 수집 방안 (A GTS-based Sensor Data Gathering under a Powerful Beam Structure)

  • 이길흥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9-45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n architecture of a sensor network for gathering data under a powerful beam cluster tree architecture. This architecture is used when there is a need to gather data from sensor node where there is no sink node connected to an existing network, or it is required to get a series of data specific to an event or time. The transmit distance of the beam signal is longer than that of the usual sensor node. The nodes of the network make a tree network when receiving a beam message transmitting from the powerful root node. All sensor nodes in a sink tree network synchronize to the superframe and know exactly the sequence value of the current superframe. When there is data to send to the sink node, the sensor node sends data at the corresponding allocated channel. Data sending schemes under the guaranteed time slot are tested and the delay and jitter performance is explained.

실시간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 처리를 위한 대기시간 산출 알고리즘 (Queuing Time Computation Algorithm for Sensor Data Processing in Real-time Ubiquitous Environment)

  • 강경우;권오병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1호
    • /
    • pp.1-16
    • /
    • 2011
  • 실시간 유비쿼터스 환경은 센서로부터 얻어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황을 인지하고 사용자에게 적절한 반응을 보이기까지 제한된 시간 내에 모든 것을 처리해야 한다. 전체적인 센서 데이터 처리는 센서로부터의 자료 확보, 상황 정보의 획득, 그리고 사용자로의 반응이라고 하는 과정을 거친다. 즉, 유비쿼터스 컴퓨팅 미들웨어는 입력된 센서 자료 및 데이터베이스 또는 지식베이스로부터 일련의 자료들을 활용하여 상황을 인식하며, 그 상황에 적합한 반응을 하게 된다. 그런데 실시간 환경의 특징 상 센서데이터가 들어오면 각 가용 자원들을 검색하고 그 곳에 있는 미들웨어가 데이터를 처리 할 경우 어느 정도의 대기 시간이 필요한지를 결정해야 한다. 또한 센서 데이터 처리의 우선순위가 높을 때는 미들웨어가 현재 처리중인 데이터를 언제 처리를 중지하고 얼마나 대기시켜야 하는지도 결정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는 아직 활발하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미들웨어가 이미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있고 동시에 새로운 센서 데이터를 처리해야 할 때 각 작업의 최적 대기시간을 계산하고 스케줄링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센서 네트워크 기반 이상 데이터 복원 시스템 개발 (Design of A Faulty Data Recovery System based on Sensor Network)

  • 김성호;이영삼;육의수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6권1호
    • /
    • pp.28-36
    • /
    • 2007
  • Sensor networks are usually composed of tens or thousands of tiny devices with limited resources. Because of their limited resources, many researchers have studied on the energy management in the WSNs(Wireless Sensor Networks), especially taking into account communications efficiency. For effective data transmission and sensor fault detection in sensor network environment, a new remote monitoring system based on PCA(Principle Component Analysis) and AANN(Auto Associative Neural Network) is proposed. PCA and AANN have emerged as a useful tool for data compression and identification of abnormal data. Proposed system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sensor network working in LEA2C(Low Energy Adaptive Connectionist Clustering) routing algorithms. To verify its applicability, some simulation studies on the data obtained from real WSNs are executed.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다종 센서에 대한 에너지 효율적인 클러스터링 기법 (Energy Efficient Clustering Scheme for Multi-sensor on Wireless Sensor Networks)

  • 최동민;정일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573-584
    • /
    • 2016
  • Recent application range of sensor networks is becoming diverse. It means collected sensor data types are becoming diverse too. These sensor data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Thus achieving energy efficiency, existing sensor network management policy consider their own characteristics. However, it is inefficient to apply the existing network management schemes for controlling such kind of data at the same time. Because, existing network management schemes considered one type of data only. Therefore, we propose a novel routing scheme that is able to efficient energy conservation through effective data controlling on multi-sensor application environment.

실측 데이터 기반 모션센서 에뮬레이터의 개발 (Development of Real-Data Motion Sensor Emulator)

  • 이민석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68-75
    • /
    • 2011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n open source motion sensor emulator. It helps developers to understand the motion sensor and its data better. Through this emulator, the realtime or stored motion sensor data can be applied to the applications that utilize motion sensors. The data of motion sensors which include accelerometer sensor, magnetic field sensor, gyro sensor, GPS, and so on, can be collected by using smart phones or motion sensors. We also describe a visualizer which shows various graphs, video and 3D animations based on the data sent by the emulator. It helps developers to understand motion sensors and how to use the sensors. The developed emulator is compatible with Android sensor simulator.

센서 서비스 기술 언어를 이용한 센서 데이터 처리 시스템 (Sensor Data Processing System using Sensor Service Description Language)

  • 홍현우;김용운;유상근;김형준;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182-1189
    • /
    • 2007
  • 네트워크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은 빠르게 구체화되면서 미래의 정보 기술 산업을 주도할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위해 각종 센서(Sensor)들로부터 인식된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로 사용 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응용 서비스에 전달되어야 한다. 그러나 각종 센서에 대한 메타데이터(Metadata) 및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의가 불분명하여 응용 서비스에서 데이터의 이용을 위한 접근이 어렵고, 서로 다른 플랫폼(Platform) 및 프로토콜(Protocol)에서 오는 제약으로 응용 서비스로의 센서 측정 데이터 전달에 제약이 따르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센서 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센서와 측정 데이터를 표현하고 서비스를 기술하는 센서 서비스 기술언어를 설계하였다. 또한 웹서비스(Web Service)를 이용하여 응용 서비스로 센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센서 데이터 처리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를 통해 센서 데이터를 교환하는데 있어 상호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한 표준화의 참고 모델로 활용될 것이다.

동적 비트할당 기반 센서데이타 압축 기법 (A Sensor Data Compression Algorithm based on Dynamic Bit-assignment Techniques)

  • 이석재;박현호;여명호;송석일;유재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5권4호
    • /
    • pp.318-325
    • /
    • 2008
  • 대부분의 센서네트워크 응용들은 일정기간 동안 센서데이타를 지속적으로 수집 분석한다. 이때 모든 센서가 계속해서 서버로 데이타를 전송하기 때문에 많은 통신비용이 소모된다. 따라서 통신비용 감소를 위한 기술은 배터리를 이용해 동작하는 무선 센서에 기반한 센서네트워크의 수명 연장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기술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데이타를 압축 전송함으로써 통신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동적 비트할당 기법에 기반한 센서데이타 압축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일정기간 동안 수집한 센서데이타의 분포를 분석해 센서데이타를 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정보를 각 센서에 배포하고, 데이타를 압축해 수집함으로써 통신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3축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위치 검출 알고리즘 (Position Detection Algorithms Using 3-Axial Accelerometer Sensor)

  • 김남진;조영희;최이권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65-72
    • /
    • 2011
  • In this paper, we consist of three dimensional acceleration sensor as a small-sized sensor module to acquire base technologies that need to estimate exhibition audience' moving distance. and that we developed algorism and device that can calculate acceleration in gravity direction with attaching it to people's body part without regard to three dimensional direction. By making use of the sensor module, we have to process the data that let it quantitatively process possible to measure people's walk and movement by computer system. We normalized sensor output data in the process of change from sensor module to acquisition of data, rectangular coordinates and single scalar acceleration value in gravity direction. Printed out sensor data attaching sensor module to people's body part is used for motion pattern detection after normalization, Motion sensor devised mode change algorism because it print data of other pattern according to attached position of body. For algorism design, we collected data occurring during walking about subject and we also defined occurring problem domain after analyzing the data. We settle defined problem domain and that we simulated the walking number measuring instrument with highly efficient in restricted environment.

무선센서네트워크 장애에서 센서 데이터 손실 감소를 위한 2MC기반 프레임워크 (A 2MC-based Framework for Sensor Data Loss Decrease in Wireless Sensor Network Failures)

  • 신동현;김창화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1-40
    • /
    • 2016
  • 무선센서네트워크는 해양환경, 군사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활용은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센서 데이터는 굉장히 중요하다.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의 통신은 주위 환경에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통신장애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특히 수중통신의 경우 좁은 대역폭과 느린 전송 속도, 주변 환경의 잡음 등으로 인해 전파통신에 비해 통신장애는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 통신장애가 발생하면 센서 데이터 전달과정에서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고, 이는 화재감지 시스템과 같이 실시간성이 중요한 분야에서는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데이터의 저장 및 압축을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이를 위한 프레임워크가 존재하지 않아 그 실현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센서 데이터의 손실 감소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장애 발생 후 t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T/t(T는 통신장애 발생 시 데이터 저장에서 메모리가 full 상태가 되는 시간)의 복구율 감소를 보인다. 게다가, T 시간 이후의 센서 데이터는 모두 복구가 불가능한 오류에 해당한다. 그러나, 제안한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경우는 100%의 데이터 복구율과 2~6%의 복구 후 데이터 오차율을 보인다.

IoT 센서 환경에서의 데이터 불일치 검출 기법 (Data Inconsistency Detection Method in IoT Sensor Environment)

  • 우영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30-531
    • /
    • 2021
  • 이 논문에서는 IoT 센서 환경에서 입력되는 데이터들 간의 불일치를 파악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실제 현장 문제에 적용할 수 있도록 수치적으로 입력되는 센서 데이터들을 관리할 수 있다. 제안한 기법은 실제 IoT 센서 환경에서 2개 이상의 센서에서 모순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센서의 고장 또는 의도적인 데이터 교란을 파악하여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 PDF